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학(2020. 6. 13.) 시험일자 : 2020년 6월 13일

1. 조경계획 및 설계의 과정 중 대안(alternatives)작성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대안 작성 과정에서 전체 공간 이용에 관한 윤곽이 드러난다.
  • ② 기본 개념, 동선, 토지 이용 등은 대안 작성 과정에서 항상 유지된다.
  • ③ 각 대안을 비교하여 적당한 안은 수정없이 최종안으로 결정한다.
  • ④ 가능한 한 사소한 문제까지 고려하여 상이한 안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조경 재료 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인장강도, 휨강도가 크다.
  • ② 구조 부재 중 값이 비싸다.
  • ③ 자중이 커서 응용 범위에 제한을 받는다.
  • ④ 내화성은 높으나 내구성은 낮다.

바비2024. 5. 28. 14:18삭제
인장강도 휨강도가 작다. 구조부재 중 값이 싸다 내구성, 내화성, 내진성, 차음성능 좋다. 자중이 커서 응용 범위에 제한을 받는다. 이상 콘크리트의 특징.
3. 국토교통부 고시 「조경설계기준」(2019)에서 수목식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식재기능의 요구시기는 거의 완성에 가까운 상태로 식재하는 ‘완성형’과 5년 정도 경과 후 거의 완성형에 가까운 형태가 되는 ‘반완성형’, 10~20년 정도 경과 후 완성 형태가 되는 ‘장래완성형’으로 구분한다.
  • ② 교목류는 기본적으로 ‘수고H(m)×흉고직경B(cm)’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수관폭, 지하고, 뿌리분의 크기, 근원직경 등을 지정할 수 있다.
  • ③ 녹지조성 수준은 시설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최대한 녹지화하며, 공공 목적의 조경공간은 특별히 법령에 정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최소 30% 이상의 녹지율을 확보한다.
  • ④ 식재하기 전에 일정 기간 지정된 장소에 임시로 식재하는 행위를 가식이라 한다.

바비2024. 5. 28. 14:27삭제
1.4.3 녹지조성 수준 (1) 이용밀집지역이나 특정시설주변, 기타 특정목적의 녹지는 ‘일반형 녹지’를 지향하고, 외주부의 녹지는 ‘생태형 녹지’를 지향하며, 주변의 자연생태계와 연결시킨다. (2) 시설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최대한 녹지화하며, 공공목적의 조경공간은 특별히 법령에 정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최소 † † † † † † † † † † † † † † † †15% 이상† † † † † † † † † † † † † † † †의 녹지율을 확보한다. (3) 일반형 녹지의 조성수준은 표 1.4-1을 기준으로 하되, 공간과 기능 등을 고려하여 설계자가 적절히 조정한다. (2) † † † † † † † † † † † † † † † †주거지, 학교, 병원 등은 ‘완성형’으로† † † † † † † † † † † † † † † †, 공원과 상업지역 그리고 공업지역 등은 ‘반완성형’과 ‘장래완성형’으로 설계하며, 주거지역은 대상지역의 상황에 따라 형식을 결정한다. (4) 완성형의 식재기준은 100 m²당 교목 13주(3.5∼5 m 간격), 소교목 16주(화목 포함), 관목 66주(2∼3주/m) 및 묘목(식재지의 환경조건에 따라 필요한 양)으로 하고, 설계자가 대상지역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정한다.
바비2024. 5. 28. 14:22삭제
† † † † † † † † † † † † † † † †교목류는 기본적으로 ‘수고H(m)×흉고직경B(cm)’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수관폭, 지하고, 뿌리분의 크기, 근원직경 등을 지정할 수 있다. b로 표시하는게 기본인게 맞는말이다. † † † † † † † † † † † † † † † †
4. 한국 조경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백제시대 노자공(路子工)은 일본으로 건너가 축산식 정원을 만들었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다.
  • ② 신라시대 포석정(鮑石亭)은 왕과 귀족들이 함께 모여 연회를 가졌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 ③ 안압지(雁鴨池)는 통일 신라 시대의 대표적 연못조경 사례이다.
  • ④ 조선시대 창덕궁 후원(後苑)은 인공미가 강조된 대표적 정형식 정원이다.

바비2024. 5. 28. 14:40삭제
“백제시대 노자공(路子工)은 일본으로 건너가 축산식 정원을 만들었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다. 노자공이 일본간 때는 비조 아스카 시대로 중도임천식 정원을 만들엇다 축산식 아님
5. <보기>의 특징에 모두 해당되는 조경수목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태산목
  • ② 돈나무
  • ③ 녹나무
  • ④ 후박나무

바비2024. 5. 28. 14:52삭제
① 태산목 Magnolia grandiflora ② 돈나무 pittosoporum tobira(돈버는거 톱이라) ③ 녹나무 Cinnamomum camphora ④ 후박나무학 명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국 명 후박나무 분 포 - ● 국내 분포: 제주도(해발 500m이하), 울릉도, 목도, 진도, 나로도, 보길도, 거제도, 완도, 가거도, 흑산도등 폭넓게 분포 ● 해외 분포: 중국 남부, 대만, 필리핀, 일본 혼슈에서 류큐까지 분포 ● 생육 정보: 바닷가, 산기슭 등 낮은 지대에서 자라는 상록활엽수이다. ● 식물 정보: 상록활엽교목으로 수고 15m, 흉고직경 1m에 달한다. 새순과 잎은 붉은 빛이 돌기 때문에 이른 봄 장관을 이룬다. 잎은 어긋나게 배열하며 가지 끝에 모여 달린다. 잎은 두껍고 혁질이며 도란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장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녹색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수관은 우산모양을 한다. 양수지만 어릴 때 내음성이 강하며 성장이 빠르다. 꽃은 5~6월 새순이 돋을 때 황록색의 원추화서이다 녹나무는 어린 가지가 어느 정도 굵어질 때까지 녹색을 띠어 녹나무라 불리게 되었는데, 공해와 추위에 약해 내륙지방에서는 잘 자라지 않고 제주도에서도 남부 계곡에 드물게 자란다. 흔히 카푸치노나 빵에 뿌리는 시나몬이나 수정과에 넣는 계피는 모두 녹나무과(Lauraceae) 식물로서, 녹나무와 가까운 가족들이다.
6. 조경계획 및 설계에서 시각적 경관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틸(Thiel)과 할프린(Halprin)은 연속적 경험의 중요성을 주창하였다.
  • ② 틸(Thiel)은 외부 공간을 모호한 공간, 한정된 공간, 열린 공간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 ③ 할프린(Halprin)은 부호를 이용하여 인간 행동의 움직임을 기록할 수 있는 모테이션 심벌(Motation symbols)을 고안하였다.
  • ④ 스타이니츠(Steinitz)는 린치(Lynch)의 ‘이미지’ 개념을 발전시켜 컴퓨터 그래픽 및 상관계수분석을 이용하여 형태와 행위적 의미의 상관 관계성을 연구하였다.

바비2024. 5. 28. 15:37삭제
중 중정(캠퍼스의 중정) 바닥 및 경사도(평면적요소), 전체 식생비(천정적요소) 증가- 시각적 선호도 증가. 높이비(수직적요소) 증가-> 시각적 선호도 감소 쉐 쉐이퍼- 자연경관에서의 시각적 선호 계량적 예측모델, 흑백사진 이용 피: 계량적 예측모델의 효시 주관적(선호 및 지각된 크기)판단에 의존
바비2024. 5. 28. 15:35삭제
시각미학적접근 1.벌라인의 자탐선해 2.연속적 경험 틸 연속적 경험을 장소중심적으로 기호화 모한닫 할프린 모테이션 심벌(인간행동의 움직임 표시법: 진행중심적, 폐쇄성이 낮은 곳 아버니티, 노예 : 도시내 연속적 경험을 살릴 기법 연구, 시간과 공간을 고려한 설계방법의 중요성 주장 3.이미지 -린치는 물리적 형태의 시각적 이미지에 주안점을 두었다. -스타이니츠는 물리적 형태와 그 형태가 지닌 행위적 의미의 상호 관련성을 주안점을 두었다. 린치 - 통모지결랜 ⇒관찰자입장에 따라 상이한 요소로 해석될 수 있다. 스타이니츠 - 린티의 도시이미지 5요소를 발전시켜 컴 그래픽과 상관계수 분석을 통해 행태와 행위의 일치 스타이니츠는 형태와 행위 사이의 일치성(congruence)을 타입 (type), 밀도(intensity), 영향(significance)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 하였다. • 타입(type)의 일치성 4. 중간 복잡성에서 시각적 선호 높음 5. 투^ 복v 흡V 영^ 부적지~ 6.리튼 훼손 가능성이 높은 독특한 지형을 가진 경관, 초점경관: 주의집중이 이루어지는 중심부분이 가장 경환훼손의 가능성이 높 다., 두개의 다른 요소가 만나는 모서리:(해변가, 경작지와 삼림이 만나는 곳)부분이 훼손의 가능성이 높다. 7. 경관 가치평가 레오폴드 - 하천, 특이성비, 상대성 경관가치, 경관의 독특한 정도/계곡의폭, 근처구릉의높이, 전망, 도시화, 하천의 폭, 하천의 길이, 급류 및 폭포의 유무 아이버슨: 주요 조망점에서 보여지는 지각강도, 관찰횟수 가까운 거리의 경관의 지각강도가 더 크다. 경관의질은 지형, 토지이용에 영향을 미친다. 관찰횟수에 따라 빈도수가 많은 곳이 경관의 중요성이 높다. 8.시각적선호 측정방법- 행태측정, 정신생리측정, 구두측정 물개상추 변수(물리적, 개인적, 상징적 추상적 변수) 예측모델 - 중쉐피(중정, 쉐이퍼, 피터슨) 예측모델: 시각적 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모델의 작성이 가능하다. 돈이 많이 드니까 중요한 곳에 하는게 조음
바비2024. 5. 28. 15:13삭제
틸 연속적 경험을 기호화 모 한 닫~ 모호한 공간 한정된 공간 닫힌 공간
바비2024. 5. 28. 15:12삭제
벌라인 (자-탐-선-해) 자극과 현재 자극과의 비교를 통하여 양극적 특성을 지각하게 되며 이러한 특성이 미적반응을 불러일으킨다고 주장. 자극요소간의 상이성 비교를 통하여 복잡성(complexity)의 정도가 결정
7. 경관분석을 위한 경관단위(landscape uni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서로 다른 경관 요소들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집합체이다.
  • ② 지형과는 상관없이 지표 상태에 따라 경관단위 경계가 구분된다.
  • ③ 지형 변화에 따라 경관단위가 구분되며, 지표 상태는 경관단위 경계와 무관하다.
  • ④ 비탈면과 평탄지가 만나는 경우 지표 상태에 따라 경계가 달라질 수 있다.

바비2024. 5. 28. 15:55삭제
경관단위(Landscape unit) : 최소의 단위요소로서, 주로 토지 지표면에 나타나는 동질적인 구성요소(Homogeneous unit)로 볼 수 있으며, 식생 또는 자연지형요소의 동질적인 구분에 근거하게 된다. 도시의 생태계를 연구한다.
바비2024. 5. 28. 15:54삭제
생태, 미학, 기술 5차원
8. 참나무과의 난대성 상록활엽수로 잎의 형태가 밤나무와 비슷하며, 가을에 도토리가 열리고, 목재가 단단하여 건축재, 선박재 등으로도 사용하는 수목은?
  • ① 담팔수
  • ② 소귀나무
  • ③ 가시나무
  • ④ 굴거리나무

바비2024. 5. 28. 16:04삭제
① 담팔수 상록활엽교목 ② 소귀나무 소귀나무는 제주도 한라산에서 자생하는 상록 활엽교목이며 열매는 양매(楊梅)라 불린다. 입하전의 여름경에 채취한 나무 껍질은 약용으로 쓰이는데 구내염이나 타박상에 효과가 있다. 중국에서는 과일나무로 대규모 재배되고 있다. ③ 가시나무 Quercus myrsinifolia 참나무과의 난대성 상록활엽수로 잎의 형태가 밤나무와 비슷하며, 가을에 도토리가 열리고, 목재가 단단하여 건축재, 선박재 등으로도 사용하는 수목은? ④ 굴거리나무 상록활엽교목 심근성 수종: 주목, 느티나무, 굴거리나무 상록활엽교목:해당화, 송악, 굴거리나무, 담팔수 2. 다음 중 화재의 방지 또는 확산을 막거나 지연시킬 목적으로 식재하는 방화수종     ①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②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im)     ③ 사철나무(Euonymus japonicus)
바비2024. 5. 28. 15:57삭제
하지만 사실은 이름만 가시나무일 뿐 나무 어디에도 가시는 찾을 수 없다. 보통 ‘가시나무’라 할 때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나무를 포괄적으로 부르거나, 호랑가시나무처럼 잎에 가시가 있어 붙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가시가 있었다면 가로수로 심지도 않았을 것이다. 가시도 없으면서 가시나무라? 그 이유가 궁금하다. 가시나무란 이름의 유래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즐겨 읽는 박상진 교수의 책 ‘우리나무의 세계’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정조 18년(1794년)에 호남 위유사 서용보가 올린 글 중에 “길고 곧은 나무는 반드시 쓸 만한 재목이고 가서목(歌舒木)은 더욱이 단단하고 질긴 재목으로서 군기(軍器)의 중요한 수요인데 유독 이 섬(완도)에서만 생산됩니다. 단단한 나무는 자라는 것이 매우 느려서 한번 잘라버리고 나면 금세 쑥쑥 자라날 수 있는 것이 아니니 더욱 애석하게 여기고 기르기에 겨를이 없어야 할 것입니다”라는 내용이 나온다. <목민심서>에는 가사목(加斜木) 심기를 권장한 대목이 있고, <물명고>에는 가서목을 ‘가셔목’으로 부른다고 했다. 한편 제주도에서는 도토리를 ‘가시’라 하며 나무는 가시목이라고 한다. 결국 가서목이 가서나무로, 다시 가시나무로 변화되어 현재 가시나무로 부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할머니들이 허리 굽혀 줍던 가시나무의 열매는 뾰족한 원뿔모양으로 크기가 작고 날씬한 게 흡사 도토리와 같다. 묵으로 즐겨먹으니 도토리라 불러도 무방하다. 특히 가시나무 도토리를 감싸고 있는 깍정이가 눈에 띈다. 도토리의 절반을 감싸고 있는 반구형의 깍정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가느다란 가락지 6~7개를 포개놓은 듯 동심원이 둘러져 있는 게 앙증맞다. 이런 가시나무의 종류에는 종가시나무, 붉가시나무, 개사시나무를 비롯해 일본에서 들여와 주로 정원수로 심는 졸가시나무 등이 있다. 가시나무의 목재는 단단하고 균일하여 병기나, 다듬이나무 방망이 등을 만드는데 쓰인다. 출처 : 뉴스사천(https://www.news4000.com)
9. 20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모더니즘 조경가가 아닌 인물은?
  • ① 패트릭 게데스(Patrick Geddes)
  • ② 제임스 로즈(James Rose)
  • ③ 가렛 에크보(Garrett Eckbo)
  • ④ 단 카일리(Daniel Urban Kiley)

바비2024. 5. 28. 16:10삭제
패트릭 게데스는 1854년 스코틀. 랜드의 발레이터에서 태어나 1932. 년 불란서 몽펠리에서 사망했다. 8. 패트릭 게데스(patrick Geddes)가 주장한 도시계획의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④ 도시계획은 물적계획과 빗물적계획(사회, 경제계획)을 통합한 계획이어야 한다.
10. 국토교통부 고시 「조경설계기준」(2019)에 따라 테니스장 설계 시 고려해야 할 기준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코트 장축 방위는 정남-북을 기준으로 동서 5°~15° 편차 내의 범위로 한다.
  • ② 가능하면 코트의 장축 방향과 주 풍향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한다.
  • ③ 코트 뒤편에 흰색 계열 건물이 있는 대상지가 적합하다.
  • ④ 일광이 좋고 배수가 양호하며, 지하수위가 높지 않은 곳에 위치시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원산지가 한국이 아닌 수목은?
  • ① Chamaecyparis pisifera
  • ② Cornus kousa
  • ③ Magnolia kobus
  • ④ Magnolia sieboldii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1/25,000 축척에서 주곡선, 계곡선 각각의 등고선 간격은?
  • ① 주곡선: 5m, 계곡선: 25m
  • ② 주곡선: 10m, 계곡선: 50m
  • ③ 주곡선: 20m, 계곡선: 100m
  • ④ 주곡선: 100m, 계곡선: 500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조경계획 및 설계 시 이용자 수 추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최대일 이용자 수는 일 년을 통한 이용자 수의 합을 의미한다.
  • ② 최대일률은 하루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간에 따라 정해진다.
  • ③ 최대시 이용자 수는 연간 이용자 수에 최대일률을 곱하여 얻는다.
  • ④ 회전율은 시설에 따른 평균체재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경관의 질을 분석하기 위해 다니엘(Daniel)과 바이닝(Vining)이 제시한 분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생태학적 접근은 자연성보다는 인문 환경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방법이다.
  • ② 형식미학적 접근은 경관의 미적 질을 경관이 지닌 물리적 속성에 따른다고 보는 입장이다.
  • ③ 정신물리학적 접근은 경관의 물리적 속성과 인간의 반응 사이를 정량보다는 정성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 ④ 현상학적 접근은 개인의 느낌이나 경험보다는 현상의 물리적 현황을 중요하게 여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보기>에 해당되는 주차 배치의 방법은?
  • ① 45° 주차
  • ② 60° 주차
  • ③ 평행주차
  • ④ 직각주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국토교통부 고시 「조경공사 표준시방서」(2019)에 따른 조경공사 시 기상조건의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공사는 일평균기온 0℃ 이상에서 시행하여야 하며, 불가피하게 공사를 수행해야할 경우에는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필요한 보온조치를 하여야 한다.
  • ② 식재 공사 시 적기 식재에도 불구하고 기온이 2℃ 미만 32℃ 이상, 평균풍속 15m/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사를 중지하여야 한다.
  • ③ 흙이 동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흙쌓기, 되메우기, 관의 매설작업을 중지한다.
  • ④ 외기의 최고온도가 30℃를 초과하면 콘크리트를 냉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공사감독자와 상의하여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명시된 하나의 도시지역에서 확보해야 하는 도시공원의 최소 면적 기준은? (단, 개발제한구역 및 녹지지역을 포함한다.)
  • ① 해당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3m2
  • ② 해당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6m2
  • ③ 해당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9m2
  • ④ 해당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10m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종자분사파종공(seed spra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종자살포기로 종자, 비료, 침식방지제 등을 물과 교반하여 살포하는 공법이다.
  • ② 기계시공법으로, 주로 적용하는 곳은 초종 위주의 전면녹화를 필요로 하는 지역이다.
  • ③ 종자가 발아, 활착되기 전에 유실되기 쉽다.
  • ④ 빠른 시일 내에 넓은 면적의 녹화가 가능하나 시공비가 많이 든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중국의 원림 중 사가원림(私家園林)이 아닌 것은?
  • ① 졸정원(拙政園)
  • ② 원명원(圓明園)
  • ③ 사자림(獅子林)
  • ④ 유원(留園)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뿌리전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뿌리껍질에 대한 환상박피는 쇠약해진 나무에 대해 새로운 뿌리를 가지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 ② 이른 봄 눈이 움직이기 직전에 단근과 함께 시비를 해주면 뿌리의 신장효과를 높일 수 있다.
  • ③ 단근 시 뿌리의 절단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유합조직이 잘 형성되도록 한다.
  • ④ 일반적으로 단근은 2~3년에 한 번 정도 실시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