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임업경영(2020. 6. 13.) 시험일자 : 2020년 6월 13일

1. 산림분야의 6차 산업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1ㆍ2ㆍ3차 산업을 융합하여 임가에 높은 부가가치 소득을 발생시키는 산업이다.
  • ② 증가하는 휴양수요에 부응하며 임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 ③ 산림에서 수확을 매년 균등적ㆍ항상적으로 영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④ 다양한 산림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촌주민의 소득 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다.

ㅇㅇ2021. 4. 21. 16:10삭제
농·임업 등 농·산촌 자원(1차)과 농·임산물 가공, 외식, 유통, 관광·레저 등 2,3차 산업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상품과 시장을 창출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경제활동 ① 농·임업인 등 농·산촌 지역주민 주도 ② 지역 부존 자원 활용 ③ 창출된 부가가치·일자리가 농·임업 및 농·산촌으로 내부화
2. 선형계획법의 전제조건 중 의사결정변수가 정수는 물론 소수의 값도 가질 수 있는 조건은?
  • ① 분할성
  • ② 부가성
  • ③ 비례성
  • ④ 선형성

ㅇㅇ2025. 6. 19. 20:57삭제
비례성; 작용성, 이용량은! 활동수준에 비례! 비례! 비례성~ 비부성: 1사분면의 + 양의값을 가진다 부가성: 둘 이상의 활동의 합은 전체활동량과 같다 분할성: 소수점가능 즉, 소수의 값도 가질수있다! 제한성: 변수들의 수는 제한된다! 제한성! 확정성: 확정! 매개변수들은~ 일정한 값을 가진다! 확정! 되있다! 값이
ㅇㅇ2021. 4. 21. 16:18삭제
분할성 : 모든 생산물과 생산수단은 분할이 가능해야 한다. 이건은 의사결정변수가 정수는 물론 소수의 값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3. 현재 우리나라 상수리나무의 지위지수곡선을 제작하기 위한 기준임령[년]은?
  • ① 10
  • ② 25
  • ③ 30
  • ④ 50

ㅇㅇ2025. 6. 19. 21:00삭제
지위지수 곡선제작 기준임령은~ 대부분의 수종들은 지위지수 즉, 토지생산능력 곡선제작을 위한 기준임령은 20년이고! 이태리포플러는 12년! / 상수리나무는 30년!
ㅇㅇ2021. 4. 21. 16:20삭제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대부분의 수종에서 기준임령을 20년으로 하고 있으며 단, 이테리 포플러는 12년, 상수리나무, 신갈나무는 30년으로 하고 있다.
4.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도시림의 기능 구분이 아닌 것은?
  • ① 풍치형
  • ② 공원형
  • ③ 방풍ㆍ방음형
  • ④ 생산형

ㅇㅇ2025. 6. 19. 16:21삭제
도시림 관리생산방식 --> 경관형, 공원형, 방음,방풍형, 생산형
ㅇㅇ2021. 4. 21. 16:26삭제
제23조(도시림의 기능별 관리) ①영 제19조제5항에 따른 도시림의 기능은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한다. <개정 2008. 6. 20.> 1. 공원형 : 자연체험, 레크레이션, 환경교육 등 산림교육ㆍ문화의 장소로 이용하는 산림 2. 경관형 :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시각적으로 풍요로움을 주는 산림 3. 방풍ㆍ방음형 : 바람, 소음, 대기오염물질을 완화시켜 쾌적한 거주환경이 되도록 하는 산림 4. 생산형 : 쾌적한 거주환경을 훼손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목재나 버섯 등의 임산물을 생산하는 산림
5. 투자사업에 대한 효과분석을 위한 평가항목 중 재무분석의 비용에서 제외되는 항목은?
  • ① 세금
  • ② 정부보조금
  • ③ 지불이자
  • ④ 토지매입비

ㅇㅇ2025. 6. 19. 19:53삭제
투자사업에 대한 효과분석을위한 평가항목중 경제분석, 재무분석이있죠! 경제분석, 재무분석 공통으로 들어가는 항목들 = 산출물가격, 임금, 세금, 토지매입비, 할인율! 이중 차이나는 요소가 하나있다! 경제분석은~ 정부보조금이 들어가고! 재무분석은~ 지불이자! 가 포함된다! 따라서 재무분석에서 정부보조금은 제외된다~ 저놈은 재무분석이아니라! 경제분석에 들어가는항목! 마찬가지 지불이자는 재무분석에 들어가지만! 경제분석에는x
ㅇㅇ2021. 4. 21. 16:29삭제
투입산출물 가격 : 시장가격 임금 : 시장임금 세금 : 비용에 포함 정부보조금 : 비용에서 제외 지불이자 : 비용에 포함 토지매입비 : 구입가격 할인율 : 자본비용
6.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상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재조림:최소한 과거 50년 동안 산림이 아니었던 토지에 대하여 인위적인 식재ㆍ파종 및 천연갱신 유도를 통하여 산림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 ② 식생복구:신규조림이나 재조림 외에 식생 조성을 통하여 그 입지에서의 산림탄소흡수량을 증가시키는 인위적인 활동을 말한다.
  • ③ 목제품:수확된 목재 및 목재를 원료로 가공된 제품을 말한다.
  • ④ 산림탄소상쇄:산림탄소흡수량을 온실가스 감축에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ㅇㅇ2025. 6. 19. 21:03삭제
50년간~ 산림이아니었던곳에 다시조림한다? --> 신규조림이라고 봐야지 산림이 아니었던!!! 곳에~ 새롭게 조림하여 산림으로 만들려는거니까!
ㅇㅇ2021. 4. 23. 11:27삭제
신규조림 : 최소한 과거 50년 동안 산림이 아니었던 토지에 산림을 조성하는 활동 재조림 : 본래 산림이었으나 1989년 12월 31일 이전에 다른 용도로 전용되어 현재까지 산림이 아닌 토지에 산림을 조성하는 활동
7. 산림경영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산림경영은 일반적으로 산림이 가지는 여러 기능을 복합하여 경영해야 한다.
  • ② 경제성과 공익성을 구분할 때, 공익성을 경제성의 수단으로 다루어야 한다.
  • ③ 산림이 가지는 모든 기능과 경영조건을 중립적으로 선택ㆍ판단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임분별로 시업계획을 수립한다.
  • ④ 산림의 건전화에 의한 생산력 증대와 공익적ㆍ복지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경영한다.

ㅇㅇ2025. 6. 19. 21:17삭제
산림은! 이익도 추구하지만! 공공성도 추구하죠? 다라서 공익성이 경제성보다 더 우선시하지는x
8. 공ㆍ사유림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산림구획 및 산림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공유림경영계획구의 명칭은 경영계획 앞에 읍ㆍ면ㆍ동 또는 공공단체의 이름을 붙인다.
  • ② 사유림경영계획구의 명칭은 2개 이상의 경영계획구로 구분될 경우 산림소유자명ㆍ협업자명 또는 법인체명 뒤에 각각 아라비아 숫자를 붙인다.
  • ③ 산림소재지는 경영계획 편성지의 시ㆍ군ㆍ구 단위까지만 기록한다.
  • ④ 산림면적은 ha단위 정수로 기록하며, 필요한 경우 소수점 한 자리까지 기재할 수 있다.

ㅇㅇ2025. 6. 19. 21:22삭제
구획: 경영계획구, 임반, 소반 공유림은~ 특별시,광역시, 시,도,군,자치구, 공공단체명 기재! 사유림은 소유자, 기업체명을 적되! 계획구가 2개이상인 경우! 앞에 각각 지역명기재 산림현황 소유자: 이름 또는 기관명 산림소재지: 편성지의 시 군 구 읍면동리 등 주소기재 지번: 편성지 지번 임반과 소반: 구획현황과 번호! 면적: ha단위로! 정수로 기재할것, 소수점은 한자리까지 경사: 주경사도 기입 산지구분: 합리적 보전, 이용에 부합 공유림계획구명칭은~ 앞에 읍면동 말고! 특별시 ,광역시, 시 도 군 자치구! 그리고 공공단체명을 기입한다 사유림은 2개이상의 경영계획구가 있을때~ 각각 앞에 지역명을 기입한다! 아라비아숫자x 산림소재지는! 기입할때! 읍면동리 까지 싹~다 기입한다! 산림면적은 ha단위, 정수로 기입, 필요한경우 소수점 1자리까지!
9. 동령림과 이령림의 임분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동령림의 임분구조는 일반적으로 평균 직경급에 본수가 집중되고 평균에서 멀어질수록 본수가 줄어드는 종모양의 정규분포 형태를 나타낸다.
  • ② 임령이 증가할수록 동령림은 직경급의 분포가 넓어진다.
  • ③ 이령림은 다양한 영급으로 구성되어 Weibull 분포에 의하여 임분구조를 나타낸다.
  • ④ 이령림의 임분구조는 일반적으로 낮은 직경급에 본수가 집중되고 직경급이 증가할수록 본수가 줄어드는 역 J자 형태를 나타낸다.

ㅇㅇ2025. 6. 19. 21:44삭제
임분구조에는 동령림과 이령림이있다! 동령림 = 정규분포, 평균에서 멀수록~ 본수감소, 임령증가할수록 분포넓어짐 Weibull분포에의한 임분구조를 보인다 이령림 = 역J자, 낮은직경에 본수 많다, 이령림은 시작과 끝모호, 이령림의 각 영급은 동령림이다 따라서! 동령림의 임분구조는! 평균에 본수가 많다 왜? 정규분포 종모양이니까! 그리고 평균에서 먼 즉, 중앙에서 멀어지는 양 가쪽갈수록 본수감소 임령이 증가할수록~ 동령림의 분포가 넓어진다 Weibull 분포는 동령림임분구조다! 이령림의 임분구조는! 낮은직경급에 본수 집중 왜? 역 J자니까~ 초기에 높다~
ㅇㅇ2021. 4. 23. 11:44삭제
동령림에서의 직경급별 입목분수의 분포는 Weibull분포에 의하여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직경급생장 및 수확모델에 활용한다.
10. 감가상각비의 계산 방법이 옳지 않은 것은?
  • ① 정액법:감가상각비=취득원가-잔존가치/추정내용연수
  • ② 정률법:감가상각비=취득원가-감가상각비누계액/감가율
  • ③ 연수합계법:감가상각비=(취득원가-잔존가치)×감가율
  • ④ 생산량비례법:총감가상각비=실제 생산량×생산량당 감가상각률

ㅇㅇ2025. 6. 19. 21:30삭제
감가상각공식 4가지 정액법 = (취득원가 - 잔존가치) / 내용연수 정률법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 감가율 내용연수합계법 = (취득원가 - 잔존가치) * 감가율! 감가율 = (제n년차 내용연수 / 내용연수총합) 생산량비례 = 실제생산량 * 생산량당 감가상각률
ㅇㅇ2021. 4. 23. 11:48삭제
정액법 :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치/ 추정내용연수 정률법 :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감가상각비누계액) X 감가율 연수합계법 :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치) X 감가율 작업시간 비례법 : 총감가상각비 = 실제작업시간 X 시간당 감가상각률 생산량 비례법 : 총감가상각비 = 실제생산량 X 생산량당 감가상상각률
11.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위한 원형표준지의 면적을 0.04ha로 할 때 이 표준지의 반지름[m]은? (단, 원주율은 3.14이고 값은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 ① 7.3
  • ② 9.5
  • ③ 11.3
  • ④ 13.5

ㅇㅇ2025. 6. 19. 14:18삭제
원형표준지 면적은 0.04 * 10000 = 400m^2 x^2 * 3.14 = 400 400/1/314/100 = 40000 / 314 = 127.388~~ 11의 제곱 = 121 ~ 11.3^2 = 127~~~ 반지름 11.3
12. 공ㆍ사유림 산림경영계획의 임목 생산을 위한 수종과 일반기준 벌기령[년]이 옳게 짝 지어지지 않은 것은?
  • ① 일본잎갈나무(낙엽송)-30
  • ② 소나무-40
  • ③ 편백-50
  • ④ 잣나무-50

ㅇㅇ2025. 6. 19. 16:14삭제
기준벌기령 별표 3에 보면 소 잣 / 리 낙 / 삼편기타침엽수 / 참포기타활엽수 국유림 , 공.사유림. (기업림) 소 = 60 40 (30) 잣 = 60 50 (40) 리기다 = 30 25 (20) 낙엽송 = 50 30 (20) 삼나무 = 50 30 (30) 편백 = 60 40 (30) 기타침엽수 = 편백 = 60 40 (30) 참나무류 = 60 25 (25) 포플러류 = 3 3 기타활엽수 = 60 40 (20) + 특수용도기준벌기령 = 기업림벌기령 단, 소나무는 제외
ㅇㅇ2021. 4. 28. 15:03삭제
- 소나무: 60년(국유림), 40년(공유림,사유림), 30년(기업경영림) - 리기다소나무: 30년(국유림), 25년(공유림,사유림), 20년(기업경영림) - 춘양목보호림단지: 100년(국유림), 100년(공유림,사유림), 100년(기업경영림) - 잣나무: 60년(국유림), 50년(공유림,사유림), 40년(기업경영림) - 낙엽송: 50년(국유림), 30년(공유림,사유림), 20년(기업경영림) - 삼나무: 50년(국유림), 30년(공유림,사유림), 30년(기업경영림) - 편백나무: 60년(국유림), 40년(공유림,사유림), 30년(기업경영림) - 기타침엽수: 60년(국유림), 40년(공유림,사유림), 30년(기업경영림) - 참나무류: 60년(국유림), 25년(공유림,사유림), 20년(기업경영림) - 포플러류: 3년(국유림), 3년(공유림,사유림), 3년(기업경영림) - 기타활엽수: 60년(국유림), 40년(공유림,사유림), 20년(기업경영림)
13. 국유림경영계획의 임황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소밀도는 조사면적에 대한 입목의 수관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100분율로 표시한다.
  • ② 수종은 전 수종을 기재하고, 혼효림은 점유비율이 높은 수종부터 3종까지 기재할 수 있다.
  • ③ 영급은 10년을 Ⅰ영급으로 한다.
  • ④ 임령은 임분의 나이를 말하며 으로 표시한다.

ㅇㅇ2025. 6. 19. 19:37삭제
임황조사에서 수종은~ 주수종을 기재하고! 최대 5종까지 점유율순으로 기재한다
dd2021. 4. 28. 15:08삭제
2) 주요 수종의 수종명을 기재하며, 혼효림의 경우에는 5종까지 조사할 수 있다.
14. 단목(single tree)의 연령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임목의 연령(age)이란 임목이 발아하면서부터의 경과 연수를 말하며 경제령을 뜻한다.
  • ② 수목의 연륜(annual ring)에서 분열증식이 왕성하지 않을 때 형성된 것을 춘재, 왕성할 때 형성된 것을 추재라 한다.
  • ③ 생장추를 사용하여 목편을 빼낼 때는 수간축(stem axis)과 평행하는 방향에서 빼내야 한다.
  • ④ 목편을 흉고지점에서 빼낸다면 흉고까지 성장하는데 소요된 연수를 목편의 연륜수에 더한다.

ㅇㅇ2025. 6. 19. 21:06삭제
수간석해에서도 동일하다 임령의 측정은~ 나이테수 + 측정지점까지의 생장년수! 로 계산한다! 생장추, 수간석해 둘다 임령측정방식은 비슷~ 나이테수 + 측정지점까지 생장년수
dd2021. 4. 28. 15:13삭제
생장추로 목편을 빼어낸 후 목편에 나타난 나이테 수르 세어 나무의 연령을 측정한다. 생장추로 목편을 빼어낸 후 목편에 나타난 나이테 수를 세어 나무의 연령을 측정한다.
15. 임업 생산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평균생산물은 생산요소 1단위당 산출량이다.
  • ② 평균생산물이 증가할 때에는 한계생산물이 평균생산물보다 크다.
  • ③ 평균생산물은 0 이하로는 감소할 수 없으나 한계생산물은 0보다 작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④ 생산요소투입이 추가되어도 총생산물이 불변일 경우에는 한계생산물은 1이 된다.

ㅇㅇ2025. 6. 19. 19:42삭제
추기 자원을 투입했는데 --> 총생산량 불변이면! 한계생산물은 0이다 추가자원을 투입했는데 --> 총생산량이 감소하면? --> 평균생산량, 한계생산량 모두 음의 값을 가진다 평균생산물은 생산요소 1단위당! 산출량! 한계생산물은 1단위 추가투입때마다! 생산물이 변화하는 양! 평균생산물 증가할때! 한계는 그보다 더 크다! (1영역) 평균생산물은 0이하로 감소하지 않지만! 한계생산물은 음의값을 가질수있다! 생산요소 투입 추가할때! 총생산이 불변이면! 한계생산물은 0이된다!
16. (가)에 해당하는 것은?
  • ① 교토의정서
  • ② 마라케쉬합의문
  • ③ 발리행동계획
  • ④ 파리협정

dd2021. 4. 29. 15:24삭제
파리협정 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는 신기후체제 합의문인 파리협저이이 채택되었다. 교토의정서 체제를 대신하는 것으로, 국제사회 장기 목표로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평균기온 상승을 2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온도상승을 1.5도 이하로 제한하기로 합의하였다.
17. 동일한 지위의 임지에서 벌기에 이르기까지 각 영계의 임목이 동일한 면적이 있을 때, 일반적으로 법정림의 영계수와 같은 것은?
  • ① 법정영급면적
  • ② 윤벌기연수
  • ③ 개위면적
  • ④ 영급수

ㅇㅇ2025. 6. 19. 11:37삭제
법정영급분배를 보면~ 법정림의 영계수 = 윤벌기 와 같다
18. 산림면적이 100ha인 인공림을 변이계수 20%, 표본점 크기 0.04ha(20m×20m), 허용 추정오차율 10%로 하여 산림조사를 실시하기 위한 최소 표본점 추출 개수는? (단, 신뢰도 계수 t=2를 적용한다)
  • ① 16
  • ② 24
  • ③ 36
  • ④ 63

ㅇㅇ2025. 6. 19. 11:41삭제
표본점의 개수 = 4 * 면적 * 변이계수^2 4 * 100 * 0.2^2 = 16
ㅇㅇ2021. 4. 29. 15:33삭제
표본조사법에서 표본점의 수를 결정하는 공식 n ≥ 4Ac2 e2A+4ac2 (n : 표본점의 수, A : 임분면적, a : 표본점의 면적, e : 오차율, c : 변이계수) 따라서, 4 × 100 × 0.22 = 16/ 1 = 16 (0.12 × 100) + (4 × 0.04 × 0.22)
19. 임도를 5년마다 1,000만 원씩 들여 10회를 수리할 때, 임도의 수리에 투입한 수리비의 미래가 합계[만 원]는? (단, 이율은 5%, 1.055=1.3, 1.0550=11.5이다)
  • ① 22,000
  • ② 25,000
  • ③ 30,000
  • ④ 35,000

dd2021. 4. 29. 15:35삭제
1,000만원 × (1.055×10 –1/ 1.055-1) = 35,000 만원
20. 임목 순생장량이 50m3인 소나무림의 이산화탄소흡수량[CO2 톤]은? (단, 목재 기본밀도는 0.4,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1.5, 뿌리 함량비는 0.2, 탄소 전환계수는 0.5이다)
  • ① 11
  • ② 66
  • ③ 198
  • ④ 231

ㅇㅇ2025. 6. 19. 21:08삭제
탄소흡수량공식 순생장량 * 기본밀도 * 바이오메스계수 * (1+뿌리함량비) * 전환계수 * 44/12 50 * 0.4 * 1.5 * (1+0.2) * 0.5 * 44/12 즉, 문제에서~ 주어지는것들~ 다~ 곱하면된다! 단, 뿌리함량비는 1더하고! 마지막에 44/12곱하기
dd2021. 4. 29. 15:36삭제
탄소흡수량(CO2 톤) = 임목 순생장량 × 목재기본밀도 ×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 (1+뿌리함량비) × 탄소전환계수 × 44/12 따라서, 50 × 0.4 × 1.5 × 1.2 × 0.5 × 44/12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