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정비기능사(2006. 1. 22.) 시험일자 : 2006년 1월 22일
1과목 : 비행원리
1. 상반각(쳐든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① 날개 끝 실속(익단실속)을 방지하고 세로안정성을 증가시킨다.
 - ② 선회 성능을 향상시키고 가로안정성을 감소시킨다.
 - ③ 유도항력과 공기저항을 작게 하여 방향 안정성을 좋게 한다.
 - ④ 옆미끄럼(횡활, side slip)을 방지하고 가로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비행기의 방향안정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미치 는 것은?
- ① 큰날개
 - ② 수직꼬리날개
 - ③ 수평꼬리날개
 - ④ 기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그림과 같은 실속 특성을 갖는 날개골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두께가 얇은 날개골
 - ② 앞전 반지름이 작은 날개골
 - ③ 캠버가 작은 날개골
 - ④ 가로세로비가 작은 날개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비행기가 V의 속도를 갖고 수평선에 대해 의 각도로 상승하고 있을 때 상승률(RATE OF CLIMB)을 구하는 식은?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다음 중 무동력 항공기는?
- ① 비행선
 - ② 자이로다인
 - ③ 오토자이로
 - ④ 활공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동축 역회전식 회전날개 헬리콥터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① 두 개의 주회전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각각의 회전날개에서 발생되는 토크는 서로 상쇄되어 조종성이 좋다.
 - ② 동일한 축에 두 개의 주회전 날개를 부착시키므로 조종기구가 간단해 진다.
 - ③ 기체의 높이를 매우 낮게 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 ④ 주회전날개가 앞뒤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세로안전성이 좋고, 무거운 물체의 운반에 적합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충격파의 강도란 무엇인가?
- ① 충격파 전·후의 온도차
 - ② 충격파 전·후의 압력차
 - ③ 충격파 전·후의 속도차
 - ④ 충격파 전·후의 밀도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비행기의 동적 가로안정의 특성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① 방향 불안정
 - ② 세로 불안정
 - ③ 나선 불안정
 - ④ 더치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비행기의 무게 8,000㎏, 날개면적 50m2, 최대양력계수 1.5일 때 실속속도는 몇 m/sec인가?
- ① 32
 - ② 41
 - ③ 54
 - ④ 6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날개의 길이가 11[m], 평균시위의 길이가 1.8[m]인 타원날개에서 양력계수가 0.8일 때 가로세로비는 얼마인가?
- ① 4.9
 - ② 6.1
 - ③ 7.6
 - ④ 8.8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다음의 헬리콥터 플래핑 힌지에 작용되게 되는 모멘트 중 다른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작아 무시되는 모멘트는?
- ① 양력
 - ② 원심력
 - ③ 깃의 무게
 - ④ 헬리콥터의 무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활공기가 활공각 로 활공비행할 때 항력계수(CD)와 양력계수(CL)와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표한한 것은?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항력의 종류 중에서 유해항력(parasite drag)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① 압력항력
 - ② 마찰항력
 - ③ 유도항력
 - ④ 형상항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충격파의 강도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① 충격파 전·후의 압력차
 - ② 충격파 전·후의 밀도차
 - ③ 충격파 전·후의 속도차
 - ④ 충격파 전·후의 온도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비행기의 세로조종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 ① 플랩(FLAP)
 - ② 도움날개
 - ③ 승강키(ELEVATOR)
 - ④ 방향키(RUDDER)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항공기 비행시간의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① 항공기가 비행을 목적으로 램프에서 자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순간부터 착륙하여 정지할 때 까지
 - ② 항공기가 비행을 목적으로 활주로에서 바퀴가 떨어진 순간부터 착륙할 때 까지
 - ③ 항공기가 비행을 목적으로 램프에서 자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순간부터 착륙할 때 까지
 - ④ 항공기가 비행을 목적으로 램프에서 움직이기 시작한 순간부터 착륙하여 시동이 꺼질 때 까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항공기에 작동유를 보급할 때 주의사항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① 한번 사용한 작동유는 정제하여 재사용한다.
 - ② 작동유는 2종류 이상의 작동유를 혼합해서 사용한다.
 - ③ 보급을 하고 남는 작동유는 다음번 보급에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다.
 - ④ 한번 작동유를 보급하면 1000시간 내에는 다시 보급할 필요가 없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고장의 자료와 품질에 관한 자료를 감시,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것에 대한 처리 대책을 강구하는 정비방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① 공장 정비관리
 - ② 정시 점검관리
 - ③ 신뢰성 정비관리
 - ④ 예방 정비관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치수검사에서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① 시차, 온도, 공차
 - ② 온도, 측정력, 정밀도
 - ③ 시차, 정확도, 측정력
 - ④ 시차, 온도, 측정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항공기의 잭 작업시에 잭 포인트는 지침서에 표시되어 있으며 정비사는 반드시 이 침서에 의거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잭 작업시 잭 포인트에 설치하여야 할 작업공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① 응력 패널(stress panel)
 - ② 계류 로프(tie-down rope)
 - ③ 촉(chock)
 - ④ 잭 패드(jack pad)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항공기정비
21. 항공기 견인 속도가 틀린 것은?
- ① 시속 8km이다.
 - ② 보행 속도이다.
 - ③ 5mph이다.
 - ④ 시속 10km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리벳 작업시 일반적으로 리벳과 리벳 구멍의 여유 간격은 얼마가 가장 적당한가?
- ① 0.05~0.1mm
 - ② 0.1~0.5mm
 - ③ 0.01~0.05mm
 - ④ 0.5~0.8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다음 중 항공기 표피(Skin)와 같이 얇은 판재의 균열을 검사할 때 자동화가 가능하고 표면결함에 대한 검출감도가 가장 좋은 검사는?
- ① 자분탐상 검사
 - ② 형광침투 검사
 - ③ 염색침투 검사
 - ④ 와전류 탐상 검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최소 측정값이 1/50mm인 버니어 캘리퍼스에서 다음 그림의 측정값은 얼마인가?

- ① 4.52
 - ② 4.70
 - ③ 4.72
 - ④ 4.7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항공기 운항을 목적으로 수행되는 점검으로 액체 및 기체류의 보급과 비행시 발생한 결함의 교정 등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정비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 ① 운항 정비
 - ② 정시점검
 - ③ 수리
 - ④ 개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밑줄 친 부분을 의미하는 올바른 단어는?

- ① 수평안정판
 - ② 수직안정판
 - ③ 수직축
 - ④ 수평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Change 20[℃] to degrees ℉?
- ① 6.6℉
 - ② 68℉
 - ③ 93.6℉
 - ④ 29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현대 항공기의 중앙정비컴퓨터(CMC)의 입출력장치로 사용되는 제어지시장치(CDU)로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시험이 아닌 것은?
- ① 지상시험
 - ② 시한성 시험
 - ③ 신뢰성 시험
 - ④ 내부 자동시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TURN-BUCKLE로 연결할 때, 안전하게 결합(잠김)된 상태로 가장 올바른 것은?
- ① 나사가 3~4개 이상 보여서는 아니 된다.
 - ② 나사가 전혀 나오지 않게 잠겨져야 한다.
 - ③ CABLE을 장착하고 TURN BUCKLE을 2회만 잠그면 된다.
 - ④ BARREL중앙부의 양측에서 꼽은 부분이 서로 닿도록 잠겨져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항공기용 볼트의 그립(GRIP)길이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 ① 볼트의 직경과 일치
 - ② 볼트의 직경과 나사산의 수가 일치
 - ③ 체결해야 할 부재의 두께와 일치
 - ④ 볼트 전체 길이에서 나사부분의 길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조치해야 할 내용 중 가장 올바른 것은?

- ① 항공유이기 때문에 증발하므로 방치하여도 무방하다.
 - ② 흘려진 연료를 마른헝겊으로 닦는다.
 - ③ glycol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 ④ 연료 흔적에 염산을 도포(spray)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전기화재 또는 유류화재에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되는 소화기는?
- ① 압축된 물 소화기
 - ② 거품 소화기
 - ③ 탄산가스 소화기
 - ④ 건조화학 분말소화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강풍 상태에서 항공기를 주기장에 계류시킬 경우 계류절차로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 ① 항공기를 바람방향으로 주기 시킨다.
 - ② 모든 바퀴에는 굄목(초크)를 끼운다.
 - ③ 항공기를 계류밧줄이나 케이블을 이용하여 앵커 말뚝에 고정시킨다.
 - ④ 화재 위험에 대비하여 항공기 연료 탱크의 연료를 완전히 비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다이얼 게이지 측정 작업이 아닌 것은?
- ① 원통의 진원상태 검사
 - ② 축의 지름측정 검사
 - ③ 크랭크축 및 캠축의 움직임 크기를 측정
 - ④ 기어의 흔들림 검사와 원판의 런 아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다음의 스크류(SCREW)표시에서 가장 올바른 내용은?

- ① 514 : 규격명
 - ② 428 : 계열
 - ③ P : 머리의 홈
 - ④ 8 : 스크류의 지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가스터빈 기관의 비연료 소비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① 비연료 소비율이 작을수록 경제적인 기관이다.
 - ② 가스터빈 기관의 성능을 평가하기에 그리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 ③ 비연료 소비율이 클수록 열효율도 상승한다.
 - ④ 1분 동안 시동시 연료의 소비율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왕복기관의 임계고도(Critical Altitude)는 다음 중 어느 것에 의해 결정되는가?
- ① 이륙마력
 - ② 정격마력
 - ③ 제동마력
 - ④ 순항마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속도 360km/h로 비행하는 항공기에 장착된 터보제트 기관이 196kgf/s인 질량 유량의 공기를 흡입하여 200m/s의 속도로 배기시킬 경우 총추력은 몇[kgf]인가?
- ① 1000
 - ② 2000
 - ③ 4000
 - ④ 600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프로펠러가 기관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출력은 무엇인가?
- ① 운동마력
 - ② 지시마력
 - ③ 제동마력
 - ④ 마찰마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가스터빈 기관에서 연료의 구비조건 중 틀린 것은?
- ① 연료의 증기압이 낮아야 한다.
 - ② 연료의 빙점이 높아야 한다.
 - ③ 연료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가격이 싸야 한다.
 - ④ 단위 중량당 발열량이 커야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항공기관
41. 가스터빈 기관의 압축기 실속방지를 위한 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다축식 구조
 - ② 가변 로우터 깃
 - ③ 가변 스테이터 깃
 - ④ 블리드 밸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기관 압력비(Engine Pressure Ratio : EPR)란?
- ① 압축기 입구압력과 출구압력의 비
 - ② 압축기 출구압력과 팬 출구압력의 비
 - ③ 압축기 입구 전압력과 터빈 출구 전압력의 비
 - ④ 팬의 입구 전압력과 배기출구 전압력의 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왕복엔진에서 진동이 증가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 ① 각 활동부 마모를 크게 한다.
 - ② 전기계통 및 일반계통의 일반적인 고장의 원인이 된다.
 - ③ 출력을 증진시킨다.
 - ④ 베어링에 큰 응력이 걸리게 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항공기의 왕복기관 연료계통 구성품 중에서 기관을 시동할 때 실린더 안에 직접 연료를 분사시켜 농후한 혼합가스를 만들어 줌으로써 시동을 쉽게 하는 장치는?
- ① 기화기
 - ② 프라이머
 - ③ 연료펌프
 - ④ 연료여과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9기통 성형 기관에서 회전 영구자석이 4극형이라면 회전 영구자석의 회전속도는 크랭크축의 회전속도의 몇 배가 되는가?
- ① 8/9
 - ② 4/9
 - ③ 9/8
 - ④ 5/8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왕복기관에서 피스톤 링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충격흡수작용
 - ② 누설방지작용
 - ③ 열전도 작용
 - ④ 윤활유 조절작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다음에서 섭씨온도(Tc)와 화씨온도(Tf)의 관계식을 가장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부자식(float type)기화기에서 이코노마이저(economizer)장치의 주 목적은?
- ① 고출력으로 할 때 연료를 절감하기 위하여
 - ② 드로틀이 갑자기 열릴 때, 추가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 ③ 이륙하는 동안 엔진구동 연료펌프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 ④ 순항출력 이상의 출력일 때 농후 혼합비를 만들어주기 위하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가스터빈 기관은 비행고도가 상승함에 따라 대기압 및 대기온도가 저하된다. 이 때 대기압 저하는 추력을 저하시키는 반면, 대기온도 저하는 반대로 추력증강의 요인이 된다. 그러나 고도가 높아지면 결국 추력이 저하되는 데 다음 중 그 이유로 가장 올바른 것은?
- ① 고도 상승으로 대기압 저하에 의한 추력 저하량이 온도 저하에 따른 추력 증가량보다 크기 때문이다.
 - ② 대기 온도는 추력변화에 큰 변화를 주는 반면, 대기압 저하는 추력변화에 크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 ③ 고도 상승으로 대기압 저하에 의한 추력 저하량이 온도 저하에 따른 추력 증가량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 ④ 대기압 저하 및 온도 저하는 추력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왕복기관에서 밸브간극을 규정 값으로 조절했을 때 얻어지는 이점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① 고출력을 얻을 수 있다.
 - ② 기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 ③ 혼합기의 손실이 적다.
 - ④ 조기점화를 방지할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가스터빈 기관의 터빈깃의 냉각방법 중 터빈깃의 내부를 중공으로 제작하여 이곳으로 차가운 공기가 지나가게 함으로써 냉각시키는 것은?
- ① 충돌냉각
 - ② 공기막냉각
 - ③ 대류냉각
 - ④ 침출냉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다음에서 애뉼러형(annular type)연소기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연소실은 화염 전파관(flame tube)을 가지고 있다.
 - ② 동일 출력의 연소기 가운데 축방향 길이가 가장 짧다.
 - ③ 동일출력 연소기 가운데 가장 가볍다.
 - ④ 터빈으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분포가 가장 고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다음 중 벤추리 관의 설명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목부분(THROAT)을 통과하는 속도는 증가하고 압력은 낮아진다.
 - ② 부자식 기화기에만 사용된다.
 - ③ 혼합조종장치가 필요하다.
 - ④ 압력차에 의하여 연료가 분사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압축기 입구의 압력이 1.5kN/cm2이고 출구의 압력이 18kN/cm2일 때 가스터빈 기관의 이론 열효율은 얼마인가? (단, 공기의 비열비는 1.4 이다.)
- ① 0.51
 - ② 1.51
 - ③ 2.51
 - ④ 0.26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동일한 대기압과 온도 조건하에서 실제로 실린더 속으로 흡입된 혼합기의 부피와 실린더 배기량과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 ① 열효율
 - ② 배기 효율
 - ③ 부피 효율
 - ④ 압축 효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작동유체의 상태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 먼 내용은?
- ① 등온과정이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진행되는 작동유체의 상태변화
 - ② 정적과정이란 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진행되는 작동유체의 상태변화
 - ③ 단열과정이란 주위와 열의 출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진행되는 작동유체의 상태변화
 - ④ 정압과정이란 비중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진행되는 작동유체의 상태변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연소실에 유입되는 1차 유입공기에 강한 선회를 주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는?
- ① 후레임 튜브
 - ② 인너 라이너
 - ③ 스웰 가이드 베인
 - ④ 아우터 라이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다음 중 가스터빈 엔진의 배기소음이 가장 심한 것은?
- ① 터보 팬 엔진
 - ② 터보 프롭 엔진
 - ③ 터보 제트 엔진
 - ④ 터보 샤프트 엔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왕복기관의 분류 방법 중 실린더 배열 방법에 의한 분류 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대향형 기관
 - ② 성형 기관
 - ③ V형 기관
 - ④ 항공용 기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왕복기관에서 실린더 안의 연소가 가장 잘 이루어지는 연소실의 모양은?
- ① 원뿔형
 - ② 도움형
 - ③ 삼각형
 - ④ 반구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