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2015. 10. 25.) 시험일자 : 2015년 10월 25일
1과목 : TCP/IP
1. C Class의 IP Addre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Network ID는 '192.0.0 ~ 223.255.255'이고, Host ID는 '1 ~ 254'이다.
 - ② IP Address가 203.240.155.32 인 경우, Network ID는 203.240, Host ID는 155.32가 된다.
 - ③ 통신망의 관리자는 Host ID '0', '255'를 제외하고, 254개의 호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 ④ Host ID가 255일 때는 메시지가 네트워크 전체로 브로드 캐스트 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xxx.yyy.zzz’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telnet xxx.yyy.zzz:5555'라고 명령을 입력했다. 여기서 '5555'의 의미는?
- ① 포트 번호
 - ② 사용자 번호
 - ③ 이더넷 주소
 - ④ IP Address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DNS에서 사용될 때 TTL(Time to Live)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① 데이터가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 ② 데이터가 DNS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 ③ 패킷이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 ④ 패킷이 DNS서버 네임서버 레코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패킷 전송의 최적 경로를 위해 다른 라우터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데, 최대 홉이 15를 넘지 못하는 프로토콜은?
- ① RIP
 - ② OSPF
 - ③ IGP
 - ④ EGP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255.255.255.224'인 서브넷에 최대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는?
- ① 4개
 - ② 8개
 - ③ 16개
 - ④ 32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네트워크에서 송신측과 수신측간에 신뢰성 있는 전송을 확인한다.
 - ② 연결지향(Connection Oriented)이다.
 - ③ 송신측은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일련번호, 수신측 주소, 에러검출코드를 추가한다.
 - ④ 수신측은 수신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여 에러가 있으면 스스로 수정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UDP 패킷의 헤더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Source Port
 - ② Destination Port
 - ③ Window
 - ④ Checksu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SNM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사용자가 네트워크 문제점을 발견하기 전에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이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 ② 데이터 전송은 UDP를 사용한다.
 - ③ IP에서의 오류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며, 시작지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한다.
 - ④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관리를 지원하고 성능을 향상시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DNS(Domain Name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DNS는 IP Address 체계를 따른다.
 - ② DNS는 인터넷 표준 이름을 IP 주소로 맵핑시킨다.
 - ③ DNS는 정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네트워크상의 호스트 변화에 즉각 대응한다.
 - ④ 동적 DNS는 호스트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때 DNS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갱신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 송신기에서 발생된 정보의 정확한 전송을 위해 사용자 정보의 앞, 뒤 부분에 헤더와 트레일러를 부가하는 과정은?
- ① 캡슐화(Encapsulation)
 - ② 동기화(Synchronization)
 - ③ 다중화(Multiplexing)
 - ④ 주소지정(Addressin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IPv6 주소 체계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Unicast 주소
 - ② Anycast 주소
 - ③ Multicast 주소
 - ④ Broadcast 주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Telne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Telnet은 네트워크 가상 단말(NVT)의 표준 단말 타입을 정의한다.
 - ② 원격에 있는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 ③ 명령형식은 Telnet '도메인 이름'(또는 IP Address)이다.
 - ④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적용된 프로토콜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멀티캐스트 라우터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을 유지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 ① ARP
 - ② ICMP
 - ③ IGMP
 - ④ FTP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TCP/IP 프로토콜 중에서 IP 계층의 한 부분으로 에러 메시지와 같은 상태 정보를 알려주는 프로토콜은?
- ①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②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③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④ UDP(User Datagram Protocol)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RAR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RFC 951에 기술된 BOOTP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 ② RFC 903에 명시되어 있다.
 - ③ 하드웨어 주소를 IP Address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④ ARP와 동일한 패킷형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오퍼레이션도 같은 코드를 사용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IP 프로토콜의 헤더 체크섬(Checksum)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① 체크섬 필드를 '0'으로 하여 계산한다.
 - ② 네트워크에서 존재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 ③ 데이터 그램의 총 길이를 나타낸다.
 - ④ IP 헤더에 대해서만 포함되며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I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32bit 주소 체계를 갖는 IPv4의 주소 부족으로 IPv6가 등장했다.
 - ② IPv4에서는 Flow Labeling 기능과 인증,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 ③ IPv6에서는 Next Header가 있어서 확장된 헤더를 가리키도록 하고 있다.
 - ④ IPv6에서는 근원지와 목적지 주소할당을 위해 128bit를 가진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OSI 7 Layer 중 세션계층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대화 제어
 - ② 에러 제어
 - ③ 연결 설정 종료
 - ④ 동기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19. 시분할 다중화(TDM)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디지털 전송에 쓰인다.
 - ② 동기식 방법과 비동기식 방법이 있다.
 - ③ 주파수 편이 변복조(FSK)의 역할을 수행한다.
 - ④ T1 다중화는 시분할 다중화 방법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성형 토폴로지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중앙 제어 노드가 통신상의 모든 제어를 관리한다.
 - ② 설치가 용이하나 비용이 많이 든다.
 - ③ 중앙 제어노드 작동불능 시 전체 네트워크가 정지한다.
 - ④ 모든 장치를 직접 쌍으로 연결할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1.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로 올바른 것은?
- ① 회선 연결 --> 링크 설정 --> 데이터 전송 --> 링크 해제 --> 회선 해제
 - ② 회선 연결 --> 링크 설정 --> 데이터 전송 --> 회선 해제 --> 링크 해제
 - ③ 링크 설정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링크 해제 --> 회선 해제
 - ④ 링크 설정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회선 해제 --> 링크 해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MAC방식으로 라운드 로빈기법을 사용하는 방식은?
- ① CSMA/CD
 - ② Token Ring
 - ③ CSMA
 - ④ DQDB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펄스 부호 변조(PCM)의 3단계 과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 ① 부호화 → 양자화 → 표본화
 - ②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 ③ 부호화 → 표본화 → 양자화
 - ④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전송 장애 중 원래 신호가 다른 형태로 일그러지는 현상은?
- ① 감쇠
 - ② 지연 왜곡
 - ③ 잡음
 - ④ 누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메시지 교환망과 비교했을 때, 회선 교환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연결이 설정되면 데이터의 지연이 적다.
 - ② 소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 ③ 대화식/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다.
 - ④ 초기의 연결설정이 복잡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데이터 흐름 제어(Flow Control)와 관련 없는 것은?
- ① Stop and Wait
 - ② XON/OFF
 - ③ Loop/Echo
 - ④ Sliding Window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OSI 7 Layer를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① 물리 → 데이터 링크 → 전송 → 네트워크 → 세션 → 표현 → 응용
 - ② 데이터 링크 → 물리 → 전송 → 네트워크 → 세션 → 응용 → 표현
 - ③ 전송 → 데이터 링크 → 네트워크 → 물리 → 세션 → 표현 → 응용
 - ④ 물리 → 데이터 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Linux 디렉터리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tmp - 임시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터리
 - ② /boot - 시스템이 부팅 될 때 부팅 가능한 커널 이미지 파일을 담고 있는 디렉터리
 - ③ /var - 시스템의 로그 파일과 메일이 저장되는 위치
 - ④ /usr - 사용자 계정이 위치하는 파티션 위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NOS
29.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내린 명령어를 Kernel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 ① System Program
 - ② Loader
 - ③ Shell
 - ④ Directory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Linux 설치 시 Swap 영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RAM의 부족한 용량을 보충하기 위해 하드디스크의 일정부분을 지정하여 RAM처럼 사용한다.
 - ② 일반적으로 실제 메모리의 두 배 정도면 적당하다.
 - ③ 시스템을 모니터링 한 결과 Swap이 많이 일어나면 메모리를 증설해야 한다.
 - ④ 한번 설정한 Swap은 추가가 불가능하므로 신중을 기해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Linux의 퍼미션(Permission)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파일의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은 'chgrp'이다.
 - ② 파일의 접근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은 'chmod'이다.
 - ③ 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권한을 부여하려면 권한을 '666'으로 변경한다.
 - ④ 파일의 소유권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은 'chown'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Linux 시스템에서 'ping' 이라는 파일을 표준 입력으로 받아서 만들어라"에 대한 명령어 형식으로 올바른 것은?
- ① cat > ping
 - ② cat ping
 - ③ cat - ping
 - ④ cat < pin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Linux에서 사용되는 'free'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 ① 사용 중인 메모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을 알 수 있다.
 - ② 패스워드 없이 사용하는 유저를 알 수 있다.
 - ③ 디렉터리의 사용량을 알 수 있다.
 - ④ 사용 가능한 파일 시스템의 양을 알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Linux DNS의 SOA(Start Of Authority) 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Zone 파일은 항상 SOA로 시작한다.
 - ② 해당 Zone에 대한 네임서버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가 저장된다.
 - ③ Refresh는 주 서버와 보조 서버의 동기 주기를 설정한다.
 - ④ TTL 값이 길면 DNS의 부하가 늘어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Linux와 다른 이기종의 파일 시스템이나 프린터를 공유하기 위해 설치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 ① 삼바(SAMBA)
 - ② 아파치(Apache)
 - ③ 샌드메일(Sendmail)
 - ④ 바인드(BIND)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Windows 2008 R2 Server를 원격으로 관리하고자 한다.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원격관리 서버는?
- ① Telnet 서버
 - ② WINS 서버
 - ③ Exchange 서버
 - ④ SSH 서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Windows 2008 R2 Server의 DNS서버 설정에서 호스트이름을 IP주소로 해석해 주는 것은?
- ① 정방향 조회
 - ② 역방향 조회
 - ③ 조건부 전달
 - ④ 보조 영역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Windows 2008 R2 Server의 백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완전 서버 백업(bare-metal backup)이 가능하다.
 - ② 다른 하드웨어에 서버를 복구 할 수 있다.
 - ③ 자기 테이프 백업을 지원한다.
 - ④ 네트워크 공유나 로컬하드드라이브의 백업을 지원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Windows 2008 R2 Server와 UNIX 운영체제 사이의 사용자 파일 전송을 지원하여 Windows와 UNIX가 혼용된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파일 공유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 ① NFS
 - ② DNS
 - ③ NTFS
 - ④ DHCP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Windows 2008 R2 Sever에서 지원하는 Hyper-V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 ① 하드웨어 사용율을 높여준다
 - ② 서버 가용성이 줄어든다
 - ③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 ④ 개발 및 테스트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1. Windows 2008 R2 Server의 보안 이벤트 감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권한 사용 이벤트는 사용자 권한이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때 감사한다.
 - ② 프로세스 추적은 응용프로그램이 추적되고 있는 동작을 할 때 감사한다.
 - ③ 시스템 이벤트는 컴퓨터가 재시작되거나 보안에 영향을 주는 기타 이벤트가 발생할 때 감사한다.
 - ④ 디렉토리 서비스 이벤트는 디렉토리 서비스 이벤트의 사용여부 경우만 감사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Windows 2008 R2 Server의 보안템플릿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보안 관련한 설정들을 미리 정의해 놓은 템플릿이다.
 - ② 모든 그룹 정책에서 ‘가져오기’ 하여 적용할 수 있다.
 - ③ 보안템플릿은 그룹정책의 컴퓨터구성에만 적용되고 사용자 구성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④ 무선네트워크, 공개 키, 소프트웨어 제한, 그리고 IP 보안에 적용되는 정책과 같이 몇몇 보안 설정들도 보안템플릿에 포함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Windows 2008 R2 Sever에서 ‘netstat’ 명령으로 표시되지 않는 IPv4 통계정보는?
- ① IP
 - ② TCP
 - ③ UDP
 - ④ NNTP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Windows 2008 R2 Server에서 사용되는 기본 공유와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ADMIN$ : 시스템을 원격 관리하는 동안 사용되는 공유이다..
 - ② IPC$ : 원격 관리를 수행하거나,공유 리소스를 확인할때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된다.
 - ③ SYSVOL : Active Directory의 개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 ④ PUBLlC : 팩스를 보낼 때 팩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Windows 2008 R2 Server의 Active Directory 서비스 중에서 디렉터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로그온 프로세스, 인증 및 디렉터리 검색을 포함하여 사용자와 도메인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서비스는?
- ① AD 인증서 서비스
 - ② AD 도메인서비스
 - ③ AD Federation서비스
 - ④ AD Rights Management 서비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RAID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① RAID는 여러 개의 디스크로 구성된 디스크 배열을 의미한다.
 - ② RAID는 레벨 0 ~ 4 까지 모두 5개의 규약이 있다.
 - ③ '레벨 0'은 미러 모드라고 하는데 하나의 데이터를 여러 드라이브에 나누어 저장하는 기술이다.
 - ④ 레벨의 의미는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빨라지는 단계에 따라 구분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과목 : 네트워크 운용기기
47. Hub가 사용하는 OSI 계층은?
- ① 물리 계층
 - ② 세션 계층
 - ③ 트랜스포트 계층
 - ④ 애플리케이션 계층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대역폭이 가장 커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전송 매체는?
- ① 동축 케이블
 - ② Open Wire
 - ③ Wire Pair
 - ④ 광섬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네트워크 장비인 라우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TCP/IP의 트래픽 경로제어를 한다.
 - ② 네트워크를 분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 ③ 트래픽상의 모든 신호의 재생과 유효거리를 확장한다.
 - ④ OSI 7 Layer에서 네트워크 계층의 서비스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Star Topology에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Connection을 할 수 있는 장치로, 연결된 각 포트마다 전용 대역폭 할당이 가능하여, 연결된 장치의 수에 따라 주고받는 데이터의 속도가 낮아지지 않고, 속도를 보장할 수 있는 것은?
- ① Switching Hub
 - ② Repeater
 - ③ Dummy Hub
 - ④ Bridge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