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산업기사(2002. 9. 8.) 시험일자 : 2002년 9월 8일

1과목 : 복식의장 및 한국복식문화사
1. 도덕 예의상의 의복 착용목적에 맞지 않는 것은?
  • ① 잔치 집에 소복 차림
  • ② 파티에 사교복 차림
  • ③ 호상에 갈 때 검은 예복차림
  • ④ 경기장에 원피스 드레스 차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배자는 저고리 위에 덧 입는 옷으로 안에 털을 대어 방한용으로 입었는데 깃의 형태로 맞는 것은?
  • ① 목판깃
  • ② 둥근깃
  • ③ 칼깃
  • ④ 당코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색 입체에서 중심에 있는 세로축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 ① 색상 종류
  • ② 명도 단계
  • ③ 순색의 양
  • ④ 채도 단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옷감의 무늬에서 나타나는 색채의 혼합은?
  • ① 최고 채도 혼색
  • ② 가법 혼색
  • ③ 중간 혼색
  • ④ 감법 혼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원시인들이 처음 의복을 착용하게 된 동기는 어떤 욕구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는가?
  • ① 생리적 욕구
  • ② 안전의 욕구
  • ③ 소속감의 욕구
  • ④ 자기 실현의 욕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한복에 사용되었던 색채와 거리가 먼 것은?
  • ① 결혼하기 전에는 다홍치마에 노랑저고리를 입었다.
  • ② 결혼 후에는 남치마에 노랑저고리를 입었다.
  • ③ 중년 후에는 남치마에 옥색저고리를 입었다.
  • ④ 한복의 기본색은 치마,저고리를 같은 색으로 입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초기의 의복형태를 결정한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 ① 자연환경
  • ② 자원
  • ③ 기술
  • ④ 가치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의복의 형태 중 인간이 맨 처음 입기 시작한 것으로 옷감을 마름질이나 바느질을 거의 하지 않은 채 그대로 몸에 두르거나 감아서 늘어뜨려 입는 형식은 무엇인가?
  • ① 권의형
  • ② 관두의형
  • ③ 전개형
  • ④ 체형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민속복식이 일상복으로 착용되는 지역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전통적인 생활양식이 고수되는 지역
  • ② 경제적으로 낙후된 지역
  • ③ 고도로 산업화된 지역
  • ④ 빈부격차가 심한 지역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다음은 여자 치마 만들기에서 주름잡기에 관한 문제이다. 주름나비 1.5cm, 허리통은 90cm, 치마폭 크기는 230cm일때 주름수와 속주름 나비를 맞게 연결한 것은?
  • ① 주름수-50개 속주름 나비-2.3cm
  • ② 주름수-60개 속주름 나비-2.3cm
  • ③ 주름수-50개 속주름 나비-2.5cm
  • ④ 주름수-60개 속주름 나비-2.5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통일신라시대의 복식으로 반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소매가 짧은 오늘날 배자의 형태이다.
  • ② 소매가 없는 옷으로 여자만 착용하였다.
  • ③ 가반이라고도 하며 남여 모두 착용하였다.
  • ④ 신분의 귀천없이 여인들만 입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다음 중 상고시대 저고리의 기본형이 아닌 것은?
  • ① 저고리의 깃이 직령이다.
  • ② 소매는 좁다.
  • ③ 깃, 도련, 소매 끝에 선을 두르고 있다.
  • ④ 섶은 우임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다음은 삼국시대 복식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①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복식이 대체로 흡사했다.
  • ② 관모가 신분을 나타내게 되었다.
  • ③ 치마길이가 길고 밑단까지 내려와 잔주름이 잡혀 있었다.
  • ④ 바지는 남자만 겉옷으로 착용하고 있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상류 계급에서 주로 착용하던 예복이나 나중에는 서민층에는 혼례시 착용이 허용 되었던 옷은?
  • ① 원삼
  • ② 당의
  • ③ 활옷
  • ④ 장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조선시대 여인의 예복이 아닌 것은?
  • ① 적의
  • ② 원삼
  • ③ 당의
  • ④ 반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조선시대의 복식은 중국의 복식에 이등체강원칙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외로 중국과 동등한 복장은?
  • ① 포(袍)
  • ② 대(帶)
  • ③ 면류관
  • ④ 상(裳)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다음 복식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궁고--- 통이 넓고 바지부리에 끈을 댄 것
  • ② 복두---고려시대의 관모
  • ③ 대수포--- 삼국시대 평민이 입던 긴 두루마기
  • ④ 반비--- 삼국시대 계층에 관계없이 착용한 반소매 옷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다음 중 우리나라의 십장생 문양만으로 구성된 것은?
  • ① 거북, 사슴, 바위
  • ② 소나무, 산, 꿩
  • ③ 불로초, 학, 파도
  • ④ 물, 구름, 석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수의(壽衣) 제작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명주 삼베로 만든다.
  • ② 윤달 중 길일을 택해서 지어둔다.
  • ③ 홍, 청으로 염색하여 직물이 상하지 않게 한다.
  • ④ 바느질할 때 매듭을 짓지 않고 실을 길게 늘어뜨려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통일신라의 사회상과 복식과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 ① 통일신라는 국력이 강대하여 문화와 문명이 발달하고 불교예술이 번성하였다.
  • ② 신라복식의 원천은 북방 알타이계의 복식으로 관모와 유,고,상,포 등 고유복식의 형성기라 볼 수 있다.
  • ③ 신라는 삼국시대의 복식을 그대로 이어받아 복두, 반비, 배당, 표 등이 등장하였다.
  • ④ 표는 당의제도에서 나온 영포를 말하며, 지금의 두루마기의 기원이라고 볼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한복구성학
21. 저고리의 섶코를 예쁘게 만드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못한 것은?
  • ① 박은 선에서 0.1cm 안을 겉감쪽으로 꺾어 다린다.
  • ② 섶코의 끝은 세모가 되도록 접는다.
  • ③ 섶도련의 시접은 가위로 베어서 곡선이 울지 않게 한다.
  • ④ 뒤집은 후 섶코에 실을 꿰어 잡아 당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다음의 설명은 동정을 다는 방법이다. ( )안에 들어갈 숫자를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
  • ① 1/5
  • ② 2/5
  • ③ 3/5
  • ④ 4/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적의의 옷감 색으로 맞는 것은?
  • ① 겉감:남색 수단 다홍색 공단선, 안감:회색 공단
  • ② 겉감:다홍색 공단, 안감:검정색 공단
  • ③ 겉감:다홍색 갑사, 안감:검정색 공단
  • ④ 겉감:검정색 숙고사, 안감:다홍색 숙고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단령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 ① 남자의 평상복이다.
  • ② 깃은 바이어스 방향으로 마른다.
  • ③ 안감은 자색의 사를 사용한다.
  • ④ 겉감의 필요량은 약 600cm정도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한복 개키기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 ① 저고리는 잘 펼쳐서 고름을 가지런하게 옆으로 접어 놓고 양쪽 소매를 길쪽으로 진동선을 꺾어 접어 개킨다.
  • ② 치마는 폭과 폭선을 합하여 반씩 접은 후 길이로 반을 접어 개킨다.
  • ③ 바지는 밑위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반으로 접어 양 가랑이를 포개어 놓는다.
  • ④ 두루마기는 양쪽 소매를 길쪽으로 진동선을 꺾어 접은 후 아래에서부터 1/4선을 양손으로 쥐고 병풍접기로 네 번 정도 접어 개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재봉틀의 윗실채기가 하는 일에 맞는 것은?
  • ① 밑실을 끌어 올린다.
  • ② 윗실을 당겼다 늦추었다 한다.
  • ③ 북에서 밑실을 끊어 준다.
  • ④ 윗실에 반달이 걸리는 고리를 만들어 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대란치마란?
  • ① 스란단을 한층 붙인 치마이다.
  • ② 치마 밑에 입어서 치마를 부풀리는 치마이다.
  • ③ 스란단을 두층으로 붙인 치마이다.
  • ④ 평민 여자들이 입던 폭이 넓은 치마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여아 삼회장저고리에서 색이 다른 부분은?
  • ① 깃, 섶, 끝동
  • ② 섶, 곁마기, 깃
  • ③ 끝동, 곁마기, 섶
  • ④ 끝동, 고름, 곁마기, 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현재 40-50 대에 이르는 사람들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자(단위)이다. 다음의 설명 중 맞는 것은?
  • ① 1치는 5.5cm를 가르키는 단위이다.
  • ② 1자1푼은 55.5cm이다.
  • ③ 2치1푼은 10.5cm이다.
  • ④ 2자1푼은 110.5cm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깨끼저고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이름 그대로 모시, 비로도, 물양단으로 0.2 – 0.3cm 시접으로 바느질한 상태이다.
  • ② 엷고 투명한 견직물(은조사, 생고사, 노방, 향라 등)로 많이 사용한다.
  • ③ 시접없이 솔기를 곱솔로 상세하게 바느질한 여름용 옷이다.
  • ④ 등솔, 섶, 진동선을 곱솔로 솔기를 바느질한 상태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가슴둘레 100 인 남자의 저고리 품은?
  • ① 20
  • ② 25
  • ③ 28
  • ④ 3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시임퍼커링(seam puckering)과 관계가 있는 요소를 설명한 것 중 가장 상관이 먼 것은?
  • ① 씨실방향의 봉제가 날실방향의 봉제보다 퍼커링이 많아진다.
  • ② 재봉실의 장력이 클수록 퍼커링이 많아진다.
  • ③ 재봉실이 굵을수록 퍼커링이 많아진다.
  • ④ 재봉바늘이 굵을수록 퍼커링이 많아진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다음 여자 단속곳의 그림 중 A 의 명칭은?
  • ① 밑바대
  • ② 가래바대
  • ③ 옆트기
  • ④ 부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성인 남자바지 제작에 필요한 옷감분량에 대해 옳게 설명된 것은?
  • ① 폭 35cm 일 때: 바지길이 x 3.5 + 시접
  • ② 폭 70-75cm 일 때: 바지길이 x 2.5 + 시접
  • ③ 폭 90-95cm 일 때: 바지길이 x 3.5 + 시접
  • ④ 폭 110-120cm 일 때: 바지길이 x 2 +시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남자 어린이 복건의 제작법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 ① 머리 위 박기 : 솔기는 가름솔로 하고 시접은 입었을 때 왼쪽으로 가도록 꺾는다.
  • ② 단박기 : 선단과 아래단을 꺾어 넘기고 선단부터 공그른다.
  • ③ 끈달기 : 3cm 나비의 끈을 박아 뒤집은 후 주름 밑 4cm 되는 곳에 선단과 같은 방향으로 양쪽에 단다.
  • ④ 금박 장식하기 : 완성된 복건에 금박으로 장식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속적삼의 치수가 틀리게 설명된 것은?
  • ① 화장 : 저고리보다 1cm 작다.
  • ② 겉깃길이 : 저고리보다 0.5cm 작다.
  • ③ 품 : 저고리보다 0.5cm 작다.
  • ④ 길이 : 저고리보다 1.5cm 작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여자 속바지에 필요한 치수가 아닌 것은?
  • ① 밑길이
  • ② 바지길이
  • ③ 엉덩이둘레
  • ④ 발목둘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여아용 색동저고리에서 주로 사용하는 길의 색상은?
  • ① 연두색, 노란색
  • ② 노란색, 빨강색
  • ③ 연두색, 자두색
  • ④ 검정색, 흰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모시 천으로 적삼을 만들 때 솔기는?
  • ① 홑솔
  • ② 겹솔
  • ③ 가름솔
  • ④ 곱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다음 그림에서 주어진 폭(?)의 크기는?
  • ① 깃나비의 2/3
  • ② 겉섶나비의 4/5
  • ③ 깃나비의 4/5
  • ④ 섶나비 만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피복재료학
41. 여자 치마의 주름을 잡을 때 가장 필요한 치수는?
  • ① 가슴둘레, 허리둘레, 주름갯수
  • ② 가슴둘레, 치마나비, 주름나비
  • ③ 가슴둘레, 치마나비, 주름갯수
  • ④ 가슴둘레, 주름나비, 주름갯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당의 옆선(곡선)의 시접처리 방법은?
  • ① 홈질하여 잡아 당긴다.
  • ② 안감 방향으로 다린다.
  • ③ 가위집을 넣어 꺾는다.
  • ④ 호아 감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다음의 솔기처리 방법 중 실용적인 효과로 보기 어려운 것은?
  • ① 외주름 솔
  • ② 통솔
  • ③ 쌍줄 상침
  • ④ 쌈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남자 저고리의 수구 치수 중 가장 적당한 것은?
  • ① 진동의 3/4-4/5
  • ② 진동의 1/5
  • ③ 진동의 2/5
  • ④ 진동의 4/5+2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어린이 전복 제작과정에서 잘못된 것은?
  • ① 4∼5세 기준 전복에서 무의 너비는 9.5cm 정도이다.
  • ② 등솔은 트기 치수까지만 박고 시접은 왼쪽으로 꺽으며 어깨는 박아 시접을 앞으로 꺽는다.
  • ③ 폭이 110-120cm 일 때 필요량은 90-110cm이다.
  • ④ 무의 어슨솔을 길에 대고 박아 시접은 길쪽으로 꺾어 넘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샌포라이징(sanforizing) 가공이란?
  • ① 수지가공
  • ② 방축가공
  • ③ 방수가공
  • ④ 염출가공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모든 섬유원료는 방적할 수 있는 성질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성질을 가방성이라 한다. 다음 중 가방성과 거리가 먼 것은?
  • ① 섬유강신도
  • ② 섬유장
  • ③ 섬도
  • ④ 권축성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3대 합성섬유 끼리 묶여진 것은?
  • ① 나일론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 ② 아크릴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 ③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아미드계 섬유
  • ④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천연섬유 중 신도(%)가 가장 큰 섬유는?
  • ① 마섬유
  • ② 견섬유
  • ③ 면섬유
  • ④ 양모섬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방적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섬유가 가늘고 길면 방적성이 좋다.
  • ② 양모, 토끼털은 모두 방적성이 좋다.
  • ③ 방적의 가능성이 있으려면 적어도 강도가 1 g/d, 길이가 3mm 이상이어야 한다.
  • ④ 방적성은 섬유의 강도, 섬유장, 굵기, 표면마찰계수, 권축 등에 의하여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천연 단백질 섬유에 속하는 것은?
  • ① 무명
  • ② 명주
  • ③ 석면
  • ④ 아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명주 섬유의 단면 형태는?
  • ① 원형
  • ② 타원형
  • ③ 삼각형
  • ④ 말발굽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20% 염산에 쉽게 용해되는 것은?
  • ① 아크릴
  • ② 나일론
  • ③ 폴리에스테르
  • ④ 폴리프로필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스테이플 섬유에 해당되는 것은?
  • ① 견
  • ② 양모
  • ③ 재생섬유
  • ④ 합성섬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다음 중 마찰에 견디는 성질이 가장 우수한 것은?
  • ① 폴리아미드
  • ② 폴리에스테르
  • ③ 아크릴
  • ④ 비닐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작업자의 안전 교육계획에 있어서 교육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되는 사람은?
  • ① 신규 채용자
  • ② 위험작업 종사자
  • ③ 안전유지 담당자
  • ④ 안전 관리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다음 사항에서 피로의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① 작업 환경을 개선한다.
  • ② 작업시 무리한 힘을 일시에 가한다.
  • ③ 적당한 휴식을 취한다.
  • ④ 근육의 긴장을 풀어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사람의 태도 형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 ① 가정이나 사회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 ② 교육에 의하여 태도가 형성된다.
  • ③ 동료 또는 성인의 단순한 모방에 의하여 태도가 형성된다.
  • ④ 개인의 살아온 체험, 경험 등은 태도 형성과는 관계가 별로 없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다음의 유해 인자 중 물리적 환경 인자에 속하는 것은?
  • ① 분진
  • ② 소음
  • ③ 바이러스
  • ④ 산화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화재종류의 표기가 바르게 된 것은?
  • ① 전기 화재는 가장 위험하므로 A급 화재라 한다.
  • ② 유류 화재를 일반적으로 B급 화재라 한다.
  • ③ 목재 섬유 등의 화재는 덜 위험하므로 C급 화재라 한다.
  • ④ 금속 화재 등은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X급 화재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