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료조직개론(2018. 6. 23.) 시험일자 : 2018년 6월 23일

1. <보기>의 빈 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용어를 모두 고른 것은?
  • ① ㉠ 키워드, ㉡ 저자표목
  • ② ㉠ 분류기호, ㉡ 주제명표목
  • ③ ㉠ 저자표목, ㉡ 키워드
  • ④ ㉠ 주제명표목, ㉡ 분류기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청구 기호를 구성하는 저자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일반적으로 저자기호는 영미목록규칙(AACR2R)의 표목선정기준을 차용하여 생성된다.
  • ② 「LCC저자기호표」는 후조합식 기호표이며, 상대적 기호가 아닌 고정적 기호로 생성된다.
  • ③ 대표적인 조합식 저자기호법에는 리재철의 「한글순도서기호법」과 「LCC저자기호표」등이 있다.
  • ④ 장일세의 「동서저자기호표」, Cutter-Sanborn 저자기호표 등은 대표적인 열거식 저자기호법이며, 전조합식 기호표이다.

x2023. 4. 23. 22:03삭제
LCC 저자기호표는 고정적 기호가 아닌, 상대적 기호로 생성된다.
3. 한국목록규칙(KCR) 제4판의 기술의 정보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자료 유형별 기술정보원의 우선순위는 KCR4 기술총칙에 종합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 ② 영인본이나 복제본은 원칙적으로 원자료가 아닌 복제본 자체에서 정보원을 선정한다.
  • ③ 으뜸정보원 이외에서 얻은 정보는 각괄호에 묶어 기술해야 한다.
  • ④ 기술사항별로 그 으뜸정보원을 잡아, 그에 준거하여 기술해야 한다.

x2023. 4. 23. 22:14삭제
자료 유형별 기술정보원의 우선순위는 자료마다 각 장에서 규정하고 있다.
4. 콜론분류법(Colon Classification : CC)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모든 가능한 주제를 미리 전개해 놓은 열거식 분류이다.
  • ② 랑가나단(Ranganathan)의 분류 3단계 이론과정에 근거한다.
  • ③ 분석합성식(analytico-synthetic classification) 분류체계이다.
  • ④ 주제 간의 계층관계나 지식의 분화과정은 물론, 관련 주제 간의 결합력이 우수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보기>의 분류대상을 듀이십진분류법(DDC) 제23판을 적용하여 가장 옳게 분류한 것은? (단, <보기>를 통해 판단할 수 있는 사항 외에 별도의 예외 사항은 없는 것으로 간주함.)
  • ① 027.416
  • ② 027.4167
  • ③ 028.1667
  • ④ 028.167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한국십진분류법(KDC) 제6판을 이용한 전기(傳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문학, 철학, 음악가 등의 전기는 그 주제 아래 분류하는 것보다 전기류에 모아 분류하는 것이 더 좋다.
  • ② 전기적 성격의 인명록은 표준구분 기호 –06을 부기하며, 전기적 성격의 일기는 문학류의 일기, 서간으로 분류한다.
  • ③ 역사류 아래 전기에 모으지 않고 해당 주제에 –099를 붙여 분류하나, 도서관에 따라 별법으로 990 아래 분류할 수 있다.
  • ④ 장서가 많은 대규모 전문도서관의 경우, 전기는 해당 주제 아래 분산되어 분류하는 것보다 역사류에 함께 분류하는 것이 좋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RDA(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에 따라 MARC레코드로 작성된 <보기>의 문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336 필드는 내용유형으로, 이 문헌이 문자자료로 표현되었음을 나타내며, 리더/06(레코드 유형)과 함께 사용된다.
  • ② 337 필드는 수록매체유형으로, 이 문헌이 컴퓨터매체에 수록되었음을 보여준다.
  • ③ 338 필드는 매체유형으로, 이 문헌이 온라인정보원임을 보여준다.
  • ④ 776 필드는 자료형태유형으로, 이 문헌이 인쇄본임을 보여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분류목록에 대비되는 주제명목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자료의 주제를 일정 틀에 따라 표목으로 변환한다.
  • ② 자모순 배열로 인해 새로운 주제를 삽입하기 어렵다.
  • ③ 용어에 관계없이 개념의 계통에 따라 접근할 수 있다.
  • ④ 동일주제라도 취급관점에 따라 다른 기호로 나타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온라인열람목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저자와 주제명에 대한 상호참조가 용이하다.
  • ② 접근점의 확장이나 다양한 탐색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 ③ 기술대상 자료에 대해 복수의 저록을 작성한다.
  • ④ 서지정보망의 주된 목록으로 사용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한국목록규칙(KCR) 제4판의 표제와 책임표시사항에 기술된 책임표시의 범위에 원칙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작곡자, 편집자, 애니메이터
  • ② 애니메이터, 제작자, 번역자
  • ③ 각색자, 역자, 애니메이터
  • ④ 후원자로서의 단체, 각색자, 역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보기>는 영상자료의 서지레코드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코드끼리 가장 옳게 짝지어진 것은?
  • ① ㉠ c, ㉡ 300, ㉢ 538
  • ② ㉠ c, ㉡ 338, ㉢ 516
  • ③ ㉠ h, ㉡ 300, ㉢ 538
  • ④ ㉠ h, ㉡ 338, ㉢ 516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문헌을 분류하기 위해 주제분석을 할 경우 참고로 하는 문헌의 정보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일반교양도서나 문학작품, 학제적 성격이 강한 자료의 표제는 문헌의 내용을 가장 적절하고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므로 표제를 통해 정확한 주제를 알 수 있다.
  • ② 표제가 자료의 내용을 비교적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을지라도 반드시 내용목차를 통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다.
  • ③ 저자가 인용하거나 참고한 문헌을 확인하고 용어해설이나 색인 등을 파악하면 주제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 ④ 주석이나 번역서의 경우 해설은 특히 원전의 주제파악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도서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 ② ㄱ, ㄴ
  • ③ ㄱ, ㄴ, ㄷ
  • ④ ㄱ, ㄴ, ㄷ, ㄹ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통일표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한국목록규칙(KCR) 제4판에 명시된 규칙을 적용하여 작성하기는 어렵다.
  • ② 전거통제 작업을 통해 전거레코드로 작성된다.
  • ③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에서 통일표제 입력필드는 130 또는 240으로 지정되어 있다.
  • ④ 다수의 저작으로 구성된 자료에서 각 저작마다 독립된 표제가 있고, 동시에 이들 자료 전체에 부여된 포괄적 표제를 의미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폭소노미(folksonom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일반인들이 웹 사이트나 사진, 웹 링크 등 디지털 정보에 자유롭게 주제 태그를 부여한다.
  • ② 주제를 부여하거나 태깅할 때 협업으로 수행되기도 한다.
  • ③ 지식 및 자원의 발견에 유용하다.
  • ④ 태깅의 특징으로 높은 정확성과 집중성을 들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보기>는 MODS(Metadata Object Description Schema)를 적용하여 작성한 서지레코드의 일부이다. (㉠), (㉡), (㉢),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 - creator
  • ② ㉡ - Type
  • ③ ㉢ - originInfo
  • ④ ㉣ - Contributor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듀이십진분류법에서 복수의 주제를 다룬 문헌에 적용하는 분류규정이다.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ㄴ
  • ② ㄱ, ㄷ
  • ③ ㄴ, ㄷ
  • ④ ㄴ, ㄹ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보기>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The Old Man and The Sea”라는 소설을 예로 기술하였다. FRBR의 제1집단의 구현형(manifestation)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ㄴ, ㄷ
  • ② ㄱ, ㄴ, ㄹ
  • ③ ㄱ, ㄷ, ㄹ
  • ④ ㄴ, ㄷ, ㄹ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통합서지용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 형식의 설계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인쇄 또는 필사된 도서, 계속자료, 전자자료, 지도자료, 녹음자료, 시청각자료, 고서, 복합자료의 서지정보를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② 서지데이터에는 공통으로 자료의 표제, 책임표시, 판사항, 발행사항, 형태사항, 주제,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 ③ 전자자료(ER)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수치데이터, 컴퓨터 의존형 멀티미디어, 평면영사자료, 온라인시스템 또는 온라인서비스 등 부호화된 전자 정보원이 해당된다.
  • ④ 서지레코드는 리더/06(레코드 유형)의 구분부호에 의해 여러 종류의 레코드로 나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우리나라의 출판시도서목록(CIP)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ISBN번호를 부여받지 않은 출판물은 CIP를 신청할 수 없다.
  • ② 석⋅박사학위논문과 점자출판물은 CIP 부여 제외 대상이다.
  • ③ CIP 정보는 KORMARC 통합서지용 025 필드에 기술한다.
  • ④ 동일 서명으로 2책 이상으로 간행되는 저작물은 1개의 CIP를 신청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