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2022. 4. 24.) 시험일자 : 2022년 4월 24일
1과목 : 조림학
1. 순림과 혼효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순림은 산림작업과 경영이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 ② 순림은 혼효림보다 유기물의 분해가 더 빨라져 무기양료의 순환이 더 잘 된다.
- ③ 혼효림은 인공적으로 조성하기에는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보호관리에 많은 경비가 소요된다.
- ④ 혼효림은 심근성과 천근성 수종이혼생할 때 바람 저항성이 증가하고 토양단면 공간이용이 효과적이다.
ㅇㅇ2025. 3. 31. 22:43삭제
무기양료 분해는 혼효림이 더 빠르다~ 왜? 얘도쓰고 쟤도쓰고 !
현승2023. 5. 22. 05:30삭제
혼효림 : 침엽수와 활엽수가 혼합되어 있는 산림
순림(단순림) : 한가지 수종으로 되어 있는 산림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순림 90%이상 단일수종이 차지할 경우 순림이라 한다.
2. 곰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수피는 흑갈색이다.
- ② 소나무와 수종이다.
- ③ 겨울눈은 붉은색이다.
- ④ 해안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마루2025. 9. 18. 09:58삭제
곰솔의 겨울눈은 흰색(백색 인편으로 덮여 있음)이 특징입니다. 붉은색 겨울눈은 주로 소나무(Pinus densiflora, 적송) 의 특징입니다.
ㅇㅇ2025. 3. 31. 22:44삭제
해송의 동아는 은색 / 적송의 동아는 적색
현승2023. 5. 22. 05:25삭제
곰솔(해송)
3. 덩굴제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덩굴의 줄기를 제거하거나 뿌리를 굴취한다.
- ② 디캄바 액제는 비선택성 제초제로 일반적인 덩굴에 적용한다.
- ③ 주로 칡, 다래, 머루 같은 덩굴류가 무성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 ④ 글라신 액제를 이용한 덩굴 제거에서는 도포보다는 주로 주입 방법을 이용한다.
마루2025. 9. 18. 10:00삭제
① 덩굴의 줄기를 제거하거나 뿌리를 굴취한다.
올바른 방법입니다. 물리적 제거는 덩굴 방제의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② 디캄바 액제는 비선택성 제초제로 일반적인 덩굴에 적용한다.
틀린 내용입니다. 디캄바(dicamba)는 선택성 제초제입니다. 주로 광엽잡초(활엽식물)에 효과적이며, 화본과 식물에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은 선택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③ 주로 칡, 다래, 머루 같은 덩굴류가 무성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들은 대표적인 목본성 덩굴식물로 산림에서 문제가 되는 덩굴류입니다.
④ 글라신 액제를 이용한 덩굴 제거에서는 도포보다는 주로 주입 방법을 이용한다.
올바른 방법입니다. 글라신(글리포세이트) 액제는 목본성 덩굴의 경우 줄기에 주입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입니다.
마루2025. 9. 18. 10:00삭제
① 덩굴의 줄기를 제거하거나 뿌리를 굴취한다.
올바른 방법입니다. 물리적 제거는 덩굴 방제의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② 디캄바 액제는 비선택성 제초제로 일반적인 덩굴에 적용한다.
틀린 내용입니다. 디캄바(dicamba)는 선택성 제초제입니다. 주로 광엽잡초(활엽식물)에 효과적이며, 화본과 식물에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은 선택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③ 주로 칡, 다래, 머루 같은 덩굴류가 무성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들은 대표적인 목본성 덩굴식물로 산림에서 문제가 되는 덩굴류입니다.
④ 글라신 액제를 이용한 덩굴 제거에서는 도포보다는 주로 주입 방법을 이용한다.
올바른 방법입니다. 글라신(글리포세이트) 액제는 목본성 덩굴의 경우 줄기에 주입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입니다.
ㅇㅇ2025. 3. 31. 22:44삭제
디캄바액제는 고온서 사용금지 그리고 주로 광역잡초들에 사용한다~
일반적인 얘들은 글라신 액제! (주입)
현승2023. 5. 22. 05:22삭제
무분별한 제초를 조장한다 비선택성
4. 밤, 도토리 등 함수량이 많은 전분 종자를 추운 겨울 동안 동결하지 않고 부패하지 않도록 저장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노천매장법
- ② 보호저장법
- ③ 상온저장법
- ④ 저오저장법
마루2025. 9. 18. 10:05삭제
밤, 도토리 등의 특성을 먼저 살펴보면:
함수량이 매우 높음 (40-50% 이상)
전분이 주성분인 종자
건조에 매우 민감함 (건조 시 발아력 상실)
동결에 민감함 (세포 손상)
부패하기 쉬움 (높은 함수량으로 인해)
각 저장법을 검토해보면:
① 노천매장법
야외에서 흙 속에 저장하는 방법으로, 온도 조절이 어렵고 동결 위험이 있습니다.
② 보호저장법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습윤한 모래나 이끼 등과 함께 0-5℃의 저온에서 저장하여 동결을 방지하면서도 부패를 억제합니다.
③ 상온저장법
함수량이 높은 종자는 상온에서 쉽게 부패하므로 부적합합니다.
④ 저온저장법
단순히 저온만으로는 동결 위험이 있고, 적절한 습도 유지가 어렵습니다.
정답: ②
보호저장법은 습윤한 매질(모래, 이끼 등)과 함께 적절한 저온(0-5℃)에서 저장하여 동결과 건조를 방지하면서도 부패를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h2025. 7. 26. 13:57삭제
1. 건조저장법
a. 상온(실온)저장법
- 종자를 건조시켜 용기에 담아 0~10도씨의 실온 보관
- 기온과 습도를 낮은 상태로 유지
- 장기간 저장은 부적당
b. 밀봉(저온)저장법
- 종자를 건조시켜 탈기하고 진공상태 밀봉하여 저온(4도씨) 저장
- 수년에서 수십녀까지 발아력 유지
- 함수율 5~7%의 종자를 실리카겔(건조제)와 황하칼륨(활력억제제)를
종자 무게의 10% 정도 같이 보관
- 결실주기가 긴 수종의 종자(낙엽송5~7년)
or 상온저장시 발아력 쉽게 상실 수종의 종자
(1년 저장 곤란 - 전나무,분비나무, 오리나무)
(1년 저장에 발아력 상실 - 잎갈나무,가문비나무, 삼나무, 편백, 종비나무)
2. 보습저장법
a. 노천매장법
- 종자를 노천에 묻어 두는 방법
(햇빛이 잘들고, 배수가 좋으며, 지하수가 고이지 않고,
겨울에는 눈이나 빗물이 스며들수 있는 장소)
- 저장과 동시에 발아 촉진
b. 보호저장법(건사저장법)
- 모래와 종자를 섞어 저장하는 방법
- 함수량이 많은 전분종자의 겨울에 동결 및 부패 방지
(은행나무, 밤나무, 도토리나무, 굴참나무)
- 종자의 함수율 30%이하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
c. 냉습적법
- 발아촉진을 위한 후숙의 중점의 저장법
- 보습재료 이씨, 토탄, 모래 등과 종자를 섞어 3~5도씨에 냉장보관
- 종자 함수율 20~25% 유지
ㅇㄷ2024. 7. 1. 15:06삭제
그래서 보호저장법이 답이야 저온저장법이 답이야? 술마셨나 풀이 왜이래
현승2023. 5. 22. 05:24삭제
노천매장법(발아촉진법)
5. 작업종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대나무는 제외)
- ① 벌채 종류
- ② 벌구 크기
- ③ 벌채 위치
- ④ 벌구 모양
마루2025. 9. 18. 10:10삭제
이 문제는 산림작업 중 작업종(벌채작업의 종류)을 분류하는 기준에 관한 문제입니다.
작업종 분류의 주요 기준들을 살펴보면:
① 벌채 종류
주벌, 간벌, 택벌 등으로 구분
작업종 분류의 핵심 기준입니다.
② 벌구 크기
소면적 벌채, 대면적 벌채 등으로 구분
작업종 분류의 중요한 기준입니다.
③ 벌채 위치
산복, 산정, 계곡부 등 지형적 위치
이는 작업종 분류보다는 작업 조건이나 작업 방법을 결정하는 요소에 더 가깝습니다.
④ 벌구 모양
띠모양 벌채, 패치형 벌채 등
작업종 분류의 기준 중 하나입니다.
란테2024. 12. 18. 15:44삭제
작업종에 관한 설명이기 때문에 어디서 벌채를 하는지는 관련없는 내용
그렇기 때문에 3번 정답
ㄹㅇ2024. 1. 27. 22:19삭제
정답이 잘못됐나..?
현승2023. 5. 22. 05:26삭제
분류기준
임분의 기원
벌구의 크기와 형태
벌채종
6. 산림 토양에서 부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토양의 입단구조를 형성하게 한다.
- ② 임상 내 H층에 해당되며 유기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 ③ 토양 미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으로 사용 가능하다.
- ④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염기를 흡착하는 능력인 염기치환용량이 작다.
진돗개2025. 6. 1. 20:32삭제
부식층이면 부식층이지, 부식산은 뭔 소리인지요?
ㅇㅇ2025. 3. 31. 22:47삭제
부식산(humus)는 염기치환용량 CEC가 크다~
입단구조형성하게하고!
O층 (LFH 유기물 - 낙엽 - 곰팡이) 중 부식산은 유기물층에 多
양분사용가능
7. 묘목의 굴취를 용이하게 하고 묘목의 생장을 조절하기 위해 실시하는 작업은?
- ① 심경
- ② 관수
- ③ 단근
- ④ 철선감기
ㅇㅇ2025. 3. 31. 22:47삭제
굴취용이, 생장조절은?
굴취시 단근작업을해서 세근발달을 도모하고 이식시 활착율제고를 기대
8. 음수 갱신에 가장 불리한 작업 방법은?
- ① 산벌작업
- ② 택벌작업
- ③ 이단림작업
- ④ 모수림작업
마루2025. 9. 18. 10:15삭제
모수림작업이 음수 갱신에 가장 불리한 이유는:
모수림작업의 특성:
양수 위주의 갱신을 목적으로 하는 작업법
모수(母樹)들이 충분한 광량 확보를 위해 배치됨
양수 치수의 생장 촉진에 중점을 둠
결과적으로 음수에게는 과도한 광량이 공급됨
반면 다른 작업법들:
산벌작업: 비록 급격한 변화이지만, 음수도 적응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음
택벌작업: 점진적 광량 조절로 음수에게 유리
이단림작업: 상층의 차광 효과로 음수 보호 가능
모수림작업은 본질적으로 양수 갱신을 전제로 설계된 작업법이므로, 음수 갱신에는 가장 부적합합니다.
ㅇㅇ2025. 3. 31. 22:48삭제
모수는 개벌과 비슷 모수 남기고 싹~~다 베어버려서 음수가 살아갈 그늘이 박살난다
ㅇㅇ2024. 5. 7. 11:05삭제
모수림작업의 경우 모수를 제외한 모든수종을 벌목한후 모수중심으로한 작업으로
양수수종에 적합하다
수기2024. 2. 14. 15:40삭제
답이 틀리건가요?? 해설은 산벌작업이라고 나오는데 채점은 모수림작업이 답으로 뜨네요
9. 비료의 당도가 너무 높아 묘목이 말라죽는 경우에 토양과 묘목의 수분포텐셜( )의 관계로 옳은 것은?
- ①
- ②
- ③
- ④
ㅇㅇ2025. 7. 30. 01:47삭제
수분포텐셜은 높은곳 -> 낮은곳 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묘목에서 수분이 토양으로 이동해서~ 묘목의 수분이 뺏겨서 건조가발생한다
즉, 수분포텐셜은 토양<묘목이다 왜? 수분포텐셜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이동하기때문
물을받는쪽: 수분포텐셜 낮음 / 물을 뺏기는쪽: 수분포텐셜 높음
10. 우량한 침엽수 묘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측아가 정아보다 우세하다.
- ② 왕성한 수세를 지니며 조직이 단단하다.
- ③ 균근이나 공생미생물이 충분히 부착되어 있다.
- ④ 근계가 충실하며 뿌리가 사방으로 균형있게 발달한다.
ㅇㅇ2025. 3. 31. 22:48삭제
우량임분은 측아가 아니라! 정아가 우세해야한다~
정아우세 = 원추형수관 주로 침엽수 + 참나무
측아우세 = 구형수관 = 주로 활엽수종
11. 임목 종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리기다소나무 종자의 산지는 미국의 동부지역이다.
- ② 상수리나무 종자는 보습 저장하여 활력을 유지시킨다.
- ③ 발아율이 80%이고, 순량율이 70%인 종자의 효율은 56%이다.
- ④ 박태기나무, 아까시나무 종자 탈종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부숙마찰법이다.
마루2025. 9. 18. 10:22삭제
박태기나무, 아까시나무 종자는 콩과 수종으로, 종피가 단단해 발아 전 종피 처리(Scarification) 가 필요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산(황산) 처리나 **열탕 처리(뜨거운 물 침지)**입니다.
부숙마찰법은 열매가 부숙된 후 껍질과 종자가 분리될 때 적용하는 방식인데, 박태기나무·아까시나무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h2025. 7. 26. 15:23삭제
종자의 탈종
1. 탈종 : 건조가 끝난 구과에서 종자를 빼내는 작업
- 침엽수는 구과를 건조시켜야만 탈종 가능하다
- 활엽수 중 그대로 파종 가능한 종자가 있다
(느릅나무, 싸리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등)
2. 타종법의 종류
a. 건조봉타법 : 막대기로 가볍게 두드려 씨를 빼는 방법
- 아까시나무, 박태기나무, 가래나무
b. 부숙마찰법 : 부숙시킨 후에 과실과 모래를 섞어 마찰하여 과피를 분리
- 은행나무, 주목, 비자나무, 벚나무, 가래나무
c. 도정법 : 종피를 정미기에 넣어 깍아내 납질을 제거
- 옻나무
d. 구도법 : 열매를 절구에 넣어 공이로 약하게 찧는 방법
- 옻나무, 아까시나무
ㅇㅇ2025. 3. 31. 22:52삭제
부숙마찰법은 주로 과육이 두꺼운놈들 전용
박태기 아까시등 콩과애들은 봉으로 타! 막대기로 마구때려서 콩을 털어서 탈종시킨다
ㅇㅇ2024. 5. 7. 11:08삭제
박태기,아까시-건조봉타법
12. 수목에 필요한 무기영양원으로 필수 원소가 아닌 것은?
- ① 철
- ② 질소
- ③ 망간
- ④ 알루미늄
현승2023. 5. 22. 05:35삭제
알루미늄은 합금으로 자연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원소가 아님.
13. 파종 후 발아 과정에서 해가림이 필요한 수종은?
- ① Zelkova serrata
- ② Picea jezoensis
- ③ Robinia pseudoacacia
- ④ Fraxinus rhynchophylla
ㅂ2023. 7. 9. 10:18삭제
1.느티
2. 가문비
3.아카시
4.물푸레
14. 식재 밀도에 따른 임목의 형질과 생산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수종과 연령 및 입지는 동일함)
- ① 고밀도일수록 연륜폭은 좁아진다.
- ② 고밀도일수록 지하고는 낮아진다.
- ③ 고밀도일수록 단목의 평균 간재적은 커진다.
- ④ 임목밀도에 따라 상층목의 평균수고가 달라진다.
마루2025. 9. 18. 10:28삭제
① 고밀도일수록 연륜폭은 좁아진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고밀도에서는 개체 간 경쟁이 심해져 개체당 생장공간과 양분이 제한되므로 연륜폭이 좁아집니다.
② 고밀도일수록 지하고는 낮아진다.
틀린 설명입니다. 고밀도에서는 광경쟁으로 인해 자연가지치기가 빨리 진행되어 오히려 지하고가 높아집니다.
③ 고밀도일수록 단목의 평균 간재적은 커진다.
틀린 설명입니다. 고밀도에서는 개체 간 경쟁으로 흉고직경 생장이 억제되어 단목의 평균 간재적은 작아집니다.
④ 임목밀도에 따라 상층목의 평균수고가 달라진다.
틀린 설명입니다. 동일한 수종, 연령, 입지조건에서는 상층목의 평균수고는 밀도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합니다. 이는 임분수고가 주로 유전적 특성과 입지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ㅇㅇ2025. 3. 31. 22:55삭제
밀도는 수고생장이 아니라~ 직경생장에 영향을준다!
밀도가 높을수록! 나무는 가늘고 키가 커진다~ 왜? 옆에 나와 햇빛경쟁하는놈들이 많으니까 내가 높아져야 햇빛 받지!
따라서 단목의 간재적이 작어진다 왜? 나무가 얇쌍하니까~
대신! 나무가 얇고 완만재~ 즉, 연륜폭이 일정해진다~(좁아진다)
지하고는 높아지고 가지비율감소~ 왜? 맨~ 꼭대기에서 가지를 펴야 햇빛받는다니까!
임지의 간재적은 밀도가 높으면 증가 왜? 나무수가 동일면적일때 빽빽~하니까!
단, 단목 즉, 나무 하나 하나의 간재적은 작다 왜? 얇쌍~하니까!
15. 광합성 색소인 카로테노이드(carotenoid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노란색, 오렌지색, 빨간색 등을 나타내는 색소이다.
- ② 광도가 높을 경우 광산화작용에 의한 엽록소의 파괴를 방지한다.
- ③ 수목 내에 있는 색소 중에서 광질에 반응을 나타내며 광주기 현상과 관련된다.
- ④ 엽록소를 보조하여 햇빛을 흡수함으로써 광합성 시 보조색소 역할을 담당한다.
마루2025. 9. 18. 10:31삭제
① 노란색, 오렌지색, 빨간색 등을 나타내는 색소이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카로테노이드는 노란색~빨간색 계열의 색소입니다.
② 광도가 높을 경우 광산화작용에 의한 엽록소의 파괴를 방지한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카로테노이드는 과도한 광에너지로부터 엽록소를 보호하는 항산화 역할을 합니다.
③ 수목 내에 있는 색소 중에서 광질에 반응을 나타내며 광주기 현상과 관련된다.
틀린 설명입니다. 광주기 현상(photoperiodism)과 관련된 색소는 **피토크롬(phytochrome)**입니다. 카로테노이드는 광주기 현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④ 엽록소를 보조하여 햇빛을 흡수함으로써 광합성 시 보조색소 역할을 담당한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카로테노이드는 엽록소가 흡수하지 못하는 파장대의 빛을 흡수하여 광합성을 돕는 보조색소입니다.
광주기 현상은 낮의 길이 변화를 감지하여 개화, 휴면 등을 조절하는 현상으로, 이는 피토크롬이라는 별도의 색소가 담당합니다. 카로테노이드는 광합성과 엽록소 보호 역할을 하지만 광주기 현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ㅇㅇ2025. 6. 30. 17:33삭제
수목내에서 광질에 반응하는건 파이토크롬아닐까
16. 왜림작업으로 갱신하기 가장 부적합한 수종은?
- ① 잣나무
- ② 오리나무
- ③ 신갈나무
- ④ 물푸레나무
ㅇㅇ2025. 3. 31. 22:56삭제
교림은 주로 침엽수들 (키큰 실생묘들)
왜림은 움돋움 즉, 맹아지가 마구 뻗어나오는거
일반적으로 활엽수들이 맹아력이 좋다 침엽수보다~
ㅂ2023. 7. 9. 10:15삭제
왜림-활엽수
17. 참나무류 줄기에서 수액상승 속도가 다른 수종에 비해 빠른 이유는?
- ① 뿌리가 심근성이기 때문이다.
- ② 도관의 지름이 크기 때문이다.
- ③ 심재가 잘 형성되기 때문이다.
- ④ 잎의 앞면과 뒷면에 모두 기공이 있기 때문이다.
ㅇㅇ2025. 3. 31. 22:57삭제
도관의 지름이크다~ 어떤 액체가 흐르는 파이프도! 얇은거보다는 굵빵한게 더~ 액체가 많이, 빠르게 흐르죠? 동일한 원리
18. 어린나무가꾸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주로 6월~9월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 ② 숲가꾸기 과정에서 한 번만 실시한다.
- ③ 간벌 이후에 불량목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한다.
- ④ 산림경영 과정에서 중간 수입을 위해서 실시한다.
마루2025. 9. 18. 10:37삭제
① 주로 6월~9월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어린나무가꾸기는 생장기인 6~9월(여름철)에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에는 나무의 생장이 활발하여 상처 치유가 빠르고, 잎이 무성해 목표수종과 제거대상을 구분하기 쉽습니다.
② 숲가꾸기 과정에서 한 번만 실시한다.
틀린 설명입니다. 어린나무가꾸기는 필요에 따라 여러 번 반복 실시할 수 있습니다.
③ 간벌 이후에 불량목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한다.
틀린 설명입니다. 어린나무가꾸기는 간벌 이전 단계에서 실시하는 작업으로, 주로 덩굴 제거, 불량목 제거, 목표수종 육성을 위해 실시합니다.
④ 산림경영 과정에서 중간 수입을 위해서 실시한다.
틀린 설명입니다. 어린나무가꾸기에서 제거되는 나무들은 대부분 경제적 가치가 낮은 어린 나무들로, 중간 수입 목적이 아닙니다.
어린나무가꾸기는 나무의 생장이 활발한 6~9월 생장기에 실시하는 것이 상처 치유와 작업 효율성 면에서 가장 적합합니다.
ㅇㅇ2025. 3. 31. 22:57삭제
어린나무가꾸기
풀베기 5~8월 / 덩쿨제거 6~9월
ㅂ2023. 7. 9. 10:20삭제
6-9월 간벌 전 1년1회 필요시 반복 가능
19. 종자가 성숙하고 산포하는 시기가 개화 당년 봄철인 수종은?
- ① Populus nigra
- ② Taxus cuspidata
- ③ Tprreya nucifera
- ④ Machilus thunbergii
ㅇㅇ2025. 3. 31. 23:00삭제
당년 봄철 5월정도 종자가 성숙하는거! 포 버
포플러류, 버드나무
주목은 당년 가을!
비자는 다음해 가을!
후박은 다음해 여름!
ㅂ2023. 7. 9. 10:21삭제
1. 양버들 포플러류
2. 주목
3. 비자
4. 후박
20. 수목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받은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호르몬은?
- ① 옥신
- ② 지베렐린
- ③ 사이토키닌
- ④ 에브시스산
마루2025. 9. 18. 10:42삭제
① 옥신(Auxin)
주로 세포 신장, 굴성 반응, 정아우세 등을 조절
스트레스 감지가 주된 역할은 아닙니다.
② 지베렐린(Gibberellin)
주로 줄기 신장, 종자 발아, 개화 촉진 등을 조절
스트레스 감지와는 거리가 멉니다.
③ 사이토키닌(Cytokinin)
주로 세포분열 촉진, 노화 지연 등을 조절
스트레스 감지가 주된 역할은 아닙니다.
④ 에브시스산(Abscisic acid, ABA)
가장 중요한 스트레스 호르몬입니다.
건조, 염분, 저온, 고온 등의 환경 스트레스를 감지하고 반응을 조절합니다.
기공 폐쇄, 휴면 유도,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 등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에브시스산(ABA)은 식물의 주요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가뭄, 염분, 온도 변화 등)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적응 반응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h2025. 7. 26. 15:34삭제
1. 옥신
a. 세포 신장에 관여하여 생장 촉진
b. 정아에서 생성된 옥신이 정아 생장을촉진하고 측아 발달 억제(정아우세현상)
c. 줄기나 뿌리 선단에서 체내로 이동
2. 지베렐린
a. 종자의 휴면 타파 및 호광성 종자의 암발아 유도
b. 화성의 유도촉진
3. 시토키닌
a. 세포분열 촉진
b. 뿌리 합성되어 물관울 통해 다른 기관으로 이동
c. 옥신과 함께 존재시 효력
d. 내한성 촉진, 발아 촉진, 잎 생장 촉진
4. ABA
a. 생장억제물잘
b. 식물체가 스트레스(건조, 무기양분 부족 등) 상태에서 발생 증가
c. 다른 생장촉진호르몬과 상호 및 길항작용
d. 잎의 노화, 낙엽 촉진, 휴면 유도
5. 에틸렌
a. 과실 성숙 촉진
ㅇㅇ2025. 3. 31. 22:59삭제
옥신은~ 근계성장, 정아우세 유도 + 옥신 多 목부 생장
지베렐린은~ 줄기, 잎 생장유도, 휴면타파유도, 결실,개화 유도 + 지베렐린 多 사부생장
시토키닌은~ 측아우세, 줄기생장유도, 노화억제
에브시스산은 스트레스감지, 휴면유도!
2과목 : 산림보호학
21. 액상의 농약을 제조할 때 주제를 녹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질은?
- ① 유제
- ② 용제
- ③ 유화제
- ④ 증량제
h2025. 7. 26. 16:16삭제
1. 농약의 제형(최종 상품 형태)
a. 유제
주제가 물에 녹지 않을 때 유기용매에 녹여 유화제를 첨가한 용액으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
b. 액제
주제를 물에 녹이고 동결방지제를 가하여 제제화한 것
c. 수화제
물에 녹지 않는 주제를 점토광물과 계면활성제 등을 혼합분쇄하여 제제화 한 것
수화제를 물속에 넣고 혼합하여 사용
d. 수용제
물에 잘 녹는 주제를 수용성 증량제로 희석하여 입상의 고형으로 조제한 것
e. 분제
유효성분을 고체증량제와 소량의 보조제를 혼합하여 분쇄한 분말
f. 입제
유효성분을 고체증량제와 혼합분쇄하고 보조제를 가하여 입상하여 성형한 것
g. 연무제
농약원제를 고압가스에 녹입 다음 압축하여 봄베에 충진한 것
2. 보조제의 종류
a. 전착제
농약의 주성분이 병해충이나 식물체에 잘 전착시키기 위한 약제로서
약제의 환전성, 현수성, 고착성을 도움
b. 중량제
분제 주성분의 농도를 낮추어 일정한 농도를 유지 위한 약제
c. 용제
약제의 유효 성분을 용해시키는 약제
d. 유화제(계면활성제)
유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약제
e. 협력제(효력증진제)
유효성분의 효력을 증진시키는 약제
22. 흡즙성 해충에 해당하는 것은?
- ① 소나무좀
- ② 알락하늘소
- ③ 버즘나무방패벌레
- ④ 꼬마버들재주나방
마루2025. 9. 18. 10:46삭제
흡즙성 해충의 특징:
**침 같은 구기(口器)**를 가지고 있음
식물의 체액을 빨아먹음
주로 진딧물, 깍지벌레, 방패벌레, 매미충 등이 해당
각 선택지를 검토해보면:
① 소나무좀
천공성 해충입니다. 나무 껍질과 목질부에 구멍을 뚫고 갱도를 만들어 가해합니다.
② 알락하늘소
식엽성/천공성 해충입니다. 유충은 목질부를 가해하고, 성충은 잎이나 새가지를 갉아먹습니다.
③ 버즘나무방패벌레
흡즙성 해충입니다. 방패벌레류는 침 같은 구기로 식물의 체액을 빨아먹는 대표적인 흡즙성 해충입니다.
④ 꼬마버들재주나방
식엽성 해충입니다. 유충이 잎을 갉아먹어 피해를 줍니다.
정답: ③
버즘나무방패벌레는 방패벌레과에 속하는 흡즙성 해충으로, 침 같은 구기를 식물 조직에 삽입하여 체액을 빨아먹어 피해를 줍니다.
ㅂ2023. 7. 9. 10:26삭제
흡즙성 - 깍지벌레 , 진딧물 - 그을름병
23. 지표를 배회하는 성질의 해충을 채집하는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도구는?
- ① 유아등(light trap)
- ② 합정트랩(pitfall trap)
- ③ 수반트랩(water trap)
- ④ 말레이즈트랩(malaise trap)
익명2023. 5. 12. 03:15삭제
Pitfall trap : 함정 트랩
24. 여름포자가 없는 녹병은?
- ① 향나무 녹병
- ② 잣나무 털녹병
- ③ 소나무 잎녹병
- ④ 전나무 잎녹병
마루2025. 9. 18. 10:51삭제
녹병균의 생활사:
성포자(담자포자) → 정자기 → 녹포자(봄포자) → 여름포자(하포자) → 겨울포자(동포자)
하지만 일부 녹병은 단축형 생활사를 가져 여름포자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① 향나무 녹병
여름포자가 없는 단축형 생활사를 가집니다.
향나무(중간기주) ↔ 장미과 식물(본기주) 간의 이기주성 녹병
성포자 → 정자기 → 녹포자 → 겨울포자 (여름포자 생략)
2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

- ① 대벌레
- ② 박쥐나방
- ③ 미국흰불나방
- ④ 조록나무흑진딧물
마루2025. 9. 18. 10:54삭제
주어진 특징을 분석해보면:
유충은 잎을 갉아 먹는다 (식엽성)
1년에 2~3회 발생한다 (연 2-3화성)
성충은 주광성이 강하다 (빛에 강하게 끌림)
각 선택지를 검토해보면:
① 대벌레
식엽성이지만 주광성이 강하지 않고, 연 1회 발생이 일반적입니다.
② 박쥐나방
유충이 뿌리나 줄기를 가해하며, 주광성은 있으나 위 특징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습니다.
③ 미국흰불나방
식엽성 해충으로 유충이 잎을 갉아먹습니다.
연 2~3회 발생합니다.
성충이 강한 주광성을 보입니다.
모든 특징이 일치합니다.
④ 조록나무혹진딧물
흡즙성 해충으로 잎을 갉아먹지 않으며, 주광성과도 관련이 적습니다.
26. 다음 중 2차 대기오염 물질에 해당되는 것은?
- ① HF
- ② SO2
- ③ 분진
- ④ PAN
마루2025. 9. 18. 10:56삭제
1차 대기오염물질: 오염원에서 직접 배출되는 물질
2차 대기오염물질: 1차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물질
각 선택지를 검토해보면:
① HF (불화수소)
1차 대기오염물질입니다. 산업시설에서 직접 배출됩니다.
② SO₂ (이산화황)
1차 대기오염물질입니다. 화석연료 연소 시 직접 배출됩니다.
③ 분진
1차 대기오염물질입니다. 각종 산업활동이나 자연현상에서 직접 발생합니다.
④ PAN (Peroxyacetyl Nitrate, 과산화아세틸질산염)
2차 대기오염물질입니다. 질소산화물(NOₓ)과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태양광 존재 하에서 광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광화학 스모그의 주요 성분입니다.
정답: ④
PAN은 대표적인 2차 대기오염물질로, 1차 오염물질인 NOₓ와 VOCs가 대기 중에서 광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물질입니다.
ㅇㅇ2025. 3. 31. 23:04삭제
2차 오염물질 PAN 이거 강화버전 PBN
27. 밤나무 줄기마름병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내병성 품종을 식재한다.
- ② 동해 및 볕데기를 막고 상처가 나지 않게 한다.
- ③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어 수목을 건강하게 한다.
- ④ 천공성 해충류의 피해가 없도록 살충제를 살포한다.
마루2025. 9. 18. 10:59삭제
③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어 수목을 건강하게 한다.
틀린 방제법입니다. 질소질 비료를 과다하게 주면:
도장지 발생으로 수목 조직이 연약해집니다
내한성이 약화되어 동해 피해가 증가합니다
오히려 병해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합니다
ㅇㅇ2025. 6. 30. 18:00삭제
뭐든지 과한건 좋지는 않아
28. 밤나무혹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연 1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 ② 피해를 받은 나무가 고사하는 경우는 없다.
- ③ 충영은 성충 탈출 후에도 녹색을 유지한다.
- ④ 밤나무 잎에 기생하여 직경 1mm 내외의 충영을 만든다.
마루2025. 9. 18. 11:02삭제
밤나무혹벌(Dryocosmus kuriphilus)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① 연 1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올바른 설명입니다. 밤나무혹벌은 연 1회 발생하며, 충영 내에서 유충 상태로 월동합니다.
② 피해를 받은 나무가 고사하는 경우는 없다.
틀린 설명입니다. 심한 피해를 받으면 나무 전체가 고사할 수 있습니다.
③ 충영은 성충 탈출 후에도 녹색을 유지한다.
틀린 설명입니다. 성충이 탈출한 후 충영은 갈색으로 변하며 말라죽습니다.
④ 밤나무 잎에 기생하여 직경 1mm 내외의 충영을 만든다.
틀린 설명입니다. 밤나무혹벌은 주로 새순과 잎자루에 기생하며, 충영의 크기는 직경 5-20mm 정도로 1mm보다 훨씬 큽니다.
정답: ①
밤나무혹벌은 연 1회 발생하는 해충으로, 충영 내에서 유충 상태로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봄에 우화합니다.
29. 수목의 그을음병을 방제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은?
- ①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 ② 방풍 시설을 설치한다.
- ③ 해가림 시설을 설치한다.
- ④ 흡즙성 곤충을 방제한다.
마루2025. 9. 18. 11:03삭제
그을음병의 발생 메커니즘:
흡즙성 해충(진딧물, 깍지벌레, 가루깍지벌레 등)이 식물의 체액을 빨아먹음
이들 해충이 **단물(honeydew)**을 분비함
단물에 **그을음병균(Capnodium, Fumago 등)**이 서식하며 증식
잎과 가지 표면이 검은 그을음 같은 막으로 덮임
각 선택지를 검토해보면:
①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녹병 등의 방제법으로, 그을음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② 방풍 시설을 설치한다.
그을음병 방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③ 해가림 시설을 설치한다.
그을음병 방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④ 흡즙성 곤충을 방제한다.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그을음병의 근본 원인인 흡즙성 해충을 제거하면 단물 분비가 중단되어 그을음병균의 서식지가 사라집니다.
정답: ④
그을음병은 흡즙성 곤충이 분비하는 단물에 의해 발생하므로, 근본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1차적으로 흡즙성 곤충을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30. 주로 토양에서 월동하는 병원균은?
- ① 모잘록병균
- ② 잣나무 털녹병균
- ③ 낙엽송 잎떨림병균
- ④ 배나무 불마름병균
마루2025. 9. 18. 11:04삭제
① 모잘록병균 (Damping-off pathogen)
토양 서식성 병원균입니다.
주로 Pythium, Rhizoctonia, Fusarium 등의 균이 원인
토양에서 월동하며 토양 조건이 적합할 때 발병합니다.
② 잣나무 털녹병균
녹병균으로 이기주성 병원균입니다.
주로 중간기주나 본기주의 조직에서 월동합니다.
토양에서 월동하지 않습니다.
③ 낙엽송 잎떨림병균
잎에 기생하는 병원균입니다.
주로 낙엽이나 가지에서 월동합니다.
토양에서 월동하지 않습니다.
④ 배나무 불마름병균 (Fire blight)
세균성 병원균(Erwinia amylovora)입니다.
주로 감염된 가지나 조직 내에서 월동합니다.
토양에서 월동하지 않습니다.
정답: ①
모잘록병균은 대표적인 토양 서식성 병원균으로, 토양에서 월동하다가 적절한 환경 조건(고온다습, 과습 등)이 되면 발병하여 어린 묘목의 줄기 기부를 침해합니다.
ㅇㅇ2025. 6. 30. 18:00삭제
질소과다 -> 모잘록병 발병 위험 있음
31. 버즘나무방패벌레가 월동하는 형태는?
- ① 알
- ② 성충
- ③ 유충
- ④ 번데기
마루2025. 9. 18. 11:09삭제
버즘나무방패벌레(Corythucha ciliata)의 생활사와 월동 특성:
연 3-4회 발생하는 다화성 해충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 불완전변태 곤충 (알 → 약충 → 성충)
가을에 성충이 월동처로 이동
월동 특성:
성충 상태로 월동합니다
나무껍질 틈, 낙엽 밑, 건물 틈새 등에서 월동
이듬해 봄 기온이 상승하면 활동을 재개
각 선택지를 검토해보면:
① 알 - 월동 형태가 아닙니다
② 성충 - 올바른 답입니다
③ 유충 - 방패벌레는 불완전변태 곤충으로 유충이 없고 약충이 있습니다
④ 번데기 - 불완전변태 곤충으로 번데기 단계가 없습니다
버즘나무방패벌레는 성충 상태로 월동하는 대표적인 흡즙성 해충입니다.
ㅂ2023. 7. 9. 10:28삭제
성충 월동 - 오리나무잎, 버즘나무방패, 진달래방패, 소나무좀, 향하늘소
32. 상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조상으로 인하여 나타난다.
- ② 만상으로 수목의 생장이 저해되어 나타난다.
- ③ 한경울 수목의 휴면 기간 중 저온으로 인하여 치수에 발생하는 피해 현상이다.
- ④ 주로 추운 지방에서 고립목이나 임연부의 교목에서 주로 발생하는 상렬의 일종이다.
마루2025. 9. 18. 14:53삭제
② 만상으로 수목의 생장이 저해되어 나타난다.**가 상륜에 대한 옳은 설명입니다.
상륜(霜輪)은 만상(晩霜, 늦은 서리)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 현상입니다.
봄철에 새순이나 새잎이 나온 후 늦은 서리가 내려서 발생
서리 피해를 받은 부분이 고사하면서 나무 둘레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나타남
주로 어린나무나 새로 돋은 가지에서 관찰됨
수목의 생장이 일시적으로 저해되거나 정지됨
상렬(霜裂)과 혼동 조심!! 상륜은 서리로 인한 생리적 피해이고, 상렬은 온도차로 인한 물리적 균열입니다.
h2025. 7. 26. 16:49삭제
1) 피해의 종류
1. 저온 - 서리해(=상해 >만상, 상륜 등) / 상렬(>상종 등) / 서릿발(=상주)
2. 고온 - 열해 / 피소(=껍질데기) / 가뭄해(=한해)
3. 눈 - 설해( > 설절,설압,설도,설할,설붕)
2) 저온 피해
1. 서리해(상해)
ㄱ. 서리해(조상해)
- 가을에서 초겨울 사이 눈이 성숙하지 않은 시기
급강하한 기온에 갈색으로 변하게 되는 것
ㄴ. 만상
- 이른 봄에 활동을 시작 한 후 서리(가 내려 새순이 말라죽는 것
- 늦서리의 피해
- 상륜
늦서리의 피해를 받아 칼륨,인산의 부족으로 이중나이테가 형성되는 것
- 예방 : 방품림 조성 / 배수 양호 / 늦은 파종
2. 상렬
- 추위로 인한 수액의 동결로
나무 줄기 or 껍질이 냉각 및 수축하려 갈라지는 현상
- 상종
봄에 갈라진 부분이 아물고 다시 겨울 터지고 갈라지는 현상 반복되어
그 부분이 두드러지게 비대상장하는 것
- 예방 : 수풀 울폐 / 방품림 조성 / 배수 양호
3. 서릿발(상주)
- 지표면이 빙점이하의 저온으로 냉각 시
모관수가 얼고 이것이 반복되어 얼음기둥으로 점차 올라오게 되는 현상
- 천근성 수종(편백,전나무,가문비나무) 의 치수보다
심근성 수종 의 치수가 비교적 안전
- 예방 : 파종상 높게 / 배수 양호 / 삭재조림
천연적 지피물 보존 / 판갈이 / 추파 시 두텁게 복토
판갈이 시 깊이 심고 잘 밟음 / 상목
33. 산성비로 인한 피해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토양 중 알루미늄 및 망간 등의 중금속을 불용화시킨다.
- ② 토양이 산성화되어 수목에 대한 양료 공급이 부족해진다.
- ③ 수목 잎의 조직 내 책상조직에 피해를 주어 세포질을 손상시킨다.
- ④ 수목 잎의 기공과 큐티클을 통하여 침투한 산성 물질이 내부 세포의 생리 작용에 장해를 준다.
마루2025. 9. 18. 14:56삭제
산성비 피해 메커니즘
산성비의 주성분: SO₂, NOx → H₂SO₄, HNO₃
주요 피해:
토양 산성화 → 양이온 용탈(칼슘, 마그네슘 등) → 양료 부족
알루미늄, 망간 등 독성 원소 가용화(= 용출 증가) → 뿌리 생장 저해
잎·침엽 피해 → 기공·큐티클 침투 → 세포 조직(책상조직 등) 손상
선택지 검토
① 토양 중 알루미늄 및 망간 등의 중금속을 불용화시킨다.
→ X. 실제로는 “불용화”가 아니라 용출·가용화되어 뿌리 흡수 장해를 일으킴.
② 토양이 산성화되어 수목에 대한 양료 공급이 부족해진다.
→ 맞음
③ 수목 잎의 조직 내 책상조직에 피해를 주어 세포질을 손상시킨다.
→ 맞음
④ 수목 잎의 기공과 큐티클을 통하여 침투한 산성 물질이 내부 세포의 생리 작용에 장해를 준다.
→ 맞음
ㅂ2023. 7. 9. 10:32삭제
산성비 - 안좋은거,, 불용화면 매일 산성비에 노출해야겠지,,
34. 털두꺼비하늘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피해목에서는 톱밥에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식별이 어렵다.
- ② 버섯재배용 원목을 가해하여 버섯재배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 ③ 벌채목에 방충망을 씌워 성충의 산란을 막아 방제할 수 있다.
- ④ 주로 1년에 1회 발생하나 2년에 1회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ㅂ2023. 7. 9. 10:32삭제
표고버섯 재배 나무 피해, 톱밥에서 식별가능
35. 곤충의 소화기관 중 잎에서 가까운 것부터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 ① 전위 → 인두 → 전소장 → 위맹낭
- ② 인두 → 전위 → 위맹낭 → 전소장
- ③ 전위 → 인두 → 위맹낭 → 전소장
- ④ 인두 → 전위 → 전소장 → 위맹낭
마루2025. 9. 18. 15:02삭제
곤충의 소화기관 중 잎(입)에서 가까운 것부터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② 인두 → 전위 → 위맹낭 → 전소장입니다.
인두는 곤충의 입과 식도 사이 근육성 관으로서 먹이를 삼키는 역할을 합니다.
전위는 모이주머니로서 먹이를 일시 저장하고 분해하는 역할을 하며, 위맹낭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전소장은 소화와 흡수가 주로 이루어지는 기관으로 전위와 위맹낭 뒤에 위치합니다.
36. 아까시잎혹파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아까시나무만 가해한다.
- ②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
- ③ 땅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한다.
- ④ 흰가루병 및 그을음병을 동반한다.
마루2025. 9. 18. 15:04삭제
① 아까시나무만 가해한다.
맞습니다. 아까시잎혹파리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만을 가해하는 단식성 해충입니다.
②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
맞습니다. 아까시잎혹파리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외래해충으로, 우리나라에는 1980년대에 침입했습니다.
③ 땅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한다.
틀렸습니다. 아까시잎혹파리는 유충 상태로 토양 속에서 월동합니다. 성충으로 월동하지 않습니다.
④ 흰가루병 및 그을음병을 동반한다.
맞습니다. 아까시잎혹파리의 가해로 잎이 위축되고 변형되면서 2차적으로 흰가루병(powdery mildew)과 그을음병(sooty mold) 등의 병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까시잎혹파리는 연 3~4회 발생하며, 마지막 세대 유충이 토양 속에서 월동합니다.
ㅂ2023. 7. 9. 10:35삭제
번데기 월동 - 아까시잎혹파리, 미국흰불나방
* 성충 월동 - 오리나무잎, 버즘방패, 진달래방패, 소나무좀, 향하늘소
37. 모잘록병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밀식하여 관리한다.
- ② 토양 소독을 실시한다.
- ③ 배수와 통풍을 잘하여 준다.
- ④ 복토를 두껍게 하지 않는다.
마루2025. 9. 18. 15:05삭제
모잘록병은 주로 Pythium, Rhizoctonia, Fusarium 등의 토양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 묘목 병해:
① 밀식하여 관리한다.
틀렸습니다. 밀식은 모잘록병을 촉진시킵니다. 밀식하면 통풍이 나빠지고 습도가 높아져서 병원균의 번식이 활발해집니다. 따라서 적정 간격으로 파종하여 통풍을 좋게 해야 합니다.
② 토양 소독을 실시한다.
맞습니다. 토양 내 병원균을 제거하기 위해 열처리, 화학약제 처리 등의 토양 소독이 효과적입니다.
③ 배수와 통풍을 잘하여 준다.
맞습니다. 과습 조건에서 모잘록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배수를 잘하고, 통풍을 좋게 하여 습도를 낮춰야 합니다.
④ 복토를 두껍게 하지 않는다.
맞습니다. 복토가 너무 두꺼우면 발아가 지연되고 약한 묘가 되어 모잘록병에 걸리기 쉽습니다. 적정 두께의 복토가 필요합니다.
ㅇㅇ2025. 6. 30. 18:01삭제
밀식하면...병나면 순식간에 뭉쳐있는놈들 집단으로 뒈진다
38. 소나무 재선충병이 발생하는 주요 경로는?
- ① 종자
- ② 토양
- ③ 매개충
- ④ 중간기주
마루2025. 9. 18. 15:07삭제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재선충이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등의 매개충 체내에 서식하다가, 매개충이 건강한 나무의 수피를 갉아 먹으며 생긴 상처를 통해 나무에 침입하면서 발생합니다.
ㅇㅇ2025. 6. 30. 18:01삭제
솔수염하늘소
39.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 약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베노밀 수화제
- ② 아진포스메틸 수화제
- ③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④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
마루2025. 9. 18. 15:11삭제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파이토플라즈마(세포벽 없는 세균類)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파이토플라즈마 억제에는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옥시테트라사이클린)**가 가장 적합합니다.
① 베노밀: 곰팡이병용, ② 아진포스메틸: 살충제, ③ 스트렙토마이신: 주로 세균성 병(불마름병 등)에 사용.
ㅂ2023. 7. 9. 10:39삭제
파이토플라스마 - 대추빗(마름매미), 뽕빗(마름매매), 오동빗(담배장님노린재)
약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벚빗 - 진균(자낭) - 보르도액
40. 침엽수, 활엽수, 초본식물을 모두 기주로 하는 수목병은?
- ① 흰가루병
- ② 갈색고약병
- ③ 리지나뿌리썩음병
- ④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마루2025. 9. 18. 15:12삭제
④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Armillaria root rot)**이 침엽수, 활엽수, 초본식물을 모두 기주로 하는 수목병입니다.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은:
Armillaria 속 균류에 의해 발생
매우 광범위한 기주 범위를 가짐
침엽수(소나무, 잣나무 등), 활엽수(참나무, 밤나무 등), 그리고 초본식물까지 모두 감염시킬 수 있음
뽕나무버섯이라고도 불리는 자실체를 형성
토양 내에서 균사속(rhizomorph)을 형성하여 확산
반면 흰가루병은 주로 잎 표면에 발생하는 병해이고, 각각의 흰가루병균은 특정 기주에 특화되어 있어서 한 종류의 균이 모든 식물군을 감염시키지는 않습니다.
3과목 : 임업경영학
41. 산림경영계획에서 임종 구분으로 옳은 것은?
- ① 임반, 소반
- ② 천연림, 인공림
- ③ 입목지, 무립목지
- ④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다음 조건에서 정액법에 의한 임업기계의 연간 감가상각비는?

- ① 50만원
- ② 80만원
- ③ 100만원
- ④ 160만원
ㅇㅇ2025. 8. 20. 16:26삭제
정액법
취득원가 - 잔존가치 / 내용연수
조경학도2024. 1. 28. 21:23삭제
해설이 없어서 야매로 풀어보자면..
(5000-1000)/50=80
43. 현재의 가치가 10,000원인 임목을 이자율 4%로 4년 동안 임지에 존치하였다면 4년 동안의 임목가치 증가액은?
- ① 약 1,700원
- ② 약 2,700원
- ③ 약 10,000원
- ④ 약 11,700원
ttotto692025. 4. 26. 22:16삭제
10000*(1+0.04)^4=11698.5원 =약 11,700원이므로 증감액은 약 1,700원
44. 국유림 경영의 목표에서 다섯 가지 주목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보호기능
- ② 고용기능
- ③ 경영수지 개선
- ④ 국제협력 강화
ttotto692025. 4. 27. 21:05삭제
국유림 경영의 목적: 산림보호기능, 휴양문화기능, 임산물 생산기능, 고용기능, 경영수지의 개선등
공유림 경영의 목적: 공공복지 증진, 재정수입확보, 사유림경영의 시범등
45. 평균생장량과 연년생장량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초기에는 평균생장량이 연년생장량보다 크다.
- ② 평균생장량이 연년생장량에 비해 최대점에 빨리 도달한다.
- ③ 평균생장량이 최대일 때 연년생장량과 평균생장량은 같게 된다.
- ④ 평균생장량이 최대점에 이르기까지는 연년생장량이 평균생장량보다 항상 작다.
h2025. 7. 26. 17:10삭제
연년생장량(1년간)과 평균생장량(일정기간)의 관계
1. 처음에는 연년생장량이 평균생장이 크다
2. 연년생장량이 평균생장량보다 빨리 극대점을 갖는다
3. 평균생장량의 극대점에서 두 생장량의 크기는 같다
4. 평균생장량이 극대점에 이르기까지는 평균생장량이 연년생장량보다 작다
5. 평균생장량이 극대점에 이른 후에는 평균생장량이 연년생장량보다 크다
6. 유령기 : 연년생장량의 극대점까지
장령기,: 연년생장량의 극대점 이후부터평균생장량의 극대점까지
노령기 : 평균생장량의 극대점이후
7. 평균생장량의 극대점이 이루는 해에 벌채하는 것이 이상적
46. 자본장비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노동생산성은 자본장비도와 자본효율에 의해 결정된다.
- ② 다른 요소에 변화가 없다고 할 때 자본이 많아지면 자본효율은 커진다.
- ③ 자본액 중에서 유동자본을 포함한 고정자본을 종사자로 나눈 것이다.
- ④ 다른 요소에 변화가 없다고 할 때, 자본이 많아지면 자본장비도는 작아진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유동자본으로만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 ① 임도, 임업기계
- ② 묘목, 임업기계
- ③ 임도, 미처분 임산물
- ④ 묘목, 미처분 임산물
ttotto692025. 4. 26. 23:36삭제
유동자본: 조림비(종자, 묘목, 비료, 약제, 보육비용), 관리비(관리자의 급료, 보험료, 사무비, 수선비, 공과잡비),사업비(임금,소모품비)
고정자본:임지, 임도, 건물, 기계, 기구,시설, 설비, 차량
ㅋㅋㅋ2024. 11. 12. 10:25삭제
zzzzzzzzzzzz
..2024. 2. 7. 08:48삭제
문제 게시자가 광고수익으로 돈버는 중이라 이해하세요 ㅎㅎ
ㅇ2024. 1. 28. 21:38삭제
해설이 졸라 웃기네
48. 임업조수익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 ① 감가상각액
- ② 임업현금지출
- ③ 미처분 임산물 증감액
- ④ 농업생산자재 재고 증감액
ttotto692025. 4. 27. 00:05삭제
임가소득=임업소득+농업소득+기타소득, 임업의존율=(임업소득/임가소득)*100
임업소득=임업조수익-임업경영비, 임업소득률=(임업소득/임업조수익)*100
임업조수익=임업현금수입+임산물 가계소비액+미처분 임산물 증감액+임업생산자재 재고증감액+임목성장액
,임업소득가계충족률=(임업소득/가계비)*100
임업경영비=임업현금지출+감가상각비+미처분 임산물 재고감소액+임업생산자재 재고감소액+주(벌)임목 감소액 , 자본수익률=(순수익/자본)*100
임업순수익=임업소득-가족임금추정액=임업조수익-임업경영비-가족임금추정액
49. 다음 조건에 따른 시장가역산법에 의한 소나무 원목의 임목가는?

- ① 약 210원/m3
- ② 약 2,100원/m3
- ③ 약 20,970원/m3
- ④ 약 209,660원/m3
ttotto692025. 4. 27. 00:15삭제
조재율*[{원목의 단위면적당 시장가/(1+자본회수기간*월이율+기업이익율)}-원목의 단위면적당 총생산비용]
50. 임지기망가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이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임지기망기는 커진다.
- ② 조림비와 관리비의 값은 (-)이므로 이 값이 클수록 임지기망가는 작아진다.
- ③ 주벌수익과 간벌수익은 값은 (+)이므로 이 값이 클수록 임지기망가는 커진다.
- ④ 벌기령이 높아지면 임지기망가는 처음에는 증가하다가 어느 시기에 최대에 도달하고, 그 후부터는 점차 감소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산림수확 조절방법 중 면적평분법을 적용할 수 없는 작업종은?
- ① 복벌
- ② 재벌
- ③ 개벌
- ④ 택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평가 방법은?

- ① 회수기간법
- ② 순현재가치법
- ③ 수익비용률법
- ④ 투자이익률법
이인성2024. 2. 4. 10:59삭제
순현재가치법 : 0보다 크면 투자
ㅂ2023. 7. 9. 10:52삭제
회수기간법 - 회수기간 짧으면 투자 유리
수익비용률법 - 투자비용 현자가에 대해 투자결과로 기대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 비율 (수익성지수 1보다 크면 투자가치 큼)
내부수익률법 - 투자에 의해 장래에 예상되는 현금 유입과 현재가 동일
53. 산림경영의 지도원칙 중에서 수익성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토지의 생산력을 최대로 추구하는 원칙
- ② 최대의 경제성을 올리도록 경영하는 원칙
- ③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하는 원칙
- ④ 최대의 이익 또는 이윤을 얻을 수 있도록 경영하는 원칙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산림경영계획에서 1-2-3-4로 표시된 산림구획이 의미하는 것은?
- ① 임반-보조임반-소반-보조소반
- ② 임반-소반-보조임반-보조소반
- ③ 경영계획구-임반-소반-보조소반
- ④ 경영계획구-임반-보조임반-소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형수를 사용해서 입목의 재적을 구하는 방법을 형수법이라고 하는데, 비교 원주의 직경 위치를 최하단부에 정해서 구한 형수는?
- ① 정형수
- ② 단목형수
- ③ 흉고형수
- ④ 절대형수
h2025. 7. 25. 15:48삭제
단목형수
- 크기와 임목이 비슷한 임목의 형수를 각각 구한 후 그 값을 평균한 것
- 일반적인 형수는 단목형수를 말하며 임목재적표를 만들 때 쓰인다.
ttotto692025. 4. 27. 22:48삭제
흉고형수: 지상 1.2m에 위치한 직경을 비교원주의 직경으로 하는 형수
정형수: 수고의 1/n에 위치한 직경을 비교원주의 직경으로 하는 형수
절대형수: 수간 최하단부의 직경을 비교원주의 직경으로 하는 형수
56. 수간석해를 이용하여 전체 재적을 구할 때 합산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 ① 근주재적
- ② 지조재적
- ③ 결정간재적
- ④ 초단부재적
ttotto692025. 4. 27. 23:01삭제
지조=가지
57. 다음에 주어진 법정림 수확표를 이용하여 계산한 법정생장량은? (단, 산림면적은 300ha, 윤벌기는 60년)

- ① 184m3
- ② 920m3
- ③ 1,700m3
- ④ 17,000m3
ㅇㅇ2025. 8. 20. 21:11삭제
윤벌기년수 = 영계의수!! --> 영계의면적은? => 1년에 벌채하는 면적!
최노령임분의 ha당 재적 * 영계의면적 => 1년에 벌채하는! 나무의 재적!
따라서~ 만약 면적 300ha / 윤벌기 60년 = 영계수 60개 = 60년생임분이 벌채대상(최노령임분) / 최노령임분 60년생임분의 1ha당! 재적 340 일때!
법정생장량은? = 법정수확량 = 벌기임분의 재적 = 법정벌채량 은?
전체면적이 300ha인데~ 이놈을 다~ 베어내는데 60년이 걸린다! 즉? --> 1년에 몆ha씩 벌채를하는가? = 영계의 면적이 얼마인가?
영계의 면적! = F/U 즉, 전체면적 / 윤벌기 = 300 / 60 = 5ha => 1년에 베어내는 면적! = 법정(연)벌채량
자~ 그럼? 우리의 벌채대상인 최노령임분은? 1ha당 재적이 340이죠! 그럼? 1년에 5ha씩 벌채 해서~ 60년에 걸쳐 300ha를 베어내는디!
1년에 5ha씩이면? 1년에 베어지는 재적은? 340 * 5 = 1700 이죠! = 법정수확량 = 법정(연)벌채량 = 법정생장량 = 벌기임분의재적
조2023. 7. 15. 11:02삭제
(340/60)*300=1700
58. 임지의 지위지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기준 임령에서 임분의 전체 축적으로 결정한다.
- ② 기준 임령에서 임분의 우세목 수고로 결정한다.
- ③ 기준 임령에서 임분의 우세목 재적으로 결정한다.
- ④ 기준 임령에서 임분을 구성하는 우세목과 열세목의 평균직경으로 결정한다.
ttotto692025. 4. 27. 23:51삭제
우리나라 대부분 수종의 기준임령이 20년이고 상수리, 신갈나무등은 30년이므로 임령이 20~30년일때 우세목의 수고를 지위지수 결정한다
59. 유령림의 임목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비용가법
- ② 매매가법
- ③ 기망가법
- ④ Glaser 법
h2025. 7. 25. 15:43삭제
원가방식 - 원가법, 비용가법 - 벌기미만 유령임
수익방식 - 기망가법, 수익환원법 - 벌기미만 장령림
원가수익절충방식 - Glaser법, 임지기망가응용법 - 중령림
비교방식 - 매매가법, 시장가역산법 - 벌기이상 임목
60. 임목의 흉고직경을 계산하는 방버으로 산술평균직경법(a)과 흉고단면적법(b)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a와 b는 같은 값이 된다.
- ② a가 b보다 큰 값이 된다.
- ③ b가 a보다 큰 값이 된다.
- ④ a와 b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없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과목 : 임도공학
61. 절토 경사면이 경암인 경우의 기울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
- ① 1 : 0.3 ~ 0.8
- ② 1 : 0.5 ~ 0.8
- ③ 1 : 0.5 ~ 1.5
- ④ 1 : 0.8 ~ 1.5
ㅂ2023. 7. 9. 11:00삭제
경암 0.3~0.8
연암 0.5~1.2
토사 0.8~1.5
62. 개발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노망의 배치상태에 따라서 이용효율성은 크게 달라진다.
- ② 개발지수 산출식은 평균집재거리와 임도밀도를 곱한 값이다.
- ③ 임도가 이상적으로 배치되었을 때는 개발지수가 10에 근접한다.
- ④ 임도망이 어느 정도 이상적인 배치를 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지수이다.
ㅂ2023. 7. 9. 11:01삭제
10 아니고 1
63. 지반고가 시점 10m, 종점 50m이고 수평거리가 1km일 때 종단기울기는?
- ① 4%
- ② 5%
- ③ 6%
- ④ 7%
ttotto692025. 4. 28. 01:05삭제
수직거리=50-10=40m, 수평거리=1km=1000m, 종단기울기=(40/1000)*100=4%
산림2025. 2. 17. 23:13삭제
D:H=100:G
64. 다음 조건에서 곡선반지름(m)은?

- ① 약 15
- ② 약 25
- ③ 약 30
- ④ 약 50
ㅎㅎ2024. 1. 29. 13:55삭제
R = (V^2) / (127 * (μ + 0.05))
R: 곡선반지름(m)
V: 설계속도(km/h)
μ: 노면과 차량의 마찰계수
0.05: 노면의 횡단물매
설계속도가 20 km/h, 마찰계수가 0.15, 횡단물매가 5%일 때의 곡선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 = (25^2) / (127 * (0.15 + 0.05))
= 약 25
ㅎㅎ2024. 1. 29. 13:55삭제
R = (V^2) / (127 * (μ + 0.05))
여기서,
R: 곡선반지름(m)
V: 설계속도(km/h)
μ: 노면과 차량의 마찰계수
0.05: 노면의 횡단물매
설계속도가 20 km/h, 마찰계수가 0.15, 횡단물매가 5%일 때의 곡선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 = (25^2) / (127 * (0.15 + 0.05))
= 약 25
ㅎㅎ2024. 1. 29. 13:52삭제
R = (V^2) / (127 * (μ + 0.05))
여기서,
R: 곡선반지름(m)
V: 설계속도(km/h)
μ: 노면과 차량의 마찰계수
0.05: 노면의 횡단물매
설계속도가 20 km/h, 마찰계수가 0.15, 횡단물매가 5%일 때의 곡선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 = (25^2) / (127 * (0.15 + 0.05))
= 약 25
ㅎㅎ2024. 1. 29. 13:51삭제
R = (V^2) / (127 * (μ + 0.05))
여기서,
R: 곡선반지름(m)
V: 설계속도(km/h)
μ: 노면과 차량의 마찰계수
0.05: 노면의 횡단물매
설계속도가 20 km/h, 마찰계수가 0.15, 횡단물매가 5%일 때의 곡선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 = (25^2) / (127 * (0.15 + 0.05))
= 약 25
ㅎㅎ2024. 1. 29. 13:51삭제
R = (V^2) / (127 * (μ + 0.05))
여기서,
R: 곡선반지름(m)
V: 설계속도(km/h)
μ: 노면과 차량의 마찰계수
0.05: 노면의 횡단물매
설계속도가 20 km/h, 마찰계수가 0.15, 횡단물매가 5%일 때의 곡선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 = (25^2) / (127 * (0.15 + 0.05))
= 약 25
65. 굴삭기의 시간당 작업량 산출 계산을 위한 인자로 거리가 먼 것은?
- ① 작업효율
- ② 버킷계수
- ③ 체적계수
- ④ 버킷면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6. 수준측량 결과가 다음과 같을대 종점의 지반고는?

- ① 45.4m
- ② 54.6m
- ③ 154.6m
- ④ 456.2m
조2023. 7. 15. 11:19삭제
100+205.4-150.8=154.6
67. 임도의 종단면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축척은 횡 1/1,000, 종 1/200로 작성한다.
- ② 종단면도는 전후도면이 접합되도록 한다.
- ③ 종단기울기의 변화점에는 종단곡선을 삽입한다.
- ④ 종단기입의 순서는 좌측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한다.
h2025. 7. 25. 17:25삭제
임도설계도면의 축척
1. 평면도, 지장물도, 용지도 (축척 1 : 1200)
2. 종단면도 (축척 횡 1 : 1000, 종 1 : 200)
3. 횡단면도 (축척 1 : 100)
4. 구조물설계도( 축척 1 : 20~50)
ㅂ2023. 7. 9. 11:03삭제
4- 횡단면도
68. 임도 측선의 거리가 99.16m 이고 방위가 S 39° 15′ 25″ W 일 때 위거와 경거의 값으로 옳은 것은?
- ① 위도 +76.78m, 경거 +62.75m
- ② 위도 +76.78m, 경거 -62.75m
- ③ 위도 -76.78m, 경거 +62.75m
- ④ 위도 -76.78m, 경거 -62.75m
하면된다2025. 4. 28. 10:52삭제
위코경신 SE:180-방위각, SW:180+방위각, NW:360-방위각, NE:방위각
위거=99.16*cos(180+39)=-77, 경거=99.16*sin(180+39)=-62
69. 머캐덤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시멘트 머캐덤도 : 쇄석을 시멘트로 결합시킨 도로
- ② 역청 머캐덤도 : 쇄석을 타르나 아스팔트로 결합시킨 도로
- ③ 교통체 머캐덤도 : 쇄석이 교통과 강우로 인하여 다져진 도로
- ④ 수체 머캐덤도 : 쇄석의 틈 사이에 모래 및 마사를 침투시켜 롤러로 다져진 도로
하면된다2025. 4. 28. 10:55삭제
수체 머캐덤도: 쇄석틈 사이에 석분을 물로 침투시켜 롤러로 다진 도로
70. 임도의 횡단기울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노면 배수를 위해 적용한다.
- ② 차량의 원심력을 크게 하기 위해 적용한다.
- ③ 포장이 된 노면에서는 1.5~2%를 기준으로 한다.
- ④ 포장이 안 된 노면에서는 3~5%를 기준으로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1. 적정임도밀도가 10m/ha이고 집재방향이 양방향일 때 평균집재거리는? (단, 우회계수는 고려하지 않음)
- ① 10m
- ② 100m
- ③ 250m
- ④ 500m
h2025. 7. 25. 15:28삭제
1. 적정임도밀도에서 임도간격 10000 / 적정임도밀도
2. 적정임도밀도에서 단방향 집재거리 5000 / 적정임도밀도
3. 적정임도밀도에서 양방향 집재거리 2500 / 적정임도밀도
지동환2024. 1. 21. 12:05삭제
1. 적정임도밀도가 10m/ha 이므로 양방향으로 500m 씩 나눈다
10.000m2 (1ha) /(10m/ha) = 1,000m (양 방향이므로 각 500m)
2. 따라서 집재거리는 500m 이고 평균 집재거리는 500m 를 2로 나눠서 250m 이다
조2023. 7. 15. 11:27삭제
양방향 2500÷10=250
단방향 5000÷10=500
72. 임도 측량 방법으로 영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노폭의 1/2 되는 점을 연결한 선이다.
- ② 절토작업과 성토작업의 경계선이 되기도 한다.
- ③ 산지 경사면과 임도 노면의 시공면과 만나는 점을 연결한 노선의 종축이다.
- ④ 영선측량의 경우 종단측량을 먼저 실시하여 영선을 정한 후에 평면 및 횡단측량을 한다.
하면된다2025. 4. 28. 11:04삭제
중심선: 노폭의 1/2 되는 점을 연결한 선
73. 원목 집재 및 운재용 장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포워더
- ② 트리펠러
- ③ 프로세서
- ④ 하베스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4. 간선임도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차돌림 곳은 너비를 10m 이상으로 한다.
- ② 임도의 유효너비는 3m를 기준으로 한다.
- ③ 대피소의 유효길이는 15m 이상으로 한다.
- ④ 설계속도 20km/시간일 때 최소곡선반지름은 일반지형의 경우 12m 이상으로 한다.
h2025. 7. 25. 15:16삭제
1. 간선임도 대피소
a. 간격 300m 이내 / b. 너비 5m이상 / 유효길이 15m이상
2. 차돌림 곳
너비 10m이상
ㅂ2023. 7. 9. 11:06삭제
일반지형 15, 특수지형 12
75. 지형도의 등고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조곡선은 간곡선의 1/2의 거리로 불규칙한 지형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 ② 간곡선은 산지의 형태를 표시하며 주곡선 5개마다 1개를 굵게 표시한다.
- ③ 주곡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리며 지형을 나타내는 기본이 되는 곡선이다.
- ④ 등고선의 간격은 서로 옆에 있는 등고선 사이의 수직거리를 말하며 평면도의 축척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하면된다2025. 4. 28. 22:32삭제
계곡선: 주곡선 5개마다 1개를 굵게 표시한 선
76.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가 4이고 절단하중이 360kg 이라면 이 와이어로프의 최대 장력은?
- ① 60kg
- ② 90kg
- ③ 120kg
- ④ 180k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7. 임도를 설계하고자 할 때 다음 중 가장 먼저 해야 할 업무는?
- ① 예측
- ② 답사
- ③ 예비조사
- ④ 설계도서 작성
하면된다2025. 4. 28. 22:37삭제
예비조사-답사-예측(예비측량)-실측(정밀측량)-설계도 작성-공사수량 산출-설계서 작성
78. 임도의 노체 구성 순서로 옳은 것은? (단, 아래에서 위로의 순서에 해당됨)
- ① 노반→기층→노상→표층
- ② 노상→노반→기층→표층
- ③ 노반→노상→기층→표층
- ④ 노상→기층→노반→표층
ㅅ2024. 1. 10. 14:38삭제
노노기표 하다가 노상인지 노반인지 헷갈리듯
ㅂ2023. 7. 9. 11:08삭제
노노기표
79. 임도망 계획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① 가, 나, 다
- ② 가, 나, 라
- ③ 가, 다, 라
- ④ 가, 나, 다, 라
하면된다2025. 4. 28. 22:47삭제
운반비(운재비)가 적게, 신속한 운반, 운반량에 제한이 없게(탄력적이게), 운재방법의 단일화, 목재의 손실이 적도록, 날씨와계절에 따른 운재능력에 제힌이 없도록, 산림풍치의 보전과 등산*관광등의 편익 고려
80. 작업임도에서 차량규격으로 2.5톤 트럭의 최소회전반경(m) 기준은?
- ① 5.0
- ② 6.0
- ③ 7.0
- ④ 12.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과목 : 사방공학
81. 수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계안으로부터 유심을 향해 돌출한 공작물을 말한다.
- ② 계상 폭이 좁고 계상 기울기가 급한 황폐 계류에 적용한다.
- ③ 수제의 높이는 최고수위로 하고 끝부분을 다소 낮게 설치한다.
- ④ 상향수제는 수제 사이의 토사 퇴적이 하향수제보다 많고, 수제 앞부분에서의 세굴이 강하다.
지동환2024. 1. 21. 12:20삭제
1. 한쪽 또는 양족 계안으로 부터 유심을 향하여 적당한 길이와 방향으로 돌출한 공작물로서 주로 유심의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시공하는 계간사방공작물이다. 보통 계상너비가 넓고 계상물매가 완만한 계류에 계획하며, 계안으로 부터 유심을 멀리하여 수류에 의한 계안의 침식을 방지하고 기슭막이 공작물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2. 축설재료: 돌수제, 돌망태수제, 콘크리트수제, 콘크리트 블럭수제, 통나무수제, 바자수제 등이 있다.
82. 아계사방의 주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유송토사 억제 및 조정
- ② 산각의 고정과 산복의 붕괴방지
- ③ 계상 기울기를 완화하여 계류의 침식 방지
- ④ 계류의 수질 정화와 산림 황폐지로 인한 재해 방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3. 정사울타리를 설치할 때 기준 높이로 옳은 것은?
- ① 0.5~0.7m
- ② 1.0~1.2m
- ③ 2.0~2.2m
- ④ 2.5~2.7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4. 기슭막이의 시공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기슭의 유로 변경
- ② 계안의 횡침식 방지
- ③ 산각의 안정성 도모
- ④ 산지 사방공작물의 기초 보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 ① 큰조아재비(timithy)
- ② 오리새(orchard grass)
- ③ 우산잔디(bermuda grass)
- ④ 능수귀염풀(weeping love grass)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6. 선떼붙이기 공법에서 1등급 증가할 때마다 연장 1m 당 떼의 사용매수는 얼마씩 차이가 나는가? (단, 떼의 크기는 길이 40cm, 나비는 25cm)
- ① 1.25매씩 감소
- ② 1.25매씩 증가
- ③ 2.50매씩 감소
- ④ 2.50매씩 증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7. 비탈면에 설치하는 소단의 효과가 아닌 것은?
- ①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다.
- ② 비탈면의 안정성을 높인다.
- ③ 유지보수작업 시 작업원의 발판으로 이용할 수 있다.
- ④ 유수로 인하여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침식의 진행을 방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8. 돌쌓기 배치 방법으로 잘못된 쌓기가 아닌 것은?
- ① 포갠돌
- ② 이마대기
- ③ 여섯에움
- ④ 새입붙이기
이인성2024. 2. 4. 22:04삭제
해설이 틀림.
잘못된 돌쌓기는 금기돌이라 함(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20960&cid=65669&categoryId=65669)
넷붙임, 셋붙임, 넷에움, 뜬돌, 거울돌, 떨어진돌, 꼬치쌓기, 선돌, 누운돌, 새입붙이기, 뾰족돌, 포갠돌, 이마대기 등이다.
89. 다음 ( ) 안에 가장 적합한 수치는?

- ① 1/2 ~ 2/3
- ② 1/2 ~ 1
- ③ 2/3 ~ 1
- ④ 2/3 ~ 3/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0. 계류의 바닥 폭이 3.8m, 양안의 경사각이 모두 45°이고, 높이가 1.2m일 때의 계류 횡단면적(m2)은?

- ① 0.5
- ② 0.6
- ③ 5.3
- ④ 6.0
하면된다2025. 4. 29. 00:40삭제
윗변길이=1.2+3.8+1.2=6.2, 아랫변 길이=3.8, 높이=1.2
사다리꼴면적=(윗변+아랫변)*높이/2 = (6.2+3.8)*1.2/2=6
91. 유역면적이 10ha이고 최대시우량이 150mm/hr 일 때 임상이 좋은 산림지역의 최대홍수유량은? (단, 유거계수는 0.35)
- ① 약 0.14 m3/sec
- ② 약 1.46 m3/sec
- ③ 약 14.58 m3/sec
- ④ 약 145.83 m3/sec
조2023. 7. 15. 11:55삭제
100000×0.35×0.15÷3600=1.458
92. 중력식 콘크리트 사방댐의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① 물받이
- ② 방수로
- ③ 밑막이
- ④ 댐둑어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3. 산지사방에서 비탈다듬기 공사를 하기 전에 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 공사는?
- ① 단끊기
- ② 떼단쌓기
- ③ 땅속흙막이
- ④ 퇴사울세우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4. 골막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토사퇴적 기능은 없다.
- ② 사방댐보다 규모가 작다.
- ③ 계류의 상류부에 설치한다.
- ④ 반수면은 토사를 채우고 대수면은 떼를 입힌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 ① 산붕
- ② 붕락
- ③ 포락
- ④ 산사태
h2025. 7. 25. 14:52삭제
중력침식
1, 산사태 :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 빗물의 침투에 의해
산록부의 사면이 균형을 잃고 일시에 계곡 하부로 붕괴
2, 산붕 : 산사태와 유사하지만 발생 규모가 작고 산록부에서 발생
3, 붕락 : 집중호우나 융설수에 의해 토픙이 포화되어 비탈면아 무너져 떨어지는 형태
4, 포락 : 비탈면 하단부를 흐르는 계천의 가로 침식에 의해 무너지는 침식 현상
5. 암설붕락 : 토석이 산지 비탈면에서 붕력의 작용에 의해 토석더미가 붕괴되는 침식 현상
96. 산사태와 비교한 땅밀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이동 속도가 빠르다.
- ② 지하수의 영향이 크다.
- ③ 완경사면에서 주로 발생한다.
- ④ 주로 점성토가 미끄럼면으로 활동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7. 사방댐 설치에 있어 홍수기울기와 평형기울기 사이의 퇴사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토사퇴적량
- ② 토사안정량
- ③ 토사침식량
- ④ 토사조절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8. 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조기에 강도를 내기 위하여 염화칼슘을 쓰기도 한다.
- ② 시멘트를 제조할 때 석고를 넣으면 급결성이 된다.
- ③ 시멘트는 분말도가 너무 높으면 내구성이 약해지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 ④ 일반적으로 포틀랜드시멘트는 수경성이고 강도가 크며 비중은 대체로 30.5~3.15 정도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9. 돌골막이 공법에서 돌쌓기의 표준 기울기로 옳은 것은?
- ① 1 : 0.1
- ② 1 : 0.2
- ③ 1 : 0.3
- ④ 1 : 0.4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0. 강우에 의한 산지침식의 발달과정 순서로 옳은 것은?
- ① 구곡침식→면상침식→누구침식
- ② 구곡침식→누구침식→면상침식
- ③ 면상침식→구곡침식→누구침식
- ④ 면상침식→누구침식→구곡침식
조경학도2024. 2. 4. 20:42삭제
와 얼굴 개쓸려나갔네
??: 면상 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