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2004. 2. 1.) 시험일자 : 2004년 2월 1일
1과목 : 건축구조
1. 벽돌조 기초에서 콘크리트기초판의 두께는 그 나비의 얼마 정도로 하는가?
- ① 1/2
 - ② 1/3
 - ③ 1/4
 - ④ 1/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보강블록조에서 벽량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 ① 10 ㎝/m2
 - ② 15 ㎝/m2
 - ③ 20 ㎝/m2
 - ④ 25 ㎝/m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블록의 빈 속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부어넣은 것으로서, 수직하중ㆍ수평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가장 이상적인 블록구조는?
- ① 거푸집블록조
 - ② 보강블록조
 - ③ 조적식블록조
 - ④ 블록장막벽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절충식지붕틀 구조에 관한 기술 중 부적당한 것은?
- ① 지붕보의 간격은 1.8m 정도로 한다.
 - ② 중도리는 동자기둥에, 마루대는 대공 위에 수평으로 걸쳐 대고 서까래를 받는다.
 - ③ 지붕틀 규모가 작고, 동자기둥ㆍ대공이 상당히 낮게 될 때에는 종보를 설치한다.
 - ④ 지붕보는 처마도리 위에 두겁주먹장 걸침으로 하고 주걱볼트로 보와 도리를 연결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간사이가 15m, 2㎝물매인 트러스의 높이는?
- ① 1m
 - ② 1.5m
 - ③ 2m
 - ④ 2.5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2방향 배근방식일 경우 바닥판 두께는 15㎝ 이상으로 한다.
 - ② 기둥의 단면최소치수는 기둥 중심거리의 1/15 이상, 또는 25㎝ 이상으로 한다.
 - ③ 고층건물에는 부적당하고, 저층건물인 학교, 창고, 공장 등에 이용된다.
 - ④ 건물의 외부보를 제외하고는 내부에는 보 없이 바닥판만으로 구성하고 그 하중은 직접 기둥에 전달하는 것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철골구조에서 리벳 상호간의 중심간격은 최소한 리벳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① 1.5배
 - ② 2배
 - ③ 2.5배
 - ④ 3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창 면적이 클 때에는 스틸바만으로써는 약하며, 또한 여닫을 때의 진동으로 유리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것을 보강하고 외관을 꾸미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 ① 멀리온
 - ② 풍소란
 - ③ 창틀
 - ④ 마중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목재창의 윗홈대 홈의 깊이는 보통 어느 정도로 하는가?
- ① 5㎜
 - ② 10㎜
 - ③ 15㎜
 - ④ 2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응접실 등의 천장을 장식겸 음향효과가 있게 층단으로 또는 주위벽에서 띄어 구성하고 전기조명장치도 간접조명으로 천장에 은폐하는 반자는?
- ① 바름반자
 - ② 우물반자
 - ③ 구성반자
 - ④ 널반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최소 단면적은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 ① 100cm2
 - ② 300cm2
 - ③ 400cm2
 - ④ 600cm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철근콘크리트 보에 늑근을 넣는 이유는?
- ① 전단력 보강
 - ② 인장력 보강
 - ③ 압축력 보강
 - ④ 휨모멘트 보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건물의 부동침하 원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① 연약층
 - ② 경사지반
 - ③ 강제기초구조
 - ④ 일부 증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철근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철근과 콘크리트의 단점이 상호 보완되어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조이다.
 - ②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일체식구조이다.
 - ③ 알칼리성의 콘크리트가 철근의 부식을 막는 기능을 한다.
 - ④ 콘크리트가 압축력에 취약하므로 콘크리트 단면상에서 압축 응력이 분포되는 곳에 철근을 배근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다음 중 2층 마루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장선마루에서 장선은 춤을 높은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옆휨을 막기 위해 가새로 서로 보강한다.
 - ② 홑마루는 보를 쓰지 않고 층도리와 칸막이도리에 장선을 걸친다.
 - ③ 보마루는 보통 간사이가 4m 이상일 때에 쓰이고, 보의 간격은 3m 정도로 한다.
 - ④ 짠마루는 큰보위에 작은보를 걸고 그 위에 장선을 대고 마루널을 깐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벽돌쌓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① 영식쌓기 - 통줄눈이 생기지 않으며, 내력벽을 만들때에 많이 이용된다.
 - ② 미식쌓기 - 구조적으로 약해 치장용 벽돌쌓기법에 이용된다.
 - ③ 불식쌓기 - 부분적으로 통줄눈이 생기므로 구조벽체로는 부적합하다.
 - ④ 네덜란드식쌓기 - 모서리에 칠오토막이 사용되며 모서리가 다소 약한 흠이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고력볼트의 접합 원리는?
- ① 휨력
 - ② 압축력
 - ③ 전단력
 - ④ 마찰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목조벽체에 사용되는 가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목조벽체를 수평력에 견디게 하고 안정한 구조로 하기 위한 것이다.
 - ② 가새는 45˚ 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다.
 - ③ 가새의 단면은 크면 클수록 좌절(挫折)할 우려가 없다.
 - ④ 뼈대가 수평으로 교체되는 하중을 받으면 가새에는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번갈아 일어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대한 바른 설명은?
- ① 내구성ㆍ내진성ㆍ내풍성은 좋으나 내화성이 좋지 않다.
 - ② 철근콘크리트건축은 자체중량은 크지만, 강도계산이 단순하며 공사기일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 ③ 콘크리트의 부착력은 철근의 주장에 비례한다.
 - ④ 철근의 선팽창계수는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의 3배 정도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다음 중 한식 기둥에서 다락기둥이라고 불리는 것은?
- ① 고주
 - ② 누주
 - ③ 찰주
 - ④ 활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건축재료
21. 한국산업규격(KS)의 분류기호 중 건축을 나타내는 것은?
- ① K
 - ② W
 - ③ E
 - ④ F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목재의 강도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습윤상태일 때가 건조상태일 때보다 강도가 크다.
 - ② 목재의 강도는 가력방향과 섬유방향의 관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다.
 - ③ 비중이 큰 목재는 가벼운 목재보다 강도가 크다.
 - ④ 심재가 변재에 비하여 강도가 크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길이가 4m 인 생나무가 절대건조상태로 되었을 때 3.92m라면 전수축률은 몇 % 인가?
- ① 1%
 - ② 2%
 - ③ 3%
 - ④ 4%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목재의 장점으로 맞는 것은?
- ① 비중이 큰 반면에 인장강도와 압축강도가 모두 작은 편이다.
 - ② 석재나 금속에 비하여 가공이 어렵다.
 - ③ 다른 재료에 비하여 열전도율이 높다.
 - ④ 재질이 부드럽고 탄성이 있어서 인체에 대한 접촉감이 좋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그림에서 슬럼프값이란 어느 것을 말하는가?

- ① X
 - ② Y
 - ③ Z
 - ④ D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장기에 걸친 강도의 증진은 없지만 조기의 강도발생이 커서 긴급공사에 사용되는 시멘트는?
- ① 중용열포틀랜드 시멘트
 - ② 고로 시멘트
 - ③ 알루미나 시멘트
 - ④ 실리카 시멘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표준형벽돌의 규격에 해당하는 치수는? (단, 단위 ㎜)
- ① 200 × 100 × 60
 - ② 190 × 90 × 57
 - ③ 210 × 100 × 57
 - ④ 190 × 90 × 6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소성온도는 1230℃~1460℃ 정도이고 견고 치밀한 구조로서 흡수율이 1% 이하로 거의 없으며, 위생도기 등에 사용되는 것은?
- ① 토기
 - ② 석기
 - ③ 도기
 - ④ 자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내화벽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보통벽돌보다 비중이 크고 내화성도 높다.
 - ② 굴뚝 등의 내부쌓기용으로 사용된다.
 - ③ 종류로는 샤모트벽돌, 규석벽돌, 고토벽돌 등이 있다
 - ④ 쌓을때 적당히 물축임을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시멘트를 재료로 사용하는 시멘트 제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 ① 석면슬레이트
 - ② 테라코타
 - ③ 후형슬레이트
 - ④ 듀리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패어글라스(pair glass)의 주된 사용 목적은?
- ① 건물의 경량화
 - ② 광선의 투과를 차단
 - ③ 유리의 착색
 - ④ 단열 및 방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알루미늄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전기나 열의 전도율이 크다.
 - ② 전성, 연성이 풍부하며 가공이 용이하다.
 - ③ 산, 알칼리에 강하다.
 - ④ 대기중에서의 내식성은 순도에 따라 다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다음 합성수지 중 내열성이 가장 좋은 것은?
- ① 실리콘 수지
 - ② 페놀수지
 - ③ 염화비닐수지
 - ④ 멜라민 수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아스팔트를 용제에 녹인 액상으로서 아스팔트 방수의 바탕 처리재로 사용되는 것은?
- ① 아스팔트 펠트
 - ② 아스팔트 루핑
 - ③ 아스팔트 프라이머
 - ④ 아스팔트 싱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단위 질량의 물질을 온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그 물체의 무엇이라 하는가?
- ① 열용량
 - ② 비열
 - ③ 열전도율
 - ④ 연화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건축물의 표면 마무리, 인조석 제조 등에 사용되며 구조체의 축조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시멘트는?
- ①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 ② 플라이애시 시멘트
 - ③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 ④ 고로슬래그 시멘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
- ①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 중의 경화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 ② 골재의 표면은 매끈하고 구형에 가까운 것이 좋다.
 - ③ 골재는 잔 것과 굵은 것이 골고루 혼합된 것이 좋다.
 - ④ 잔골재의 염분함유한도는 0.04% 이하여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다음 중 속빈 콘크리트 기본 블록의 치수로 알맞지 않은 것은? (KS 규격, 단위는 ㎜)
- ① 390 × 190 × 190
 - ② 390 × 190 × 150
 - ③ 390 × 190 × 100
 - ④ 390 × 190 × 8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콘크리트 슬래브에 묻어 천장 달림재(달대)를 고정시키는 철물은?
- ① 콘크리트 못
 - ② 플로어 힌지
 - ③ 코너비드
 - ④ 인서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다음 재료와 용도의 짝지움이 맞는 것은?
- ① 광명단 - 방음제
 - ② 회반죽 - 방수제
 - ③ 카세인 - 접착제
 - ④ 아교 - 흡음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건축계획 및 제도
41. 제도 용지의 규격에 있어서 A0 용지의 크기는 A2 용지의 몇 배인가?
- ① 2.0배
 - ② 2.5배
 - ③ 3.0배
 - ④ 4.0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그림은 단면재료 표시기호이다. 구조용으로 쓰이는 목재의 표시방법은?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그림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 ① 미닫이창
 - ② 셔터달린창
 - ③ 이중창
 - ④ 망사창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건축도면 작도시 사용되는 투상법은?
- ① 제1각법
 - ② 제2각법
 - ③ 제3각법
 - ④ 제4각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다음 중 실시설계도의 일반도가 아닌 것은?
- ① 배치도
 - ② 입면도
 - ③ 동선도
 - ④ 창호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입면도에 표시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 ① 외벽의 마감재료
 - ② 처마높이
 - ③ 창문의 형태
 - ④ 바닥높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그림중 피복두께가 30㎜인 철근콘크리트보를 나타내는 것은?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것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 ① RAM
 - ② CPU
 - ③ DISK
 - ④ VGA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문서 등의 철을 위하여 도면을 접을 때 접는 크기는 얼마를 원칙으로 하는가?
- ① A2
 - ② A3
 - ③ A4
 - ④ A6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건축설계도면의 배치도에 나타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인접 도로의 나비 및 길이
 - ② 실의 배치와 넓이, 개구부의 위치와 크기
 - ③ 대지내 건물과 인접 경계선과의 거리
 - ④ 정화조의 위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CAD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란 무엇을 말하는가?
- ① 프린터
 - ② 모니터
 - ③ 키보드
 - ④ 스캐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기존의 수작업 제도방법에 비해 CAD를 사용하는 것이 더 생산적이라 할 수 없는 경우는?
- ① 단순한 도면을 작성할 때
 - ② 반복되는 내용을 설계할 때
 - ③ 설계 내용이 서로 대칭될 때
 - ④ 도면에 필요한 상세한 부분이 많을 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다음 중 입면도를 그리는 순서로 가장 나중에 해야 하는 것은?
- ① 지반선 G.L을 긋는다.
 - ② 각 층의 높이를 가는 선으로 긋는다.
 - ③ 창의 모양에 따라 창과 문의 형태를 작도한다.
 - ④ 바닥면에서 창높이를 가는 선으로 긋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건축도면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치수의 단위는?
- ① ㎝
 - ② ㎜
 - ③ m
 - ④ N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다음 중 수직재는?
- ① 토대
 - ② 기둥
 - ③ 층도리
 - ④ 깔도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다음은 표제란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 ① 도면은 반드시 표제란을 설정해야 한다.
 - ② 표제란에는 도면번호, 도면명칭, 축척, 책임자의 서명, 설계자의 성명, 도면작성연월일 등을 기입한다.
 - ③ 표제란의 위치는 왼쪽의 상부로 잡는 것이 보통이다.
 - ④ 기타 주의사항은 표제란 부근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컴퓨터의 구성 중 출력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 ① 마우스
 - ② 라이트펜
 - ③ 타블렛
 - ④ 플로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I자 위에 놓인 삼각자를 사용하여 선을 그을 때, 작도 방향이 잘못된 것은?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인체를 표현할 때, 8등분으로 표현한다면 수직길이를 가장 길게 표현해야 하는 부분은?
- ① 머리
 - ② 팔
 - ③ 몸통
 - ④ 다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동바리 마루 구조에서 상부에서부터의 시공재료의 순서가 가장 바르게 나열된 것은?
- ① 플로어링널 - 내수합판 - 장선 - 멍에 - 동바리
 - ② 플로어링널 - 장선 - 내수합판 - 멍에 - 동바리
 - ③ 플로어링널 - 내수합판 - 멍에 - 장선 - 동바리
 - ④ 플로어링널 - 멍에 - 장선 - 내수합판 - 동바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