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2002. 10. 6.) 시험일자 : 2002년 10월 6일
1과목 : 건축구조
1. 말뚝지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① 나무말뚝 머리는 상수면 위에서 자른다.
 - ② 말뚝 간격은 말뚝머리 직경의 2.5배 이상으로 한다.
 - ③ 기성콘크리트 말뚝간격은 75㎝ 이상으로 한다.
 - ④ 철제말뚝 간격은 90㎝ 이상으로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그림에서 콘크리트 기초판(footing)의 두께 AB는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 ① 20㎝
 - ② 15㎝
 - ③ 10㎝
 - ④ 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보강콘크리트 블록조에서 벽량은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 ① 10 cm/㎡
 - ② 15 cm/㎡
 - ③ 20 cm/㎡
 - ④ 25 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벽돌벽체의 내쌓기에서 내쌓는 길이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하는가?
- ① 1.0B
 - ② 1.5B
 - ③ 2.0B
 - ④ 3.0B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철근콘크리트 내력벽에 배근할 철근 직경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 ① D10
 - ② D13
 - ③ D16
 - ④ D19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조적식구조에서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최대 바닥 면적은 얼마를 넘을 수 없는가?
- ① 40㎡
 - ② 60㎡
 - ③ 80㎡
 - ④ 10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철골구조에서 판보(plate girder)의 구성부재 명칭으로서 관계가 없는 것은?
- ① 플랜지 앵글
 - ② 스티프너
 - ③ 웨브 플레이트
 - ④ 래티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철골구조에서 클리어런스(Clearance)의 뜻에 해당하는 것은?
- ① 재축방향의 리벳 중심선
 - ② 게이지라인 상의 리벳 간격
 - ③ 리벳으로 접합되는 재의 총두께
 - ④ 리벳과 수직재면과의 거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목재 미서기문에서 윗홈대의 홈의 깊이는 얼마정도로 하는가?
- ① 0.5cm
 - ② 1cm
 - ③ 1.5cm
 - ④ 2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목재 틀계단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이다. 잘못된 내용은?
- ① 주택에 주로 많이 이용된다.
 - ② 디딤판의 두께는 2.5?3.0cm 정도로 한다.
 - ③ 구조로는 옆판, 디딤판, 챌판으로 구성된다.
 - ④ 디딤판은 옆판에 통장부맞춤 쐐기 치기로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목조 왕대공지붕틀에서 압축력을 받는 부재는?
- ① 왕대공
 - ② 빗대공
 - ③ 달대공
 - ④ 평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철근콘크리트 보의 유효춤은 간사이의 얼마정도가 적당한가?
- ① 1/6 - 1/8
 - ② 1/8 - 1/10
 - ③ 1/10 - 1/15
 - ④ 1/16 - 1/2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조적식 구조에서 간막이벽의 두께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 ① 9cm
 - ② 12cm
 - ③ 15cm
 - ④ 20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목구조 벽체의 수평력에 대한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한 조치로서 가장 유리한 것은?
- ① 가새
 - ② 버팀대
 - ③ 처마도리
 - ④ 꿸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목조계단에서 계단 나비가 1.2m 이상이 될 때 디딤판의 처짐, 보행진동 등을 막기 위하여 중간에 댄 보강재는?
- ① 계단멍에
 - ② 챌판
 - ③ 엄지기둥
 - ④ 달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흙막이공법에서 터파기 주위의 토사가 무너지지 않도록 알맞은 각도를 두어 굴삭하는 방식은?
- ① 오픈컷 공법
 - ② 수평버팀대 공법
 - ③ 아치형 공법
 - ④ 아일랜드 공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벽돌조 조적법 중 가장 튼튼한 내력벽 쌓기는?
- ① 영국식 쌓기
 - ② 미국식 쌓기
 - ③ 네덜란드식 쌓기
 - ④ 플레밍식 쌓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철근 배근에서 이형철근을 사용하는 경우에 갈고리를 만들지 않아도 되는 곳은?
- ① 늑근
 - ② 주근
 - ③ 띠철근
 - ④ 굴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최소 단면적은 얼마 이상인가?
- ① 400㎠
 - ② 500㎠
 - ③ 600㎠
 - ④ 70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보통 철근콘크리트 원형기둥의 최소 주근개수는?
- ① 2개 이상
 - ② 4개 이상
 - ③ 5개 이상
 - ④ 6개 이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건축재료
21. 목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목재의 강도는 비중과 비례한다.
 - ② 함수율이 작을수록 강도는 커진다.
 - ③ 팽창 수축율은 비중이 클수록 작다.
 - ④ 팽창 수축은 함수율과 관계가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석재 중 변성암에 속하는 것은?
- ① 안산암
 - ② 석회암
 - ③ 응회암
 - ④ 사문암
 
짱구탐정2020. 10. 25. 20:26삭제
점판암은 수성암입니다.
23. 다음 중 내화도가 가장 큰 석재는?
- ① 화강암
 - ② 대리석
 - ③ 석회암
 - ④ 응회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방사능 차폐성능이 있는 시멘트는?
- ① 조강 포틀랜드시멘트
 - ②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
 - ③ 고로 시멘트
 - ④ 알루미나 시멘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상호 짝지어진 것 중 관련이 없는 것은?
- ① 클링커타일 - 점토
 - ② 리그노이드 - 마그네샤
 - ③ 킨스시멘트 - 석고
 - ④ 테라조 - 퍼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물시멘트비와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 ① 강도
 - ② 내구성
 - ③ 내화성
 - ④ 내수성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고로시멘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 ① 댐 공사에 좋다.
 - ②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보다 비중이 크다.
 - ③ 초기강도는 약간 낮지만 장기강도는 높다.
 - ④ 화학저항성이 크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철근콘크리트용 골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골재의 알 모양은 구(球)형에 가까운 것이 좋다.
 - ② 골재의 표면은 매끈한 것이 좋다.
 - ③ 골재는 크고 작은 알이 골고루 섞여 있는 것이 좋다.
 - ④ 골재에는 염분이 섞여 있지 않는 것이 좋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내화벽돌이란 소성온도가 얼마 이상인 것을 말하는가?
- ① S.K 11 이상
 - ② S.K 21 이상
 - ③ S.K 26 이상
 - ④ S.K 36 이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표준형벽돌 치수에 알맞은 것은?
- ① 210×100×60㎜
 - ② 210×100×57㎜
 - ③ 190×90×57㎜
 - ④ 190×90×6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석재 조각물 대신에 사용되는 장식용 점토 제품은?
- ① 콘크리트
 - ② 인조석
 - ③ 테라죠
 - ④ 테라코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벽돌의 품질등급에서 1종 붉은벽돌의 압축 강도는?
- ① 100 ㎏f/㎠ 이상
 - ② 150 ㎏f/㎠ 이상
 - ③ 210 ㎏f/㎠ 이상
 - ④ 300 ㎏f/㎠ 이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함석판 잇기 지붕공사에 사용하는 골함석의 두께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 24 ∼ 27
 - ② # 28 ∼ 31
 - ③ # 32 ∼ 35
 - ④ # 36 ∼ 4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유리의 열전도율은 콘크리트의 얼마 정도인가?
- ① 2배
 - ② 같다.
 - ③ 1/2
 - ④ 1/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목재의 착색에 사용하는 도료 중 가장 적당한 것은?
- ① 오일스테인
 - ② 연단도료
 - ③ 래커(lacquer)
 - ④ 크레오소오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목면, 마사, 양모, 폐지 등을 혼합하여 만든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두루마리 제품 이름은?
- ① 아스팔트 루우핑
 - ② 아스팔트 싱글
 - ③ 아스팔트 펠트
 - ④ 아스팔트 시이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미장바름 재료 중에서 수경성인 것은?
- ① 진흙
 - ② 소석회
 - ③ 돌로마이트플라스터
 - ④ 소석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강화유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유리를 가열한 후 급냉시켜 만든다.
 - ② 보통 유리보다 강도가 크다.
 - ③ 파괴되면 작은 알갱이로 분산된다.
 - ④ 절단, 가공이 쉽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목재에서 기건재의 함수율로 옳은 것은?
- ① 40∼80%
 - ② 30%
 - ③ 12∼18%
 - ④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창유리의 강도란 일반적으로 어떤 것을 말하는가?
- ① 압축강도
 - ② 인장강도
 - ③ 휨강도
 - ④ 전단강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건축계획 및 제도
41. 도면에서 상상선 또는 일점쇄선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되는 선은?
- ① 점선
 - ② 파선
 - ③ 파단선
 - ④ 이점쇄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도면에서 그림과 같은 목재의 재료표시 명칭으로 옳은 것은?

- ① 구조재
 - ② 보조재
 - ③ 치장재
 - ④ 인조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제도용지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의 비는?
- ① 2:1
 - ② 루트 2 : 1
 - ③ 3:1
 - ④ 루트 3 : 1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제도용지 A2의 크기는 A0용지의 얼마정도의 크기인가?
- ① 1/2
 - ② 1/4
 - ③ 1/8
 - ④ 1/16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건축도면에서 주기준선의 표시기호로 옳은 것은?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등각투상도에서 축과 축사이의 각도로 적합한 것은?
- ① 45°
 - ② 60°
 - ③ 90°
 - ④ 12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배치도에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 ① 건물의 위치
 - ② 축척
 - ③ 각실의 위치
 - ④ 대지 경계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기본설계도를 작성할 때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배치도
 - ② 평면도
 - ③ 건물개요
 - ④ 구조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경사지붕 물매와 같이 비교적 물매가 클 때 사용하는 물매 표시법은?
- ① 분자를 1로 한 분수
 - ② 분모를 10으로 한 분수
 - ③ 분모를 100 로 한 분수
 - ④ 분모를 200으로 한 분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컴퓨터의 기억용량을 나타내는 단위 중 가장 최소의 단위는?
- ① Bit
 - ② Byte
 - ③ KB
 - ④ MB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도면의 표시기호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L: 길이
 - ② H: 높이
 - ③ W: 폭
 - ④ A: 용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보강블록조 도면에서 블록 1단의 높이는?
- ① 10cm
 - ② 15cm
 - ③ 20cm
 - ④ 40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임의의 점을 지정할 때 원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지정하는 방법은?
- ① 머신좌표
 - ② 상대좌표
 - ③ 절대좌표
 - ④ 증분좌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사람이나 차, 또는 화물 등의 흐름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설계도면은?
- ① 동선도
 - ② 구상도
 - ③ 조직도
 - ④ 면적도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투시도 용어 중 물체와 시점 사이에 기면과 수직한 직립평면을 나타내는 것은?
- ① 지반면(G.P)
 - ② 화면(P.P)
 - ③ 수평면(H.P)
 - ④ 기선(G.L)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CAD시스템의 입력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키보드
 - ② 플로터
 - ③ 마우스
 - ④ 디지타이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건축물 표현에서 사람을 나타내는 목적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 ① 건축물 크기
 - ② 공간의 깊이와 높이
 - ③ 공간내 질감
 - ④ 공간용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건축도면을 작도할 때 사용되는 투상법은?
- ① 제1각법
 - ② 제2각법
 - ③ 제3각법
 - ④ 제4각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스터럽(늑근)이나 띠철근을 철근 배근도에서 표시할 때 사용하는 선은?
- ① 가는실선
 - ② 파선
 - ③ 굵은실선
 - ④ 쇄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다음 중 그림을 입력하기에 적당한 장치는?
- ① 키보드
 - ② 마우스
 - ③ 타블렛
 - ④ 스캐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