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2019. 1. 26.) 시험일자 : 2019년 1월 26일

1. (가) 시대의 사회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 ①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실을 뽑았다.
  • ② 주로 동굴에 살면서 사냥과 채집을 하였다.
  • ③ 거푸집을 이용하여 세형 동검을 제작하였다.
  • ④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어 식량을 저장하였다.
  • ⑤ 쟁기,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였다.

구석기2025. 8. 10. 21:13삭제
동굴에 살면서 사냥과 채집 - 구석기
2.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지방의 열 성에 욕살, 처려근지 등을 두었습니다.
  • ② 제가 회의에서 나라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였습니다.
  • ③ 한(漢)과 진국(辰國)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하였습니다.
  • ④ 전국 7응 중 하나인 연과 대적할 만큼 성장하였습니다.
  • ⑤ 부왕(否王) 등 강력한 왕이 등장하여 왕위를 세습하였습니다.

고조선2022. 5. 19. 14:19삭제
• (범금 8조법) • ‘한’과 ‘진국’ 사이 중계 무역 이득 독점 • 왕 아래 (상.대부.장군) 등의 관직 마련
3. (가), (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 ① (가)-혼인 풍속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 ② (가)-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여 책화가 있었다.
  • ③ (나)-여러 가(加)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였다.
  • ④ (나)-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에는 12배로 갚게 하였다.
  • ⑤ (가), (나)-제사장인 천군과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철기 시대2025. 8. 10. 18:47삭제
(가)옥저 (나)동예 혼인 풍속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 옥저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여 책화가 있었다 - 동예 여러 가(加)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였다 - 부여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에는 12배로 갚게 하였다 - 부여 제사장인 천군과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 삼한
4.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철이 많이 생산되어 왜 등에 수출하였다.
  • ② 만장일치제로 운영된 화백 회의가 있었다.
  • ③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 ④ 지방을 통제하기 위해 22담로를 설치하였다.
  • ⑤ 박, 석, 김의 3성이 교대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삼국시대2022. 5. 19. 14:43삭제
금관가야-김수로-낙랑, 왜에 철 수출=중계무역
5. 다음 검색창에 들어갈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첨성대를 세워 천체를 관측하였다.
  • ② 대가야를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 ③ 거칠부에게 국사를 편찬하도록 하였다.
  • ④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 ⑤ 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인 동시전을 설치하였다.

삼국시대2022. 5. 19. 14:21삭제
• 신라-지증왕 • 우산국 복속(이사부) • (동시전)설치
6.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 ① 당이 안동도호부를 요동 지역으로 옮겼다.
  • ② 신라와 당의 연합군이 백강에서 왜군을 물리쳤다.
  • ③ 신라가 당의 군대에 맞서 매소성에서 승리하였다.
  • ④ 고구려 안승이 신라에 의해 보덕국왕으로 임명되었다.
  • ⑤ 고구려가 당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완성하였다.

삼국시대2022. 5. 19. 14:25삭제
(가) 신라-나당 연합 백강전투(663) : 백제부흥군 + 日왜군 ↔ 나당연합군 (나) 고구려 멸망
7. 다음 특별전에 전시될 사진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점]

삼국시대2022. 5. 19. 14:32삭제
고구려 벽화~1~4 고려 벽화 5
8. 밑줄 그은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 ① 익산에 미륵사를 창건하였다.
  • ②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고쳤다.
  • ③ 수와 외교 관계를 맺고 친선을 도보하엿다.
  • ④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 ⑤ 계백의 결사대를 보내 신라군에 맞서 싸웠다.

삼국시대2022. 5. 19. 14:34삭제
백제 -신라의 대야성 공격 및 점령 (의자왕+윤충) - 황산벌전투(의자왕+계백)
김춘추2020. 9. 24. 10:34삭제
김춘추의 사위가 김품석(품석)이지..^^
9. 밑줄 그은 ‘왕’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하였다.
  • ② 관리 채용을 위해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였다.
  • ③ 병부와 상대등을 설치하고 관등을 정비하였다.
  • ④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구층 목탑을 건립하였다.
  • ⑤ 위흥과 대구화상에게 삼대목을 편찬하도록 하였다.

통일신라2022. 5. 19. 14:38삭제
신문왕 • (김흠돌)의 난 (681) 진압 → 진골 귀족 세력 숙청, 왕권 강화 • (감은사) 건립, 설총 (화왕계), 만파식적 제작 • (9주 5소경) (지방), 9서당10정 (군사), (국학)설립 (유학교육) • (관료전)지급, (녹읍)폐지 (귀족 기반 약화)
10. (가) 국가의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2점]

발해2022. 5. 19. 14:41삭제
(문왕) = 대흠무 3. 영광탑
11. (가) 인물의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양길의 휘하에서 세력을 키웠다.
  • ② 후당, 오월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 ③ 광평성 등 각종 정치 기구를 마련하였다.
  • ④ 일리천 전투에서 고려군에게 패배하였다.
  • ⑤ 국호를 마진으로 바꾸고 철원으로 천도하였다.

후삼국2022. 5. 19. 14:48삭제
후백제-견훤-후당, 오월에 사신 파견
12. 다음 정책이 추진된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1점]
  • ① 집집마다 부경이라는 창고가 있었다.
  • ② 청해진을 중심으로 해상 무역이 전개되었다.
  • ③ 서적점, 다점 등의 관영 상점이 운영되었다.
  • ④ 감자, 고구마 등의 구황 작물을 널리 재배하였다.
  • ⑤ 일본과의 무역을 허용하고 계해약조를 체결하였다.

고려중기2022. 5. 19. 14:50삭제
(숙종) •주전도감 설치 ⇨ 화폐 주조 • 은병 (활구) 등) • 서적포 설치: (서적 보관.간행)
13. (가) 왕이 시행한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 ① 평양을 서경으로 삼아 중시하였다.
  • ② 민생 안정을 위해 흑창을 설치하였다.
  • ③ 경순왕 김부를 경주의 사심관으로 삼았다.
  • ④ 국자감에 7재라는 전문 강좌를 개설하였다.
  • ⑤ 계백료서를 지어 관리의 규범을 제시하였다.

고려 태조 왕건2025. 8. 10. 19:16삭제
1,2,3,5 - 태조 왕건 국자감에 7재 개설 - 고려 예종
14. (가)~(라)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점]
  • ① (가)-(나)-(다)-(라)
  • ② (가)-(나)-(라)-(다)
  • ③ (나)-(가)-(라)-(다)
  • ④ (나)-(다)-(가)-(라)
  • ⑤ (다)-(라)-(나)-(가)

고려2025. 8. 10. 19:36삭제
(가)1029년 (나)1010년 (다)1135년 (라)1108년
15. (가)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1점]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2025. 8. 10. 19:47삭제
충청남도 논산시 반야산(般若山) 관촉사에 세워진 거대한 석조 불상이다. 한반도에 현존하는 모든 석조 불상 중, 20세기 이전에 조성된 것으로는 가장 거대하다. 고려시대인 968년경에 조성됐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예로부터 영험하기로 유명하여 민중들의 사랑을 받아왔는데, 흔히 은진미륵(恩津彌勒)이라고 부른다. 관촉사가 있는 곳의 옛 지명이 은진면이었기 때문이다. 현재의 행정구역상 지명은 논산시 관촉동이다.
16. (가) 국가의 침입에 대한 고려의 대응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 ① 강화도로 도읍을 옮겨 항전하였다.
  • ② 김윤후가 처인성 전투에서 활약하였다.
  • ③ 화포를 이용하여 진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 ④ 다인철소 주민들이 충주 지역에서 저항하였다.
  • ⑤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팔만대장경판을 만들었다.

몽골2025. 8. 10. 19:44삭제
1,2,4,5 - 몽골 3 - 일본(진포대첩)
17. (가) 정치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수도의 행정과 치안을 맡아보았다.
  • ② 화폐와 곡식의 출납과 회계를 맡았다.
  • ③ 5품 이하의 관원에 대한 서경권을 가졌다.
  • ④ 왕의 비서 기관으로 왕명 출납을 담당하였다.
  • ⑤ 외국어의 통역과 번역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였다.

승정원2025. 8. 10. 19:58삭제
다른 말로 '은대(銀臺)'라고도 불렀는데, 말 그대로 은(銀)빛 건물(臺)이라는 의미로 '동궐도' 등에는 승정원이 위치한 건물 이름이 '은대'로 나와 있다. 승정원 승지 6인을 '은대학사'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는 중국 송나라 대에 궁궐 은대문 안에 비변사를 두고 황제에게 올리는 문서를 주관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18. 다음 역사서가 편찬된 이후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 ① 쌍기의 건의로 과거제가 도입되었다.
  • ② 이제현이 만권당에서 유학자들과 교류하였다.
  • ③ 최충이 유학을 교육하는 9재 학당을 설립하였다.
  • ④ 망이ㆍ망소이가 가혹한 수탈에 저항하여 봉기하였다.
  • ⑤ 의천이 불교 교단 통합을 위해 천태종을 개창하였다.

고려 시대 역사서2025. 8. 10. 20:07삭제
일연스님 - 삼국유사(1281년) 이승휴 - 제왕운기(1287년) 이제현 - 사략(1357년)
19. (가) 지역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 ① 인조가 피신하여 청군에 항전하였다.
  • ② 제1차 미ㆍ소 공동 위원회가 개최되었다.
  • ③ 오페르트가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하였다.
  • ④ 만적을 비롯한 노비들이 신분 해방을 도모하였다.
  • ⑤ 현존 최고(最古)의 금속 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이 간행되었다.

만적의 난2025. 8. 10. 20:22삭제
만적의 난은 1198년(신종 1) 개경에서 사노비 만적(萬積) 등이 신분 해방을 위해 일으킨 노비 저항이다.
20.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기기도설을 참고하여 거중기를 설계하였다.
  • ② 최초로 100리 철 축척법을 사용하여 지도를 만들었다.
  • ③ 홍역에 관한 국내외 자료를 종합하여 의서를 편찬하였다.
  • ④ 한양을 기준으로 천체 운동을 계산한 역법서를 저술하였다.
  • ⑤ 체질에 따라 처방을 달리해야 한다는 사상 의학을 확립하였다.

이순지2025. 8. 10. 20:24삭제
조선전기 승정원좌부승지, 판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천문학자. 세종의 명으로 역법(曆法)을 연구한 뒤 정인지(鄭麟趾)·정초(鄭招)·정흠지(鄭欽之)·김담(金淡) 등과 같이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을 저술하였다.
21.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가)-단안(壇案)이라는 명부에 등재되었다.
  • ② (가)-지방의 행정ㆍ사법ㆍ군사권을 행사하였다.
  • ③ (나)-감사, 도백으로도 불렸다.
  • ④ (나)-장례원(章隷院)을 통해 국가의 관리를 받았다.
  • ⑤ (가), (나)-잡과를 통해 선발되었다.

고려~조선 행정2025. 8. 10. 20:32삭제
(가)수령 (나)향리
22.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 ① 왕자의 난으로 정도전 등이 피살되었다.
  • ② 위훈 삭제를 주장한 조광조가 제거되었다.
  • ③ 서인이 반정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다.
  • ④ 성삼문 등이 상왕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되었다.
  • ⑤ 이조 전랑 임명을 둘러싸고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위었다.

조선시대 사화2025. 8. 10. 20:42삭제
(가)갑자사화(1504년) (나)을사사화(1545년) 조광조 - 기묘사화(1519년)
23.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 ① 좌수와 별감을 선발하여 운영하였다.
  • ② 지방의 사림 세력이 주로 설립하였다.
  • ③ 전국의 부ㆍ목ㆍ군ㆍ현에 하나씩 설립되었다.
  • ④ 최고의 관립 교육 기관으로 성현의 제사도 지냈다.
  • ⑤ 홍선 대원군에 의해 47개소를 제외하고 철폐되었다.

성균관2025. 8. 10. 20:45삭제
성균관에서 공부하는 유생을 상재생(上齋生)과 하재생(下齋生)으로 구분하였다. 상재생은 상사생(上舍生)이라고도 부르며, 생원과 진사로서 성균관에 입학한 유생을 말한다. 하재생은 기재생(寄齋生)이라고도 하며, 사학에서 승보하거나 문음으로 입학한 유생을 말한다. 특별한 경우로 자기 식량을 가지고 와서 공부하는 학생도 있었는데, 이들을 ‘사량기재생(私糧寄齋生)’이라고 했으며 동·서재에 각각 세 사람씩 입학시켰다.
24. 밑줄 그은 ‘이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 ① 나선 정벌에 조총 부대가 동원되었다.
  • ② 왕권 강화를 위해 장용영이 설치되었다.
  • ③ 청과의 경계를 정한 백두산정계비가 건립되었다.
  • ④ 역대 문물을 정리한 동국문헌비고가 편찬되었다.
  • ⑤ 전통 한의학을 집대성한 동의보감이 완성되었다.

효종2025. 8. 10. 20:54삭제
인조 4년(1626), 8살에 봉림대군(鳳林大君)에 봉해지고 병자호란 때 형 소현세자와 함께 청나라에 볼모(인질)로 잡혀 끌려간다. 재위 후 국가를 재정비하여 청나라를 정벌하자는 북벌을 추진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25. 다음 상황 이후에 전개된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 ① 자의 대비의 복상 문제로 예송이 전개되었다.
  • ② 정여립 모반 사건으로 서인이 정국을 주도하였다.
  • ③ 이괄의 난이 일어나 반란군이 도성을 장악하였다.
  • ④ 북인이 서인과 남인을 배제한 채 정국을 독점하였다.
  • ⑤ 희빈 장씨 소생의 원자 책봉 문제로 환국이 발생되었다.

경신환국2025. 8. 10. 21:06삭제
숙종 6년이던 1680년에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을 말한다. 숙종 대 최초로 일어난 환국으로, 서인의 입장에서는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 남인의 입장에서는 '경신사화(庚申士禍)' 라고도 한다. 희빈 장씨 소생의 원자 책봉 문제로 발생한 환국은 기사환국(1689년)
26. 밑줄 그은 ‘이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양반에게도 군포가 부과되었다.
  • ②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 ③ 풍흉에 따라 전세를 9등급으로 차등 부과하였다.
  • ④ 부족한 재정의 보충을 위해 선무군관포를 징수하였다.
  • ⑤ 관청에 물품을 조달하는 공인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대동법2025. 8. 10. 21:18삭제
대동법은 광해군 즉위 직후 이원익(李元翼)과 한백겸(韓百謙)의 건의로 1608년(광해군 즉위) 경기도에서 최초로 시행되었다.
27. 다음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 ① 지전설과 무한우주론을 주장하였다.
  • ② 남북국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 ③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하였다.
  • ④ 서얼 출신으로 규장각 검서관에 등용되었다.
  • ⑤ 여전론을 통해 마을 단위 토지 분배와 공동 경작을 주장하였다.

홍대용2025. 8. 10. 21:39삭제
천주교와 천문학의 이론을 기록한 유포문답과 과학 사상을 담은 의산문답을 지었다. 지구의 자전설과 경제 정책의 개혁, 과거 제도를 폐지하여 공거제를 통한 인재 등용 등 혁신적인 개혁 사상을 제창하였다. 또한 박지원, 박제가 등의 실학자들과 교류를 계속하면서 정치·경제에 관한 학문을 연구하였다. 북학파의 선구자이자, 이용후생(중상주의) 학파에 속한 실학자로 당시 굉장히 혁신적인 철학자였다. 그는 지전설과 우주무한론을 주장하며 이를 근거로 화이의 구분을 부정해 주체성을 강조했다.
28. (가) 종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 ① 단군 숭배 사상을 전파하였다.
  • ② 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를 거행하였다.
  • ③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를 경전으로 삼았다.
  • ④ 청을 다녀온 사신들에 의하여 서학으로 소개되었다.
  • ⑤ 유ㆍ불ㆍ선을 바탕으로 민간 신앙의 요소까지 포함하였다.

벽위편2025. 8. 10. 21:41삭제
벽위편은 조선 후기 천주교 신앙 운동을 배척하는 내용들을 여러 문헌에서 모아 엮은 천주교서이다.
29.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의 경제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 ① 덕대가 광산을 전문적으로 경영하였다.
  • ② 담배와 면화 등이 상품 작물로 재배되었다.
  • ③ 수조권이 세습되는 수신전, 휼양전이 있었다.
  • ④ 송상, 만상이 대청 무역으로 부를 축척하였다.
  • ⑤ 왜관에서 개시 무역과 후시 무역이 이루어졌다.

조선 경제2025. 8. 10. 21:46삭제
1,2,4,5 - 조선 후기 경제 3 - 조선 전기 경제(수신전, 휼양전은 세조 때 직전법의 제정으로 폐지)
30. (가)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청의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 ② 최제우가 동학을 창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 ③ 왕이 도성을 떠나 공산성으로 피란하였다.
  • ④ 남접과 북접이 연합하여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 ⑤ 사건의 수습을 위해 박규수가 안핵사로 파견되었다.

임술 농민 봉기2025. 8. 10. 21:50삭제
진주 목사 홍병원(洪秉元)과 경상 우병사 백낙신이 부정부패를 자행하였다. 이러한 불만들이 1862년 1월부터 점차 표면화되었고, 1862년 2월 4일 옆 고을 단성에서 봉기가 일어나기도 했다. 그러는 사이 몇몇 잔반과 농민들을 중심으로 폭정에 저항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대표적인 사람이 유계춘(柳繼春), 이계열(李啓烈), 전 홍문관교리 이명윤(李命允) 등이었다.
31. 다음 서술형 평가의 답안에 들어갈 내용으로옳은 것은? [3점]
  • ① 재판소를 설치하여 사법권을 독립시켰다.
  • ② 미국과 합작하여 한성 전기 회사를 설립하였다.
  • ③ 5군영 2영으로 축소하고 별기군을 창설하였다.
  • ④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백전을 주조하였다.
  • ⑤ 교육 입국 조서를 반포하고 외국어 학교 관제를 마련하였다.

통리기무아문2025. 8. 10. 21:55삭제
통리기무아문은 군국기무(軍國機務)를 총괄하는 역할을 맡았는데, 여기서 군국기무란 국가의 군사 업무와 일반 국정을 뜻한다. 즉 통리기무아문은 당시 조선의 정치 전반에 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통리기무아문은 대신(大臣) 중에서 총리(總理)를 마련하고 통제하거나 정무를 보는 것을 의정부와 같게 할 정도로 막강한 권위를 자랑하였다. 사대사(事大司): 사대문서와 중국사신을 접대하는 업무 교린사(交隣司): 외교 업무 군무사(軍務司): 중앙과 지방의 군사를 통솔 변정사(邊政司): 변방의 사무와 외국의 정보와 관련된 업무 통상사(通商司): 통상을 담당 군물사(軍物司): 병기 제조 기계사(機械司): 기계 제조 선함사(船艦司): 각종 선박의 제조와 통솔 기연사(譏沿司): 포구에 왕래하는 선박의 순시 어학사(語學司): 번역 관련 업무 전선사(典選司): 인재 선발 업무
32. (가)~(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 ① (가)-반침략 기치를 들고 우금치 전투에 참여하다
  • ② (나)-군국기무처의 총재로 개혁을 주도하다
  • ③ (다)-입헌 군주제를 꿈꾸며 갑신정변을 일으키다
  • ④ (라)-을사늑약에 반대하여 항일 의병을 이끌다
  • ⑤ (마)-평민 의병장에서 대한 독립군 사령관으로 활약하다

홍범도2025. 8. 10. 22:08삭제
평민 의병장에서 대한 독립군 사령관으로 활약하다 - 홍범도 반침략 기치를 들고 우금치 전투에 참여하다 - 전봉준 군국기무처의 총재로 개혁을 주도하다 - 김홍집 입헌 군주제를 꿈꾸며 갑신정변을 일으키다 - 김옥균 을사늑약에 반대하여 항일 의병을 이끌다 - 최익현
33. 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
  • ① (가)
  • ② (나)
  • ③ (다)
  • ④ (라)
  • ⑤ (마)

을미사변2025. 8. 10. 22:13삭제
을미사변은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새벽 일본의 공권력 집단이 서울에서 자행한 조선왕후(명성황후) 살해사건이다. 러시아와 일전을 준비하던 일제는 조선의 대러시아 관계의 핵심에 고종의 왕후가 있다고 판단하고 제거를 계획했다.
34. (가) 시기에 실시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이범윤을 간도 관리사로 임명하였다.
  • ② 김윤식을 청에 영선사로 파견하였다.
  • ③ 건양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 ④ 행정 기구를 6조에서 8아문으로 개편하였다.
  • ⑤ 공사 노비법을 혁파하고 과거제를 폐지하였다.

광무개혁2025. 8. 10. 22:24삭제
광무개혁(1897년~1904년)
35. 다음 검색창에 들어갈 신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 ① 천도교의 기관지로 발행되었다.
  • ② 상업 광고가 처음으로 게재되었다.
  • ③ 국채 보상 운동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 ④ 농촌 계몽을 위해 브나로드 운동을 전개하였다.
  • ⑤ 순 한문 신문으로 열흘마다 발행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대한 매일 신보2025. 8. 10. 22:29삭제
1902년(광무 6년)에 한국에 온 영국인 기자 어니스트 베델(배설)이 양기탁 등 민족 계몽 계열 독립운동가들의 지원을 받아 창간한 신문이다.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해 애국 운동을 주도했으며, 1907년(광무 11년) 4월에는 국채 보상 지원금 총합소를 설치했다.
36. (가),(나) 조약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 ① 안중근이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 ② 의병 진압을 위한 ‘남한 대토벌’작전이 전개되었다.
  • ③ 일본이 경복궁을 점령하고 내정 개혁을 요구하였다.
  • ④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 평화 회의에 특사가 파견되었다.
  • ⑤ 영국군이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였다.

헤이그 특사2025. 8. 10. 22:39삭제
(가)한일 의정서(1904년) (나)정미 7조약(1907년) - 헤이그 특사 파견이 구실이 되었음. 헤이그 특사(1907년)
37. (가)~(마)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 ① (가)-샌프란시스코에 중앙 총회를 두었다.
  • ② (나)-숭무 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 ③ (다)-권업신문을 발행하여 민족 의식을 고취하였다.
  • ④ (라)-2ㆍ8독립 선언서를 작성하여 발표하였다.
  • ⑤ (마)-이상설과 이동휘를 정ㆍ부통령으로 선임하였다.

대한 광복군 정부2025. 8. 10. 22:51삭제
이상설과 이동휘를 정, 부통령으로 선임하였다 - 대한 광복군 정부 샌프란시스코에 중앙 총회를 두었다 - 대한인 국민회 숭무 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 한인무관양성학교 권업신문을 발행하여 민족 의식을 고취하였다 - 권업회 2.8 독립 선언서를 작성하여 발표하였다 - 일본 유학생들
38. 밑줄 그은 ‘만세 시위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사회주의 세력의 주도 아래 계획되었다.
  • ② 순종의 인산일을 기회로 삼아 추진되었다.
  • ③ 조선 형평사를 중심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 ④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 ⑤ 박상진이 주도한 대한 광복회 결성에 영향을 주었다.

3.1운동, 제암리 학살2025. 8. 10. 22:52삭제
제암리 사건은 1919년 4월 15일,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堤岩里)에서 발생한 일본군의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 수원·화성 지역의 3·1 운동은 3월 중순에서 4월 초에 걸쳐 절정에 달하였다. 3월 31일, 향남면 발안리(發安里)의 장날에 1,000여 명의 군중이 모여 만세를 외쳤다. 이 시위에서 분노한 군중에 의해 일본인 순사부장이 사망하였고, 주재소와 일본인 상점도 불에 탔다. 일본군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제암리 주민을 교회에 가둔 후 불을 질렀으며, 마을 전체를 불태웠다. 기록에 따르면 교회에서만 23명이 사망하였고, 인근의 고주리 주민도 6명이 사망하였다고 한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는 계기 - 3.1운동
39.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삼았다.
  • ② 민족 유일당 운동의 일환으로 창립되었다.
  • ③ 조선학 운동을 전개하여 여유당전서를 간행하였다.
  • ④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기초로 기본 강령을 발표하였다.
  • ⑤ 대성 학교와 오산 학교를 세워 민족 교육을 전개하였다.

신간회2025. 8. 10. 23:09삭제
1926년 6월 10일 순종의 인산일(因山日)을 계기로 일어난 6·10만세운동에 자극받아 국내에 있는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공산주의자 간의 타협에 의해 민족유일당운동으로 조직되었다. 일제강점기의 가장 큰 합법적인 결사로서 항상 일제의 주목을 받았다.
40. 다음 대책이 발표된 이후 일제가 시행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1점]
  • ① 한국인에 한해 적용되는 조선 태형령이 공포되었다.
  • ② 사회주의 운동을 탄압하기 위한 치안 유지법이 마련되었다.
  • ③ 기한 내에 토지를 신고하게 하는 토지 조사령이 제정되었다.
  • ④ 헌병대 사령관이 치안을 총괄하는 경무총감부가 신설되었다.
  • ⑤ 회사 설립 시 충독의 허가를 얻도고 하는 회사령이 발표되었다.

문화 통치2025. 8. 10. 23:23삭제
1,3,4,5 - 무단 통치 시기 2 - 문화 통치 시기
41. (가),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가)-의민단을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 ② (가)-잡지 개벽을 발행하여 민족 의식을 고취하였다.
  • ③ (나)-경향신문을 발간하여 민중 계몽에 힘썼다.
  • ④ (나)-배재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기여하였다.
  • ⑤ (가), (나)-을사오적을 처단하기 위해 자신화를 결성하였다.

대종교2020. 9. 24. 13:21삭제
자신회(1907) 역시 대종교와 관련된 항일단체입니다.
42. (가) 단체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1점](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① 중국군과 함께 영릉가 전투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 ② 영국군의 요청으로 인도ㆍ미얀마 전선에 투입되었다.
  • ③ 흥커우 공원에서 일어난 윤봉길 의거를 계획하였다.
  • ④ 조선 총독부에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하려 하였다.
  • ⑤ 조선 혁명 간부 학교를 설립하여 군사 훈련에 힘썼다.

한인애국단2025. 8. 10. 23:29삭제
흥커우 공원에서 일어난 윤봉길 의거를 계획하였다 - 한인애국단 중국군과 함께 영릉가 전투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 조선혁명군 영국군의 요청으로 인도.미얀마 전선에 투입되었다 - 대한광복군 조선총독부에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하려 하였다 - 독립의군부 조선 혁명 간부 학교를 설립하여 군사 훈련에 힘썼다 - 의열단
43. 다음 글을 쓴 인물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조선사 편수회에 들어가 조선사 편찬에 참여하였다.
  • ② 실증주의 사학의 연구를 위해 진단 학회를 창립하였다.
  • ③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서 독립 투쟁 과정을 서술하였다.
  • ④ 임시 사료 편찬회에서 한ㆍ일 관계 사료집을 편찬하였다.
  • ⑤ 식민 사학을 반박하는 조선봉건사회경제사를 저술하였다.

발전보다는 법칙으로2020. 9. 24. 13:43삭제
다른 것은 모르겠고 법칙나오면 무조건 사회경제사학으로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경제사를 선택하는것이 몸에 이롭습니다. ^^
44. 밑줄 그은 ‘이 사건’ 이후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 ① 일제에 의해 경성 제국 대학이 설립되었다.
  • ② 신경향파 작가들이 카프(KAPF)를 결성하였다.
  • ③ 나운규가 제작한 영화 아리랑이 처음 개봉되었다.
  • ④ 여성 계몽과 구습 타파를 주장하는 근우회가 창립되었다.
  • ⑤ 일제가 한글 학자들을 구속한 조선어 학회 사건이 일어났다.

베를린 올림픽(1936)2025. 8. 10. 23:47삭제
조선어 학회 사건(1942) 나머지 선택지 1,2,3,4는 1920년대
45. 밑줄 그은 ‘국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민의원, 참의원의 양원으로 운영되었다.
  • ② 한ㆍ미 자유 무역 협정(FTA)을 비준하였다.
  • ③ 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 제한을 철폐하였다.
  • ④ 유상 매수ㆍ유상 분배 원칙의 농지 개혁법을 제정하였다.
  • ⑤ 의원 정수 3분의 1이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선출되었다.

제헌국회2025. 8. 11. 00:03삭제
1948년 5월 10일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민주선거인 제헌국회의원선거가 실시되었다.
46. 다음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 ① 의열단을 조직하여 단장으로 활동하였다.
  • ② 재미 한인을 중심으로 흥사단을 창립하였다.
  • ③ 신흥 강습소를 설립하여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 ④ 민족 자주 연맹을 이끌고 남북 협상에 참여하였다.
  • ⑤ 일제의 패망과 건국에 대비하여 조선 건국 동맹을 결성하였다.

김규식2025. 8. 11. 00:25삭제
민족 자주 연맹을 이끌고 남북 협상에 참여하였다 - 김규식 의열단을 조직하여 단장으로 활동하였다 - 김원봉 재미 한인을 중심으로 흥사단을 창립하였다 - 안창호 신흥 강습소를 설립하여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 신민회 일제의 패망과 건국에 대비하여 조선 건국 동맹을 결성하였다 - 여운형
47. 다음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
  • ① ㄱ,ㄴ
  • ② ㄱ,ㄷ
  • ③ ㄴ,ㄷ
  • ④ ㄴ,ㄹ
  • ⑤ ㄷ,ㄹ

휴전협정이쥬~~2020. 9. 24. 13:59삭제
이문제는 휴전협정 쟁점과 관련된 문제쥬~~
48. (가) 정부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 ① 한ㆍ미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하였다.
  • ② YH 무역 노동자들의 농성을 강경 진압하였다.
  • ③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 실명제를 시행하였다.
  • ④ 사회 정화를 명분으로 삼청 교육대를 설치하였다.
  • ⑤ 평화 통일론을 주장한 진보당의 조봉암을 제거하였다.

박정희 정부2025. 8. 11. 00:30삭제
박정희 정권은 굴욕적 한일회담에 대한 학생들의 반대 투쟁이 거세지며 군사정권에 대한 퇴진요구에 이르자 1964년 6월 3일 계엄령을 선포하기에 이르렀다. 위기에 직면한 군사정권은 해결책으로 1964년 8월 ‘인혁당사건’을 발표하여 학생 시위의 배후에 북괴의 지령을 받고 국가변란을 기도한 대규모 지하조직 ‘인혁당’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YH 사건 1979년 8월 9일 가발 업체였던 YH무역의 여성 노동자 190여 명이 회사 운영 정상화와 노동자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며 서울특별시 마포구 도화동 신민당사에서 농성을 벌인 사건이다. 'YH 여공 신민당사 점거 농성 사건'이라고도 한다. 해당 사건으로 당시 신민당 총재였던 김영삼의 총재 직무가 정지되었고 뒤이어 국회의원직 제명으로 이어지면서 부마민주항쟁을 촉발시켰다. 부마항쟁은 박정희 대통령이 시해되는 10.26 사태의 도화선이 되었기 때문에 YH 사건을 유신정권 붕괴의 효시로 많이 평가한다.
49. 밑줄 그은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 ① 장면 내각이 출범하는 배경이 되었다.
  • ② 굴욕적인 한ㆍ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하였다.
  • ③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 냈다.
  • ④ 신군부의 계엄령 확대와 무력 진압에 저항하였다.
  • ⑤ 3ㆍ15 부정 선거에 항의하는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6.10민주항쟁2025. 8. 11. 00:46삭제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 냈다 - 6월민주항쟁(전두환 정부) 장면 내각이 출범하는 배경이 되었다 - 3.15부정선거(이승만 정부) 굴욕적인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하였다 - 한일협정 반대투쟁(6.3항쟁)(박정희 정부) 신군부의 계엄령 확대와 무력 진압에 저항하였다 - 5.18민주화운동(전두환 정부) 3.15부정선거에 항의하는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 4.19혁명(이승만 정부)
50. 다음 정부 시기의 통일 노력으로 옳은 것은? [2점]
  • ① 남북 기본 합의서를 교환하였다.
  • ② 7ㆍ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 ③ 개성 공업 지구 조성에 합의하였다.
  • ④ 10ㆍ4 남북 공동 선언을 체택하였다.
  • ⑤ 이산 가족 고향 방문을 최초로 성사시켰다.

노태우 정부2025. 8. 11. 00:51삭제
남북 기본 합의서를 교환하였다 - 노태우 정부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 박정희 정부 개성 공업 지구 조성에 합의하였다(6.15 남북 공동 선언) - 김대중 정부 10.4 남북 공동 선언을 채택하였다 - 노무현 정부 이산 가족 고향 방문을 최초로 성사시켰다 - 전두환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