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2017. 4. 8.) 시험일자 : 2017년 4월 8일

1. 다음 시가의 전개 방식으로 옳은 것은?
  • ① 요구-위협-환기-조건
  • ② 환기-요구-조건-위협
  • ③ 위협-조건-환기-요구
  • ④ 조건-요구-위협-환기

2023. 4. 16. 19:42삭제
구하구하 수기현야 약불현야 번작이끽야
2. 화자의 처지나 행위에 대한 분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화자는 일을 마치고, 해 지는 강변에 나와 삽을 씻는다.
  • ② 화자는 강물에 슬픔을 퍼다 버리고, ‘먹을 것 없는 사람들의 마을’로 돌아가야 한다.
  • ③ 화자는 ‘삽자루에 맡긴 한 생애’라는 표현을 통해 자신의 삶을 압축적으로 드러낸다.
  • ④ 화자는 주관적인 감정을 배제하고, 해 지는 강가의 풍경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려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밑줄 친 부분과 관련된 사자 성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吳越同舟
  • ② 囊中之錐
  • ③ 馬耳東風
  • ④ 近墨者黑

2023. 4. 17. 16:39삭제
2. 주머니 囊, 中, 之, 송곳 錐: 낭중지추: 주머니 속에 있는 송곳, 이란 뜻으로, 재능(才能)이 아주 빼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남의 눈에 드러난다는 비유적(比喩的) 의미(意味) 1. 吳, 越, 함께 同, 배 舟: 吳越同舟 「오(吳)나라 사람과 월(越)나라 사람이 한 배에 타고 있다.」는 뜻으로, a. 어려운 상황(狀況)에서는 원수(怨讐)라도 협력(協力)하게 됨. b. 뜻이 전혀 다른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됨. 3. 말 馬, 귀 耳, 동쪽 東, 바람 風, 馬耳東風: 「말의 귀에 동풍(東風)」이라는 뜻으로, 남의 비평(批評)이나 의견(意見)을 조금도 귀담아 듣지 아니하고 흘려 버림을 이르는 말. 4. 가까울 近, 먹 墨, 놈 者, 검을 黑: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는 뜻으로, 나쁜 사람을 가까이하면 그 버릇에 물들기 쉽다는 말.
4. 다음 글을 읽고 추론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눈 덮인 길의 고랑’은 백화가 신음하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 ② 등에 업힌 백화는 영달이가 ‘옥자’를 떠올리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 ③ 영달이는 ‘대전에서의 옥자’를, 어린애처럼 생각이 깊지 않은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 ④ 백화는 처음에는 영달이의 등에 업히기를 싫어했으나, 영달이의 등에 업힌 이후 싫어하는 내색이 없어 보인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밑줄 친 말의 문맥적 의미가 같은 것은?
  • ① 부엌을 입식으로 고치다.
  • ② 상호를 순 우리말로 고치다.
  • ③ 정비소에서 자동차를 고치다.
  • ④ 국민 생활에 불편을 주는 낡은 법을 고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밑줄 친 말의 사전적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몹시 짓궂은 데가 있다.
  • ② 생기 있고 힘차며 시원스럽다.
  • ③ 어수선하여 질서나 통일성이 없다.
  • ④ 보기에 태도나 행동이 가벼운 데가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밑줄 친 접두사가 한자에서 온 말이 아닌 것은?
  • ① 강염기
  • ② 강타자
  • ③ 강기침
  • ④ 강행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밑줄 친 말의 기본형이 옳지 않은 것은?
  • ① 무를 강판에 가니 즙이 나온다. (기본형:갈다)
  • ② 오래되어 불은 국수는 맛이 없다. (기본형:불다)
  • ③ 아이들에게 위험한 데서 놀지 말라고 일렀다. (기본형:이르다)
  • ④ 퇴근하는 길에 포장마차에 들렀다가 친구를 만났다. (기본형:들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다음 글에서 드러나지 않는 것은?
  • ① 어머니의 주의에 대한 ‘나’의 수용
  • ② ‘나’에게 심부름을 시키는 어머니의 태도
  • ③ 시간적 배경의 특성과 공간적 배경의 역할
  • ④ ‘나’의 말에 대해 푸줏간의 ‘중국인’이 보여 주는 정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필자의 견해로 볼 수 없는 것은?
  • ① 말은 생각보다 범위가 좁다.
  • ② 말은 생각을 나타내는 매개체이다.
  • ③ 말과 생각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 ④ 말을 통하지 않고도 얼마든지 생각을 전달할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다음 시에 대한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청(靑)무우밭’은 ‘바다’와 대립되는 이미지로 쓰였다.
  • ② ‘흰나비’는 ‘바다’의 실체에 대해 정확하게 모르고 있었다.
  • ③ 화자는 ‘공주처럼’ 나약한 나비의 의지 부족과 방관적 태도를 비판한다.
  • ④ ‘삼월(三月)달 바다’와 ‘새파란 초생달’은 모두 차가운 이미지로 사용되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보기>를 참고할 때, ㉠~㉣에 대한 분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세태의 단면이 드러나는 공간적 배경이다.
  • ② ㉡:적극성을 지닌 존재들로 서술자의 예찬 대상이다.
  • ③ ㉢:‘무거운 한숨’을 유발하는 부조리한 현실로 서술자의 비판 대상이다.
  • ④ ㉣:서술자가 ‘금광열’이 고조되어 있는 것으로 설정한 대상이나 공간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에 대한 풀이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길조(吉兆)가 일어날 것임을 암시한다.
  • ② ㉡:‘부인’이 꾼 꿈의 상황이다.
  • ③ ㉢:‘선관’이 인간 세상에 귀양을 오게 되는 계기이다.
  • ④ ㉣:‘남악산 신령’이 후일 청룡을 타고 천상 세계로 복귀할 것임을 암시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의 한자가 모두 바르게 표기된 것은? (순서대로 ㉠, ㉡, ㉢, ㉣)
  • ① 說明, 描寫, 敍事, 論證
  • ② 設明, 描寫, 敍事, 論症
  • ③ 說明, 猫鯊, 徐事, 論症
  • ④ 說明, 猫鯊, 徐事, 論證

x2023. 4. 20. 15:09삭제
설명은 말씀 說 (設은 베풀 설) 묘사는 그릴 描, 베낄 寫 (고양이 猫, 문절망둑 鯊) 서사는 펼 敍, 일 事 (천천히 할 徐, 일 事. 徐事: 태봉에서, 광평성의 둘째 벼슬) 논증은 논할 論, 증거 證 ( 논할 論, 증세 症. 論症: 병(病)의 증세(症勢)를 논술(論述)함)
15. 밑줄 친 부분이 어규정에 맞는 것은?
  • ① 병이 씻은 듯이 낳았다.
  • ② 넉넉치 못한 선물이나 받아 주세요.
  • ③ 그는 자물쇠로 책상 서랍을 잠갔다.
  • ④ 옷가지를 이여서 밧줄처럼 만들었다.

2023. 4. 20. 15:15삭제
1.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2. 넉넉지 못한 선물이나 받아 주세요. 3. 그는 자물쇠로 책상 서랍을 잠갔다. (잠궜다X) 4. 옷가지를 이어서 밧줄처럼 만들었다.
16. 훈민정음의 28 자모(字母) 체계에 들지 않는 것은?
  • ① ㆆ
  • ② ㅿ
  • ③ ㅠ
  • ④ 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 ① 한밤중에 전화가 왔다.
  • ② 그는 일도 잘할 뿐더러 성격도 좋다.
  • ③ 친구가 도착한 지 두 시간만에 떠났다.
  • ④ 요즘 경기가 안 좋아서 장사가 잘 안 된다.

x2023. 4. 20. 17:48삭제
1. 한밤중에 전화가 왔다 (한밤중은 합성어로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예)한밤중, 은연중, 부재중, cf. 수업 중, 회의 중 은 합성어가 아니므로 띄어 쓴다.) 2. 그는 일도 잘할뿐더러 성격도 좋다. 3. 친구가 도착한 지 두 시간 만에 떠났다.('동안이 얼마간 계속되었음'을 나타내는 '만'은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에 띄어 쓴다.) 4. 요즘 경기가 안 좋아서 장사가 잘 안된다('안된다'가 '일, 현상 , 물건 따위가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는 의미로 쓰일 때에는 한단어로 붙여 쓴다.)
18. 독음이 모두 바른 것은?
  • ① 探險(탐험)-矛盾(모순)-貨幣(화폐)
  • ② 詐欺(사기)-惹起(야기)-灼熱(치열)
  • ③ 荊棘(형자)-破綻(파탄)-洞察(통찰)
  • ④ 箴言(잠언)-惡寒(악한)-奢侈(사치)

x2023. 4. 20. 17:15삭제
찾을 探 험할 險, 探險 창 矛 방패 盾, 矛盾 재물 貨 화폐 幣 속일 詐, 속일 欺 사기 이끌 惹, 일어날 起 야기 불사를 灼, 더울 熱 작열 가시나무 荊, 가시 棘 형극: 나무의 가시, 고난(苦難)의 길을 비유(比喩ㆍ譬喩)하여 이르는 말. 깨트릴 破, 터질 綻 밝은 洞, 살필 察 경계 箴, 말씀 言 箴言: 가르쳐서 훈계(訓戒)가 되는 말. 미워할 惡, 찰 寒 사치할 奢, 사치할 侈
19.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 ① ‘ㄴ, ㅁ, ㅇ’은 유음이다.
  • ② ‘ㅅ, ㅆ, ㅎ’은 마찰음이다.
  • ③ ‘ㅡ, ㅓ, ㅏ’는 후설 모음이다.
  • ④ ‘ㅟ, ㅚ, ㅗ, ㅜ’는 원순 모음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내용의 전개에 따라 바르게 배열한 것은?
  • ① (가)-(나)-(다)-(라)
  • ② (가)-(나)-(라)-(다)
  • ③ (가)-(다)-(나)-(라)
  • ④ (가)-(라)-(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