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기능사(2004. 2. 1.) 시험일자 : 2004년 2월 1일
1과목 : 콘크리트재료
1.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성분은?
- ① 석회석, 코오크스, 점토
 - ② 모래, 석회석, 장석
 - ③ 화강암, 석고, 점토
 - ④ 실리카, 알루미나, 석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다음 사항에서 시멘트의 조기 강도가 큰 순서로 되어 있는 것은?
- ①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 ② 알루미나 시멘트 >고로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 ③ 알루미나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시멘트
 - ④ 고로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고로 슬래그 시멘트의 성질에 관한 다음 사항 중 옳은 것은?
- ① 일반적으로 건조수축이 크다.
 - ② 양생기간이 짧아서 좋다.
 - ③ 한중 콘크리트에 적합하다.
 - ④ 해수의 작용을 받는 곳이나 하수의 수로에 적합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시멘트의 응결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물의 양이 많으면 응결이 늦어진다.
 - ② 풍화되었을 경우 응결이 빠르다.
 - ③ 온도가 높을수록 응결 시간이 단축된다.
 - ④ 분말도가 높으면 응결이 빠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운반거리가 먼 레미콘이나 무더운 여름철 콘크리트의 시공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어느 것인가?
- ① 감수제
 - ② 지연제
 - ③ 방수제
 - ④ 경화 촉진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경화촉진제의 사용목적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구조물의 사용개시가 늦다.
 - ② 거푸집 제거가 빠르다.
 - ③ 양생기간을 단축한다.
 - ④ 한중 콘크리트에서 저온으로 늦어지는 경화를 촉진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골재의 빈틈이 적었을 경우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을 옳게 설명한 것은?
- ① 혼합수량이 증가한다.
 - ② 투수성 및 흡수성이 증가한다.
 - ③ 내구성이 큰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 ④ 콘크리트의 강도가 커지고 건조수축도 커진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습윤상태에 있어서 중량이 200gf인 모래를 건조시켰을 때 표면 건조상태에서 190gf, 공기중 건조상태에서 185gf, 노 건조상태(절대 건조상태)에서 182gf이 되었다. 이때 유효 흡수량을 구하면?
- ① 5.26%
 - ② 4.40%
 - ③ 9.90%
 - ④ 2.70%
 
ㅇㅇ2025. 1. 23. 08:08삭제
오류 답 4.4이다
9. 골재의 단위무게는 공기 중 건조 상태에 있어서 몇 m3 의 골재의 무게를 말 하는가?
- ① 0.5m3
 - ② 1m3
 - ③ 2m3
 - ④ 10m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다음 중 AE 콘크리트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워커빌리티가 좋다.
 - ② 단위 수량이 많아 진다.
 - ③ 재료 분리를 적게하고 블리딩이 적어진다.
 - ④ 수밀성이 좋아진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콘크리트를 친 후 시멘트와 골재알이 가라 앉으면서 물이 올라와 콘크리트의 표면에 떠오른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응결 현상
 - ② 블리딩(bleeding)현상
 - ③ 레이턴스(laitance)
 - ④ 유동성 현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잔골재의 조립율은 다음 중 어느 정도가 좋은가?
- ① 6∼8
 - ② 3.5∼6
 - ③ 2.3∼3.1
 - ④ 1.0∼2.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모르타르 강도에 있어서 잔골재의 유기 불순물의 영향 시험을 하려고 한다. 이때 사용하는 용액은 어느 것인가?
- ① 수산화나트륨
 - ② 탄산칼슘
 - ③ 수은
 - ④ 알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골재가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성질이 아닌 것은?
- ① 단단하고 내구적일 것
 - ② 무게가 가벼울 것
 - ③ 알맞는 입도를 가질 것
 - ④ 연한 석편, 가느다란 석편을 함유하지 않을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어느 골재의 함수율이 20%, 공극률이 30%일 때 실적률을 구하면 얼마인가?
- ① 20%
 - ② 30%
 - ③ 70%
 - ④ 8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콘크리트의 강도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것은?
- ① 인장강도
 - ② 압축강도
 - ③ 휨강도
 - ④ 비틀림강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단위 골재량의 절대부피가 0.80m3, 단위 굵은 골재량의 절대부피가 0.55m3일 경우 잔 골재율은 얼마인가?
- ① 31%
 - ② 35%
 - ③ 41%
 - ④ 5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시멘트의 분말도란?
- ① 여러 가지 크기의 입자들이 어떤 비율로 섞여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
 - ② 시멘트 입자의 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
 - ③ 시멘트가 굳어 가는 도중에 부피가 팽창하는 정도
 - ④ 시멘트 입자의 크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잔골재 체가름 시험에서 조립률의 기호는 어느 것인가?
- ① AM
 - ② AF
 - ③ FM
 - ④ C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프리팩트 콘크리트용 그라우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용 그라우트 등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 ① 기포제
 - ② 발포제
 - ③ 급결제
 - ④ 촉진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콘크리트시공
21. 콘크리트에 AE제를 첨가하여 AE콘크리트로 만드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 ① 사용되는 시멘트량의 절약
 - ② 강도의 증진
 - ③ 양생기간의 단축
 - ④ 워커빌리티(workability)의 증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다음의 콘크리트 운반기계중에서 거리가 멀때 가장 적합한 운반기계는?
- ①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
 - ② 버켓(Bucket)
 - ③ 트럭 애지테이터(truck agitator)
 - ④ 콘크리트 펌프(concrete pump)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정비된 콘크리트 제조 설비를 가진 공장에서 필요한 조건의 굳지않은 콘크리트를 수시로 공급할 수 있는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프리팩트 콘크리트
 - 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 ③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④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콘크리트 치기에 앞서 거푸집에 충분히 물을 뿌리지 않으면 안될 이유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 ① 거푸집의 먼지를 청소한다.
 - ② 콘크리트 치기의 작업이 용이하다.
 - ③ 거푸집을 사용함이 편리하다.
 - ④ 거푸집이 시멘트의 경화에 필요한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콘크리트 치기의 유의할 점 중 옳은 것은?
- ① 거푸집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재료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에 입구를 두거나 연직 슈트등을 사용해서 쳐야 한다.
 - ② 상하가 일체로 되는 구조물에서 기둥 콘크리트를 친후 바로 보 부분의 콘크리트를 쳐야 한다.
 - ③ 치기 도중에 재료분리된 콘크리트는 반드시 거듭비비기를 하여야 한다.
 - ④ 콘크리트치기 도중에 표면에 떠올라 고인 블리딩수가 있는경우 콘크리트의 표면에 도랑을 만들어 흐르게 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콘크리트 양생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타설후 건조 및 급격한 온도변화를 주어서는 안된다.
 - ② 경화중에 진동, 충격 및 하중을 가해서는 안된다.
 - ③ 콘크리트 표면은 물로 적신 가마니 포대등으로 덮어 놓는다.
 - ④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할 경우 적어도 2 일간 습윤 양생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포장콘크리트에 알맞는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몇 mm이하 인가?
- ① 80mm
 - ② 50mm
 - ③ 40mm
 - ④ 25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콘크리트 배합에 있어서 단위수량 160kg/m3, 단위시멘트량 310kg/m3, 공기량 3%로 할 때 단위골재량의 절대부피는 ? (단,시멘트의 비중은 3.15이다.)
- ① 0.71m3
 - ② 0.74m3
 - ③ 0.61m3
 - ④ 0.64m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콘크리트 각 재료의 양을 계량할 때 반죽질기, 워커빌리티, 강도 등에 직접 영향을 끼치므로 특히 정확하게 계량해야 하는 재료는?
- ① 혼화재
 - ② 물
 - ③ 잔골재
 - ④ 굵은 골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콘크리트의 운반에서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한다면 깔때기의 높이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40cm 이상
 - ② 50cm 이상
 - ③ 60cm 이상
 - ④ 70cm 이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일반적인 콘크리트 치기의 진동 다지기에 있어 내부 진동기로 찔러 넣는 간격으로 알맞은 것은?
- ① 30cm 이하
 - ② 50cm 이하
 - ③ 70cm 이하
 - ④ 90cm 이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서중 콘크리트로 시공을 할 경우 콘크리트를 비벼서 쳐넣을 때까지의 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50 분을 넘어서는 안된다.
 - ② 90 분을 넘어서는 안된다.
 - ③ 150 분을 넘어서는 안된다.
 - ④ 200 분을 넘어서는 안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콘크리트를 수송관을 통해 압력으로 비빈 콘크리트를 치기 할 장소까지 연속적으로 보내는 기계는?
- ① 콘크리트 펌프
 - ② 콘크리트 믹서
 - ③ 트럭믹서
 - ④ 콘크리트 플랜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비비기 시간은 재료를 모두 믹서에 넣은 뒤, 중력식 믹서의 경우 몇초 이상 비벼야 되는가?
- ① 30초
 - ② 60초
 - ③ 90초
 - ④ 120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수중 콘트리트 타설시 적당한 방법이 아닌 것은?
- ① 트레미
 - ② 콘크리트 펌프
 - ③ 밑열림 포대
 - ④ 슈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다음 중 콘크리트 다짐 기계의 종류가 아닌 것은?
- ① 표면 진동기
 - ② 거푸집 진동기
 - ③ 내부 진동기
 - ④ 콘크리트 플레이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다음 중 콘크리트용 잔골재와 굵은골재로 분류하는 체의 크기는?
- ① 3mm
 - ② 4mm
 - ③ 5mm
 - ④ 10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콘크리트를 친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콘크리트에 충분한 온도와 습도를 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콘크리트 진동
 - ② 콘크리트 다짐
 - ③ 콘크리트 양생
 - ④ 콘크리트 시공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콘크리트 표면을 물에 적신 가마니, 마포 등으로 덮는 양생방법은 어느 것인가?
- ① 습포양생
 - ② 수중양생
 - ③ 습사양생
 - ④ 피막양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다음 중 콘크리트의 배합을 결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① 계산에 의한 방법
 - ② 배합표에 의한 방법
 - ③ 시험 배합에 의한 방법
 - ④ 재하 시험에 의한 방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콘크리트 재료시험
41. 콘크리트 슬럼프(slump)시험에 있어서 각층 마다 다짐봉으로 몇 회 다짐을 원칙으로 하는가?
- ① 15회
 - ② 20회
 - ③ 25회
 - ④ 30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용기의 내부 지름이 25cm이고, 규정된 측정시간 동안에 생긴 블리딩 물의 양이 1470mL일 때 블리딩량은 얼마인가?
- ① 2 mL/㎝2
 - ② 6 mL/㎝2
 - ③ 3 mL/㎝2
 - ④ 5 mL/㎝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황산나트륨에 의한 잔골재의 안정성 시험을 할 경우, 조작을 5번 반복했을 때의 잔골재의 손실중량 백분율의 한도는 일반적으로 얼마인가?
- ① 5 %
 - ② 7%
 - ③ 10%
 - ④ 1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시멘트 풀로 캐핑(capping)할 때 적당한 물-시멘트비(W/C)는?
- ① 27∼30(%)
 - ② 30∼33(%)
 - ③ 33∼37(%)
 - ④ 37∼4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서 공시체 가압면에는 최소 얼마 이상의 홈이 있어서는 안되는가?
- ① 0.1mm
 - ② 0.05mm
 - ③ 0.5mm
 - ④ 1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콘크리트의 씻기 분석 시험에서 모르타르 시료중의 물의 무게가 432g이고 모르타르 시료중의 시멘트무게가 805g일 때 물-시멘트 비는?
- ① 74.3%
 - ② 63.7%
 - ③ 58.4%
 - ④ 53.7%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지름이 15cm, 길이가 30cm 인 공시체를 사용하여 쪼갬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 하중이 15,000kgf일 때 인장강도는 약 얼마인가?
- ① 10.67 kgf/㎝2
 - ② 21.22 kgf/㎝2
 - ③ 33.33 kgf/㎝2
 - ④ 40.67 kgf/㎝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길이와 높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길이는 높이의 2배보다 10cm이상 더 커야 한다.
 - ② 길이는 높이의 3배보다 8cm이상 더 커야 한다.
 - ③ 길이는 높이의 4배이상 이어야 한다.
 - ④ 길이는 높이의 5배이상 이어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콘크리트의 공기량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 ① (겉보기 공기량 - 골재의 수정계수)×100
 - ② 겉보기 공기량 + 골재의 수정계수
 - ③ 겉보기 공기량 - 골재의 수정계수
 - ④ (겉보기 공기량 + 골재의 수정계수)×10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 함유량 시험에서 골재의 수정계수 결정시 필요하지 않는 것은?
- ① 사용하는 잔골재의 무게
 - ② 사용하는 굵은골재의 무게
 - ③ 사용하는 용기의 1/3까지의 채운 물의 무게
 - ④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부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콘크리트 배합설계 순서 중 가장 마지막에 하는 작업은?
- ① 공기량 측정
 - ② 물-시멘트비 결정
 - ③ 골재량 산정
 - ④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을 통하여 알수 있는 것은?
- ① 반죽질기
 - ② 내진성
 - ③ 압축강도
 - ④ 탄성계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표면건조 포화상태 일때의 골재의 입자에 포함된 전체 수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흡수량
 - ② 유효흡수량
 - ③ 표면수량
 - ④ 전함수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골재의 함수상태에서 골재 알의 표면에는 물기가 없고 알 속의 빈틈만 물로 차 있는 상태는?
- ① 습윤상태
 - ② 표면건조 포화상태
 - ③ 절대건조상태
 - ④ 공기중 건조상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골재의 조립률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체의 종류중 적당치 못한 것은?
- ① 40mm
 - ② 30mm
 - ③ 20mm
 - ④ 10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 모울드의 크기로 옳은 것은?
- ① φ15cm x 20cm
 - ② φ5cm x 15cm
 - ③ φ10cm x 20cm
 - ④ φ20cm x 30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물-시멘트비를 정할 때 콘크리트의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압축강도
 - ② 크리프
 - ③ 내구성
 - ④ 수밀성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원기둥형 시험체를 만들어 규정된 일수까지 양생한 다음 압축시험기로 하중을 가하여 파괴될 때의 최대 ( )을 구한다. ( )안에 알맞은 것은?
- ① 하중
 - ② 변형률
 - ③ 골재율
 - ④ 공기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콘크리트 표면에 떠올라서 가라 앉은 미세한 물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블리딩
 - ② 레이턴스
 - ③ 성형성
 - ④ 워커빌리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시방배합에 해당하는 설명은 어느 것인가?
- ① 시방서 또는 책임기술자가 지시한 배합을 말한다.
 - ② 시방서 또는 현장에서 직접 배합한 것을 말한다.
 - ③ 시방서와 상관없이 현장에서 배합한 것을 말한다.
 - ④ 현장에서 사용하는 골재의 함수상태를 고려하여 배합한 것을 말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